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스마트 러닝을 위한 이론적 배경

스마트 러닝의 이론적 배경으로 ‘사회적 구성주의,’ ‘사회적 실재감,’ ‘사회적 자본 이론,’ ‘매 체풍부성 이론’ ‘자기주도적 학습, '게임화 이론'을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사회적 구성주의(Social-constructivism theory)와 스마트 러닝 환경

스마트 러닝 학습환경은 이전의 교수적 관점, 공급자적 관점, 획일화된 학습환경에서 벗어나 학습자 관점, 수요자적 관점, 개별화된 학습환경(PLE8):Personal Learning Environment)을 지 향하고 있다. 이것은 이제 교수자 중심의 학습환경에서 학습자 중심의 학습환경으로의 변화를 뜻한다. 교수자의 개별화된 교수전략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으며, 웹 2.0 기술의 발전은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와 도전을 제공하고 있다.

Vygotsky(1978)는 근접발달영역 내에서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간의 사회적 상호작

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학습환경이 웹(Web) 이라는 주장과 함께 웹 환경에 비계설정을 적용해야 한다는 공학적인 접근이 시도되었다(Biemans & Simons, 1996;

Guzdial, 1995).

Vygotsky(1978)는 근접발달영역 내에서의 도움(Assistance)을 비계 설정9)이라 하고 교수 활 동의 주요소라고 하였다. 또한 Vygotsky(1978) 이론에 따른 사회적 구성주의 연구들은 어른과 아이의 상호작용, 능력이 다른 두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 소집단에서의 상호작용에 주된 관심 을 두었다.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수평적 학습을 가능하게 해주는 교수 방법으로 근 접발달영역 내에서의 비계설정(Scaffolding)을 들었다(Wood, Bruner & Ross, 1975; Wood &

Middleton, 1975). 결국 사회적 구성주의에서 수업은 학습자를 둘러싼 사회적 환경과의 사회

적 상호작용 속에서 비계설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Wood, Bruner &

Ross, 1975; Vygotsky, 1978).

학습은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근접 발달 영역 안에서 적절한 새로운 도전 과제를 제공받고, 학습자가 이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비계설정을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발생하는 것이다(Vygotsky, 1978). 그러나 이러한 비계설정의 여러 가지 장 점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실 환경에서 비계설정을 사용하는 것은 교사들에게 상당히 많은 노 력과 시간이 요구되어 왔다.

웹2.0 테크놀로지의 변화는 교수자들의 개별화된 교수전략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과 특징을 가진 교수학습도구로서 SNS를 비롯한 소셜미디어와 새로운 차원의 뉴미디어를 제시하 고 있다. 이는 사회적 구성주의 환경에서 교수자의 교수 전략을 실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

8) (PLE;Personal Learning Environment)은 자신의 학습을 학습자가 제어하는 시스템을 의미하여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콘텐츠 및 프로세스를 모두 관리하고 학습 과정은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진다.

요인 세부요소

사회적 맥락

․ 응답자와의 친숙성

․ 참여성향(공격적/순응적)

․ 관계성(공식적/비공식적 관계)

․ 커뮤니케이션 당사자 간의 신뢰성

․ 사회적 관계

․ 테크놀로지에 대한 심리적 태도

․ 컴퓨터를 사용하는 장소

․ 학습자 특성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 키보딩 및 언어 사용의 정확성

․ 이모티콘 및 준언어의 사용

․ 실시간 토론의 특성

․ 토론 게시판의 특성

한 오늘의 이러닝 2.0 학습환경은 교수자의 역할과 함께 학습자의 역할은 물론 학습활동, 학 습방법 등 학습 전반에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 사회적 실재감(Social presence theory)을 통한 학습커뮤니티 형성

SNS와 같은 실시간 콘텐츠 도구들은 학습자에게 생동감과 활기를 북돋아 사회적 실재감이 란 실재감 개념이 인간의 사회적 경험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적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재감이란 매개된 장소에 있으면서도 매개되지 않은 느낌 즉 ‘그곳에 있는’ 듯이 느끼 는 현상적 감각으로, 물리적 환경에 존재하고 있는 것들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것들 을 경험하고 ‘지각’하는 것으로서, 어떤 장소 또는 환경에 존재함(being)을 느끼는 주관적 경험 (Steuer, 1995; Witmer & Singer, 1998)을 뜻한다.

학습자는 자신이 학습 상황에 있음을 인식하는 실재감을 바탕으로 유의미한 학습을 경험할 수 있다(조은미, 한안나, 2010). 이러한 실재감의 개념이 적용된 사회적 실재감이란 어떤 미디 어를 이용함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상대방과 서로 직접 만나서 대화하는 것과 흡사하게 느 껴지는 정도라고 정의되고 있다(Short, Williams & Christie, 1976). 즉 사회적 실재감은 사람 들이 의사소통하는 가운데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상대가 실제로 존재하고 있음을 전제한다. 때문에 사회적 실재감은 커뮤니케이션 당사자들 사 이의 상호 이해도와 친밀감을 통한 인간 유대관계의 확인과정으로 이해하기도 한다(Kettinger

& Grover, 1997).

Tu와 McIsaac(2002)은 친밀성과 즉시성을 사회적 실재감이 지향해야 할 목표로 삼고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사회적 맥락,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성의 세 가 지를 도출했다. 사회적 맥락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특성과 환경에 대한 자각을 의미하며,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은 온라인상에서 사용된 언어에 대한 태도와 학습자들의 컴퓨 터 사용 수준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상호작용성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하의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에 몰입되어 상대와 즉각적으로 반응을 주고받는 것을 뜻한다(조은미, 한안나, 2010).

