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산 바이오디젤의 비시장가치

Dalam dokumen 바이오연료의 비시장가치 평가 (Halaman 61-64)

설문조사를 통해 얻고자 하는 정보와 목표를 명확히 해야 한다. 따라 서 추정하고자 하는 국산 바이오디젤의 비시장가치가 어떻게 형성되는 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국산 바이오디젤이 활성화되면 여러 가지 사회적 효과가 발생한다. 사 회적 효과는 시장가치와 비시장가치로 구분되는데, 시장가치는 경제 주 체의 활동과 시장가격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쉽게 드러난다. 국산 바이오 디젤의 보급으로 발생하는 시장가치로는 원유 수입 대체 효과, 바이오디 젤 원료 수입대체 효과, 바이오디젤 회사의 활성화 및 노동수요 창출 효 과, 농가 수입증가, 바이오디젤 부산물 생산 등의 직·간접적인 효과가 있다. 이런 효과들은 바이오디젤 시장과 관련된 경제 주체들에게 직접적 인 영향을 준다.

반면 국산 바이오디젤의 비시장가치는 어떤 특정한 경제주체에 영향 을 주는 것이 아니라 불특정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또 그 효과가 확연히 드러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치를 추정하기란 쉽 지 않다. 국산 바이오디젤로 인한 비시장가치는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 다.

첫째, 바이오디젤 보급으로 얻는 비시장가치이다. 바이오디젤 시장의 활성화로 우리 사회가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비시장효과는 환경효과로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이 대표적이다(Jeanty and Hitzhusen, 2007; Boyd, et al., 2004). 앞장의 <표 Ⅱ-3>에서 설명했듯이 바이오디젤의 혼합비율에 따라 배출가스 저감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우리 사회 구성원들은 개선된 환경으로 편익을 누릴 수 있게 된다. 그 러나 이런 편익은 불특정 대다수에게 돌아가고 거래되지 않기 때문에 그 가치가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없다.14) 또한 바이오디젤은 기름 유출이 되었을 때 자연분해가 빠르기 때문에 생태계 영향도 적다. 즉 바이오디 젤의 사용으로 환경오염에 대한 위험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위험 저감 효과는 바이오디젤의 비시장가치 중 일부가 될 수 있다. 바이오디젤을 연소하면 콩기름과 비슷한 냄새가 나기 때문에 경유 특유의 냄새도 저 감할 수 있다. 악취 및 매연을 개선하면 사람들에게 편익이 돌아가게 된다.

둘째, 국산 원료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시장가치가 있다. 바 이오 디젤을 국내 원료를 이용하여 생산하면 석유수입을 대체하게 되어 그 경제적 가치는 경제 추체에게 귀속된다. 그러나 국산 원료화로 인해 에너지 안보 수준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들의 국산에 대한 애착심은 시 장에 가치로 측정될 수 없다. 또 바이오디젤의 국산 원료 시장이 활성화 되면 농촌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원료 작물 재배로 농가 수입의 증대 효과는 직접적인 시장가치로 환산된다. 그러나 FTA와 같은 농업의 개방으로 인한 우리 농업의 위기에 대응하여, 국내 농업 기반 육 성에 일조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가치는 국산 원료로 인한 비시장가치 가 될 수 있다15). 또 원료작물인 유채재배로 인해서 봄철 재배지의 경관 이 수려하게 되는 것에 대한 가치도 포함될 수 있다.

14) EU는 탄소시장을 운영하여 배출권 거래를 하고 있기 때문에 탄소에 대한 가치는 가격으로 나타낼 수 있다.

15) 농촌 경관가치에 대해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5)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국산 바이오디젤의 효과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그림 Ⅳ-1>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한 진술선호법을 이용하여 비시장가치 부분을 추정하고자 한다.

[그림 Ⅳ-1> 국산 바이오디젤의 사회적 효과

진술선호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 여야한다. Dillan(1991)은 좋은 설문조사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표본설계는 모집단의 누구라도 설문조사의 표본이 될 수 있어야 하고, 표본은 모집단의 추정을 위해 충분히 커야하며, 설문에서 질문은 응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고, 응답자 모두가 답변을 해야 한다. 이 기준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서 사 전조사와 설문전문가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설계하였다.

Dalam dokumen 바이오연료의 비시장가치 평가 (Halaman 6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