국외 대학의 경우, 여러 대학에서 적극적으로 모바일(App) 캠퍼스,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 고 있다(이주민, 2010). 특히 스마트폰, 아이패드, 아이팟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Smart Device) 의 활용한 수업사례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교수와 학생들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보장 하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교육사례가 늘고 있다. 또한 새로운 학습방법으로서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지원하고 수업에 소셜미디어를 적극 도입하며 모바일 시스템(LMS, Smart-campus)을 갖추어가는 실정이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국외 대학의 SNS 및 스마트폰 활용사례를 모바일 시스템 활용현황과 대학수업의 활용 현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내와 비교할 때 국외 대학의 경우 많은 대학 에서 SNS 및 스마트폰 활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먼저 모바일 시스 템 활용을 하고 있는 대학들의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세톤힐대학교(Seton Hill University)10)
Griffin Technology Advantage Program으로 2010년 전교생에게 아이패드와 13inch 맥북을
지급하고 아이북 스토어를 통해 전자교과서와 e-book을 다운 받아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 한 교수자 및 동료 학습자와의 의견 교환 및 자료 공유를 활용한 수업 진행을 진행한다(한국 교육학술정보원, 2010a).
② 듀크대학교(Duke University)11)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강의 및 강의 자료 배포, 출석 체크에 활용되고 있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a).
③ 스탠포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12)
아이패드와 아이튠즈를 활용하고 있으며,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강좌 검색, 등록 기간, 과목, 성적, 교수자의 연락처 등이 있다. 아이튠즈 U에서 수천 개의 오디오, 비디오 레코딩(수업, 공 연 등)에 접속 할 수 있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a).
④ 애빌린기독대학교(Abilene Christian University, ACU)13)
2008년 전 신입생에게 아이폰을 제공하여 모바일 학습환경을 구축하였다. QR 코드를 활용
하여 학습 도움 및 캠퍼스 안내에 활용하는가하면, 심리학 강의에서 ‘Statistics’라는 모바일기 반의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활용하고 있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a).
⑤ 옥스퍼드대학교(University of Oxford)14)
옥스퍼드대학교에서는 모바일 웹을 통해 지도, 연락처, 뉴스, 여행 정보, 팟캐스트, 도서위치
정보, 가까운 Pub위치, 다음 버스시간, 학교 주변 소식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웹캠 교통정보
및 대중교통 정보 제공하는 모바일 포털 서비스 제공하고 있다. 100개가 넘는 도서관과 함께 옥스퍼드는 가장 큰 도서관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을 모바일 서비스와 연계 하여 위치기반의 서비스 제공할 계획이다.
⑥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15)
MIT대학과 함께 오픈 강좌의 선두주자로서 다양한 VO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이튠즈
를 통해 뉴스, 지도, 유용한 프로그램들(MBA 가기 위한 계획 수립 및 MBA정보들)을 제공하 는 앱을 개발하여 배포하고 있다(이주민, 2010).
11) 듀크 대학교(http://www.duke.edu/) 12) 스탠포드 대학교(http://www.stanford.edu/) 13) 애빌린 기독대학교(http://www.acu.edu/) 14) 옥스퍼드 대학교(http://m.ox.ac.uk)
<그림 16> 아이튠즈에서의 하버드 대학 모바일 교육 서비스 예시
⑦ 오타와대학교(University of Ottawa)16)
2009년 중반에 모바일 캠퍼스 포털로 uoMobile을 제공하고 있다(이주민, 2010). 어떤 모바일 기기가 접속을 하더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측면에서도 유연성을 가진 형태로 구축 할 예정이며, 오타와 대학교는 트위터 등의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하여 학교 공지사항 을 전달하는 등 적극적인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어서, 국외 원격고등교육 형태는 크게 ⑧ 일반대학에서 가상캠퍼스를 개설하여 운영하는 형태(미국 피닉스대학교,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⑨ 일반대학에서 일반대학의 일부 코스 를 원격수업으로 운영하는 형태(미국 네브래스카주립대학교), ⑩단독의 원격대학교 및 대학원
(캐나다 아타바스카대학교), ⑪ 국경 없는 국제대학으로 오픈 대학(오픈 유니버시티) 형태로
구분해 볼 수 있다.