<표 6> 사회적 실재감 요소(Tu & McIsaac, 2002)

․ 읽기 및 쓰기 능력

상호작용성 ․ 메시지에 대한 적시의 반응

․ 커뮤니케이션 양식

개별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스마트 러닝 환경에서는 학습자들이 고립감, 외로움 등의 심 리적 거리감을 느끼기 쉽기 때문에 거리감을 해소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스마트 러닝에서 상대방과 소통하고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사회적 실재감은 필수적인 요 소이다.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 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국내외에서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Swan과 Shin(2005)은 사회적 실재감을 동료 학습자들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교수자에 대

한 사회적 실재감으로 구분하여 사회적 실재감 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에 대해 연구 하였는데, 특히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사회적 실재감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 으로 보고하였다(주영주 외, 2010).

Hostetter와 Busch(2006)는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40%의 설명력을 가지며, 학습공동 체의 형성과 상호작용의 증진을 통해 사회적 실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강명희와 김민정(2006)은 이러닝 진행 중 학습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실재감이 종속변인(학업성취도, 만 족도, 학습 지속도)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조사하여 사회적 실재감과 종속변인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연구한 바 있다.

Tu와 McIsaac(2002)은 사회적 학습이론과 사회적 실재감 이론을 연결 지으면서, 온라인 학

습의 중요한 수단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필요하다고 주 장하였다.

Johnson, Hornik과 Salas(2008)는 이러닝에서의 성과 측정모형에서 컴퓨터자기 효능감, 기각 된 테크놀로지 유용성, 상호작용성과 함께 사회적 실재감 요소를 예측 변인으로 하여 지각된 과정의 유용성, 만족도 학습 성취도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인지적 활동을 보장해 주지 못하는 점을 지적하고,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자간 공동체의식을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들은 사회적 실재감이 학업성 취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공유된 학습환경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이러닝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과 더불어 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만족감 등 정의적인 영역과 더불어 학습공동체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사회적 실재감이 면대면 학습과 달리 학습자 와 교수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시공간적 제약 때문에 형성되기 어려웠던 친밀감 형성을 통 해 사회적 감성적, 상호작용을 보완하면서 학습자들의 몰입을 촉진하고 자발적인 학습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Jonassen & Land, 2000; Palloff & Prett, 1999)고 본다. 이미 앞 장에서 스마 트 러닝 환경에서 학습은 혼자만의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이 아니라 사회 속에서 협력을 통한 지식구성을 의미한다고 기술한 바 있다. 같은 맥락에서 사회적 실재감은 스마트 러닝 학습환

기여하고 있다.

○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theory)으로서 멘토링

일반적으로 사회적 자본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협력을 촉진시키는 사회적 자산을 일컫는 말 이다. Putnam(1993)은 ‘사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신뢰(trust), 규범(norm), 연결망(network) 같은 사회 조직의 속성'이라고 정의하였고, Bowles와 Gintis(2002)는 ‘신뢰, 소속단체에 대한 관심, 공동체 규범에 따르려는 의지, 규범을 어긴 사람을 처벌하는 것'이라고 규정하였다. 또

한 Coleman(1988)은 ‘사회구성원이 가용할 수 있는 특수한 종류의 자원'이라고 정의하였다.

사회적 자본에 대한 개념은 Coleman과 Putnam의 이론으로 비교해 볼 수 있으며, <표 7>과 같 이 정리할 수 있다.

<표 7> Cloeman과 Putnam의 사회적 자본 이론 비교

Coleman Putnam

자본 발생의 기제 사회적 폐쇄/전략 사회적 개방/문화

성격 사적 공적

이론적 배경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

자본의 특성 관계적 제도적

자본의 효과 정보, 통제 시민의식, 참여

[출처: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6), p.19]

Putnam(2000)은, 기존의 사회적 자본 연구를 종합하여, 사회적 자본의 유형 교량적

(bridging) 유형과 결속적(bonding) 유형으로 나누었다. 교량적 유형은 다른 배경을 가진 개인 들의 관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유대관계가 약하고, 간혹 임시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때는 관계의 깊이보다는 넓이를 지향하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와 자원을 획득하 는 기회를 넓힐 수 있다. 이와 달리 결속적 유형은 혈연, 학연, 지연 등 유사한 성격과 배경을 가진 개인들의 관계이기 때문에 감정적 지지가 이루어지고, 결속력이 있는 반면 배타적이고 편협적일 수 있다(김봉섭, 2010).

장덕진, 배영(2006)의 연구에 의하면, 사이버공동체에서는 유대관계가 약하기 때문에 온라인 네트워크에서는 결속적 유형보다는 교량적 유형의 사회적 자본이 더 적합하다고 한다. 특히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SNS는 기존의 온라인 네트워크나 개인 네트워크에 비해 보다 큰 네트 워크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 즉,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사회적 자본과 SNS는 긴밀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상민, 황보환, 지용구, 2010).

○ 매체풍부성 이론(Media richness theory)과 스마트 러닝

Daft와 Lengel(1984)의 매체풍부성 이론에 따르면 풍부한 매체는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

고, 정보전달에 있어서 다양한 채널을 가지며, 개인적인 생각과 느낌이 전달되도록 개인화에 대한 집중하고, 언어의 다양성을 가진 매체이다.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기존의 이러닝,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