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설문지 구성
사전조사의 결과를 기초로 본 설문 작성을 하였는데, 설문지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는 바이오디젤, 자동차, 대기질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태도에 대한 질문이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바이오디젤 이 무엇인지, 어떤 식으로 생산되는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하였다. 이 부분은 질문을 하기보다는 응답자들에게 바이오디젤과 국산 원료에 대 한 사실을 알리는데 집중되었다. 바이오 디젤의 환경적인 장점을 일반 경유 대비 공해와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테이블을 통해서 보여주었다. 또 국산 유채를 이용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회 적 편익을 에너지국산화, 농가수입 창출, 농촌경관 효과로 설명하였다.
세 번째 부분은 바이오디젤에 대한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서 조건부가치 법 질문과 컨조인트법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네 번째 부분은 응답자들의 나이나 직업 등 개별 특성과 배경환경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본 설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조건부가치법 질문과 컨조인트법 질 문이 포함되어 있는 세 번째 부분이다. 이들 질문을 통해서 국산 바이오 디젤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질문 구성에 있어서 세심한 주의 가 필요하다.
나. 조건부가치법 질문
조건부가치법 질문을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개방형(open ended)질문이나 지불카드 제시방법(payment card method) 등이 있으나 이 방법들은 다양한 편의를 발생시킨다는 것이 검증되었다(Boyle, et al.,
1994). 이 방법들에서는 응답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
해서 전략적인 답을 할 수 있다. 즉 바이오디젤 지지자들은 바이오디젤 의 가치를 매우 높게 적어 냄으로써 자신들의 평소 관심을 대변할 수 있고 의도적으로 가치를 낮게 적어냄으로써 높은 유류가격에 대한 불만 을 표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실제 가치보다 큰 금액을 응답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양분선택형(discrete choice) 질문이다(Carlsson and Johansson-Stenman, 2000). 양분선택형 방법은 각 응답자들에게 임의의 금액을 제시하고 응답자는 단순히 ‘예’ 또는 ‘아 니요’ 대답만 하면 된다. 양분선택형 질문은 우리가 실생활에 물건을 구 입할 때 사용하는 메커니즘을 가장 잘 반영한다. 개인이 생각하는 물건 의 가치가 가격보다 높으면 그 물건은 선택될 것이다 반대로 물건의 가 치가 가격보다 낮다면 그 물건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바이 오디젤의 리터당 가격이 1,600원으로 주어지고 응답자 자신의 바이오디 젤에 대한 가치가 1,600원보다 클 때는 ‘예’로 응답함으로써 구입의사를 나타낼 수 있다.
양분선택형 방법은 응답자의 가치를 간접적으로 물어봄으로써 전략적 응답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한 번의 질문만을 하기 때문에 많 은 수의 표본조사가 필요하다. 이러한 수고를 덜기 위해서 한 응답자에 게 연속적으로 두 번의 질문을 했는데 두 번째 질문은 첫 번째 질문의 응답에 따라서 달라진다. 즉 첫 번째 주어진 제시금액이 1,600원이고 응 답자가 ‘예’라고 하고 1,600원보다 높은 금액을 제시하고, ‘아니요’ 라고 응답하면 1,600원보다 낮은 금액을 제시하였다. 응답자는 응답을 두 번 반복하는 것에 불과하지만 연구자는 가치추정 구간을 줄일 수 있음으로 많은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중양분선택모형(double bounded dichotomous choice model: DBDC)이라고 한다(Hanemann, et al., 1991; Alberni, 1995).
이중양분선택형 질문의 제시액을 설정하기 위해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경유가격을 조사하였다. 2008년 4월의 일반 경유 평균가격은 1,620
원이었고 이 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국산 바이오디젤 BD20의 가격을 제 시하였다. 즉 일반 경유 대비 국산 BD20의 가격이 1리터당 XX원보다 높을 때 바이오디젤을 구입여부를 물었는데, 일반 경유 가격을 비교대상 으로 함으로써 응답자들에게 보다 현실감 있는 상황을 연출해 주었고 구체적인 비교대상을 제시함으로써 인지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국산 BD20의 제시금액은 사전조사의 결과를 기초로 일반 경유대비
100원 내외의 구간에서 설정되었다. 조건부가치법에서 연구자에 의해서
제시된 금액으로 인해 응답자들의 대답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양분선택형모형에서는 연구자가 제시하는 첫 번째 금액에 응답자들이 고착화(정박효과, anchoring) 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금액을 다양화 하여 야 한다(Boyle, et al., 1997). 정박효과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 네 개의 첫 번째 제시금액(50원, 70원, 90원, 120원)을 설정하였다. 두 번째 제시 금액은 첫 번째 제시금액에 대한 응답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제시되었 다. 제시 금액의 조합은 (50, 80, 20), (70, 100, 40), (90, 120, 60), (120, 150, 90)으로, 50원에 대하여 ‘예’라고 대답할 경우 두 번째는 80원을 제 시하였고 ‘아니요’라고 할 경우 20원을 제시하였다.
다. 컨조인트법 질문
조건부가치법 질문과 달리 컨조인트법 질문에서는 바이오디젤의 여러 속성들을 조합하여 가격을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바이오디젤의 특성은 응답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바이오디젤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편익의 종류를 세분화하여 매우 다양한 속성으 로 설정할 수도 있지만, 응답자들이 종류를 세세하게 분리하여 한 번에 생각한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어서 인지의 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속성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질문 설계도 매우 복잡해진다.