⑧ 피닉스대학교(University of Phoenix online Campus)17)
일반대학에서 가상캠퍼스를 개설하여 운영하는 형태로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미국 애리 조나 주의 피닉스에 위치한 피닉스대학교(University of Phoenix online Campus)는 1978년부 터 지금까지 100,000명 이상의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미국 전역에 총 45개의 지역 캠퍼스와 학습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피닉스대학교의 온라인 강의는 컴퓨터 회의시스템(the Apollp learning Exchange와 ALEX)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교수와 학생 또는 학생과 학생 간의 자유 로운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학생은 웹을 통해 하루 중 어느 시간이라 도 접속이 가능하며, 대학 측에서는 학생들이 ALEX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음성 사서함(voice mail) 지원 체제를 갖추고 학생들의 질문과 상담에 응대하고 있다(교육정보국제 협력센터, 2009).
2011년 4월 피닉스대학교는 아이폰과 아이팟터치를 위한 피닉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출
시하여, 온라인 대학에 참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학습과 관련된 대부분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과제 수행 및 자신의 성적 등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피닉스대학교가 제시한 피닉스 모바일 앱(Phoenix Mobile App)에서 가능한 학습활동이다.
• 토론 포럼참여(Participate in discussion forums)
• 학습자 피드백 지원(Draft and post to discussion threads, and reply to other students’
posts)
• 공지확인, 과제작성 등 온라인대학에서의 학습활동 지원(View, edit and save drafts of discussion comments created on the eCampus website)
• 질의응답(View message flags, discussion questions and class announcements)
•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실시간 정보전달(Receive real-time alerts when grades are posted and when the instructor posts new information)
<그림 17> Phoenix Mobile App 화면
⑨ 네브래스카대학교(University of Nebraska)18)
네브래스카대학교는 네브래스카 주의 주도인 링컨 시에 설립된 142년 전통을 가진 미국 최 고의 교육 기관 중 하나이며, 과학 및 인문 지식을 확대하기 위한 막대한 투자와 다양한 프로 젝트를 진행하고 세계 유명 대학이다.
2007년부터 모바일 웹을 개발하여 검색기능을 중심으로 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
기에 제공되는 카테고리는 UNL Today(각종 학교 소식), Directory(학생 및 학교 정보 서비 스), Huskers(대학 스포츠 팀 정보), Maps(지도 서비스), Planet Red(개인별 학사정보시스템 연 동), Library(대학도서관 연동), Go Big Red(주요 컨퍼런스 정보 서비스)이며, 또한 최근 이러 한 정보를 공식 트위터를 이용해 스마트폰 이용자들에게 서비스하고 있다.
⑩ 아타바스카대학교(Athabasa University)19)
주정부가 설립한 개방대학으로서 알버타 지역과 캐나다 전 지역, 더 나아가 전 세계 사람들 에게 원격교육을 통하여 대학 수준의 교육기회를 제공하며, 직업영역에서의 교육적 필요에 대 응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타바스카대학교는 Individualized-study(Home-study), E-Class, Grouped-study(출석수업) 등 세 가지의 기본 교육방법으로 교육한다. 학생들이 세 가지 교육방법을 임의로 선택하여 학습 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Individualized-study(Home-study) 는 개인학습법으로 스스로 학습 진도와 일정을 조절하여 튜터의 개별화된 지도를 받도록 하 는 것이며, Grouped-study(출석수업)는 강의실에 집합하여 강의식 수업을 받는 것이고, E-class(온라인 학습)는 인터넷 기반으로 온라인 수업을 운영하는 방식이다(김병우, 2004).
아타바스카대학교는 Vital 공동체(Virtual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y)를 이용하여 컴 퓨터를 통해 수업을 제공하는 사이버 학습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되는 매체들은 인터 넷, 교실수업, 원격회의, 세미나, 컴퓨터 보조수업, 인쇄 교재 등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소셜미디어 및 스마트폰을 등 활용한 교육방법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오픈 소셜 모바일 시 스템(Open Social Mobile Systems; OSMoSYS)을 연구에 있으며 이 시스템은 학습지원시스템 (LSS)과 소셜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관리하는 자체 시스템으로 다양한 모바일 장치(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를 통해 콘텐츠 생산은 물론 모든 학습활동을 지원 한다.
⑪ 오픈유니버시티 - 영국20)
영국의 오픈유니버시티는 모바일용 웹사이트 운영21)하고 있으며,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교 육 표준에 대한 프로젝트를 가동 중(Mobile Technologies in Lifelong Learning) (2009. 03)이 다. 본 프로젝트는 LLL(Lifelong Learning: 평생교육)을 위한 모바일 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교육적 접근 방법을 알아내고 조직화하고 분석하는 것과 관련된 활동들을 고민하고 있으며, 이탈리아(The Italian National Research Council’s Institute for Educational Technology), 영국 (The Open University), 아일랜드(Trinity College University of Dublin), 헝가리(Corvinus
18) 네브래스카 대학교(http://m.unl.edu/)
19) 아타바스카 대학교(http://www.athabascau.ca/)
영역 대학 SNS 및 스마트폰 활용 현황
일반 대학
세톤힐 대학교(Seton Hill University)
▪Griffin Technology Advantage Program으로 2010년 전교생에 서 아이패드와 13inch 맥북을 지급
▪아이북 스토어를 통해 전자교과서와 이북을 다운 받아 활용
▪교수자 및 동료 학습자와의 의견 교환 및 자료 공유를 활용한 수 업 진행(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a)
듀크대학교(Duke University)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강의 및 강의 자료 배포, 출석 체크에 활 용(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a)
스탠포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
▪아이패드와 아이튠즈 활용
▪강좌 검색, 등록 기간, 과목, 성적, 교수자의 연락처 등을 제공
▪아이튠즈 U에서 수천 개의 오디오, 비디오 레코딩(수업, 공연 등)에 접속할 수 있음(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a)
애빌린 기독대학교 (Abilene Christian
University, ACU)
▪2008년 신입생부터 아이폰 제공
▪QR 코드를 활용하여 학습 도움 및 캠퍼스 안내에 활용
▪심리학 강의에서 ‘Statistics’라는 모바일기반의 프로그램을 개발 해서 활용(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a)
하버드대학교 (Harvard University)
▪오픈 강좌의 선두주자로서 다양한 VOD 서비스를 제공
▪아이튠즈를 통해 뉴스, 지도, 유용한 프로그램들 (MBA 가기 위 한 계획 수립 및 MBA정보들)을 제공하는 앱을 개발하여 배포하 고 있음(이주민, 2010).
옥스퍼드 대학교 (University of
Oxford)
▪지도, 연락처, 뉴스, 여행 정보, 팟캐스트, 도서위치 정보, 가까 운 Pub위치, 다음 버스시간, 학교 주변 소식 등을 제공하고 있 으며 웹켐 교통정보 및 대중교통 정보 제공하는 모바일 포털 서 비스 제공
▪100개가 넘는 도서관과 함께 옥스퍼드는 가장 큰 도서관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을 모바일 서비스와 연계하여 위치 기반의 서비스 제공할 계획(옥스퍼드대학교: http://m.ox.ac.uk) 오타와대학교
(University of Ottawa)
▪2009년 중반에 모바일 캠퍼스 포털로 uoMobile 제공
▪어떤 모바일 기기가 접속을 하더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기 술 측면에서도 유연성을 가진 형태로 구축할 예정
▪오타와대학은 트위터 등의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하여 학 University of Budapest) 등 유럽의 4개국 사이버대학이 참여하고 있다. 오픈유니버시티(Open
University)의 경우도 VO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페이스북(Facebook)과 연동하여 학생
간의 대화를 지원하는 앱(App)들이 소개되고 있다(이주민, 2010).
이상의 국외 대학의 SNS 및 스마트폰 활용사례를 정리하면 <표 11>과 같다.
<표 11> 국외 일반대학의 SNS 및 스마트폰 활용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