바이오디젤로 인한 온실가스와 오염물질 배출 저감 효과는 바이오디 젤의 혼합비율로 설명된다. 따라서 혼합비율을 바이오디젤의 속성으로 정의한다면 여러 가지 오염물질의 배출 저감효과 설명이 한 번에 가능 하고, 응답자는 하나의 속성만을 고려하면 되기 때문에 인식이 쉬워진 다. 바이오디젤은 BD0부터 BD100까지 다양한 비율로써 혼합이 가능하 나, BD5와 BD20이 가장 많이 쓰이는 비율이다. 또 BD0은 바이오디젤이 혼합되지 않은 경유이고 BD100은 순수 바이오디젤이다. 컨조인트 질문 에서는 바이오디젤의 혼합비율을 BD5, BD20, BD100으로 구성하였고 그 에 대한 오염물질 저감 효과를 별도의 표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국산 바이오디젤의 장점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몇 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각각의 장점을 기술하는 것보다, 바이오 디젤의 원료를 수입산과 국산으로 양분 한다면, 각각의 속성에 대한 가 치는 추정할 수 없지만, 국산 원료에 대한 비시장가치를 통합적으로 추 정할 수 있다. 또한 설문이 간단해져서 응답자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위의 두 가지 바이오디젤의 속성과 함께 추가적으로 바이오디젤의 보 급경로도 하나의 속성으로 고려해 보았다. 현재 바이오디젤은 몇 개의 그린주유소(eco-green station)를 통하여 한정적으로 공급되고 있어, 접근 성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사람들이 가까이 찾을 수 있는 일반 주유소와 비교해서 바이오디젤을 사기 위해서 그린주유소를 찾는다면 그만큼 환 경에 대해서 가치를 두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 준다. 설문에서 바이오디젤의 공급방식을 4가지로 분류하였는데 기존주유소를 이용하는 방식과 평상시 운전하고 다니는 경로에서 1km, 3km, 5km 떨어진 곳에 그린주유소를 통해 공급하는 방식이다.
바이오디젤의 가격은 편익추정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자료이다. 일 반경유에 대비하여 가격의 차이를 두었는데 여기서는 -50원, 0원, 50원, 100원으로 설정하였다. -50원의 가격을 제시함으로써 바이오디젤에 대한 비친근성 또는 비선호가 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음의 가치의 가능성 도 열어 놓았다.
<표 Ⅳ-2>는 설문에서 이용된 바이오디젤의 속성과 속성 값들을 보여 준다.
<표 Ⅳ-2> 컨조인트법에서 바이오디젤의 속성
바이오디젤의 종류
BD5 ⟶바이오디젤5% + 일반 경유 95%
혼합
BD20 ⟶바이오디젤20% + 일반 경유 80%
혼합
BD100 ⟶순수 100% 바이오디젤
바이오디젤 원료 국산 ⟶국내에서 재배된 유채를 이용 외산 ⟶해외에서 수입된 원료
바이오디젤 공급
기존 일반 주유소 ⟶기존의 모든 주유소 그린 주유소 1km ⟶
바이오디젤만을 취급하는 독립된 그린주유소, 운전경로에서 1km 떨어짐
그린 주유소 3km ⟶
바이오디젤만을 취급하는 독립된 그린주유소, 운전경로에서 3km 떨어짐
그린 주유소 5km ⟶
바이오디젤만을 취급하는 독립된 그린주유소, 운전경로에서 5km 떨어짐
바이오디젤 가격
-50원 ⟶1리터당 50원 저렴
0원 ⟶경유가격과 동일
+50원 ⟶1리터당 50원 비쌈
+100원 ⟶1리터당 100원 비쌈
4가지 속성들을 조합하여 선택대안을 구성하여야 하는데, 모든 조합을 다 고려할 경우 × × × 개의 선택대안 있다. 그러나 96개의 질 문에 응답을 하기는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 실험계획법(experimental design)의 부분요인설계(fractional factorial design)를 실시하여(Louviere
et al., 2000) 총 24개의 선택대안을 만들었다. 이들 대안은 임의로 두 개
씩 묶어 12쌍으로 나누되, 각 쌍에서 어느 하나의 대안이 나머지 대안보 다 명백하게 모든 속성에서 유리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쌍에는 세 번째 대안, ‘일반 경유사용’을 제시하였는데, 바이오디젤 사용을 강제 하지 않기 위해 포함하였다.
[그림 Ⅳ-2]는 설문지에 제시된 컨조인트 질문 가운데 하나이다.
질문 V1-6 바이오디젤 I 바이오디젤 II 일반경유 바이오디젤 종류 BD5
(5%바이오디젤)
BD5 (5%바이오디젤)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경유
바이오디젤 원료 국산 수입산
바이오디젤 주유소 1km 떨어진
그린주유소 기존 일반주유소 바이오디젤 가격 일반 경유보다
리터당 50원 저렴
일반 경유보다 리터당 50원 저렴
선택 □ □ □
[그림 Ⅳ-2] 컨조인트 질문 예시
12쌍의 조합은 두 개로 나누어서 각 설문지당 6개의 대안 조합을 배
치하여, 응답자가 반복되는 질문에 지치는 것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