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컨조인트법을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가치 분석

Dalam dokumen 바이오연료의 비시장가치 평가 (Halaman 97-104)

컨조인트법도 조건부가치법과 마찬가지로 응답자들의 효용함수가 먼 저 정의되어야 한다. 응답자의 효용함수는 바이오디젤의 특성과 응답자 개인의 인구경제학적 특성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조건부가치법의 효용함 수에서 보았듯이 인구경제학 특성, 즉 성별, 나이, 교육수준은 응답자의 바이오디젤에 대한 가치에 별다른 영향을 주고 있지 않고 바이오디젤에 대한 인지가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컨조인트법 의 효용함수는 바이오디젤의 특성과 바이오디젤에 대한 응답자의 인지 와 소득 수준만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   

  

   

(식 6-9)

효용함수의 변수들은 <표 Ⅵ-7>에서 정의되어 있다. BD는 바이오디젤 이라는 대안의 상수항으로 응답자가 일반 경유를 선택하였을 때는 0을 바이오디젤을 선택하였을 경우 1을 가지는 더미변수이다. PER은 응답자 의 바이오디젤에 대한 사전 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더미변수로 BD와 교 차(interaction)하여 바이오디젤에 대한 사전인지가 있는 응답자가 사전 인지가 없는 응답자에 비하여 바이오디젤의 선택 확률에 차이가 나타나 는지 보여줄 수 있다. BD5, BD20, BD100은 선택된 바이오디젤의 혼합 비율을 나타내며 각각 더미 변수 처리를 하였다. 추정하려는 혼합비율 이 많고 효용함수가 혼합비율과 선형의 관계가 있다면 하나의 변수로 농도를 나타낼 수 있으나, 여기서는 세 가지 혼합비율만을 고려하기 때 문에 세 개의 변수만을 이용하면 되고, 선형이라는 제약을 주지 않기 때 문에 모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OM은 원료의 국산 여부를 나타 내는 더미 변수로 국산일 경우 1이고 수입산일 경우 0이다. STA는 주유 소까지 거리로 기존 주유소일 경우 0으로 환산하여 1, 3, 5km단위로 나 타내었다. PRICE는 일반 경유값을 0으로 하여 바이오디젤가격과의 차이 를 나타내고, HI와 MI는 응답자 가구의 소득수준으로 400만 원과 500만 원을 기준으로 하였다.

<표 Ⅵ-7> 컨조인트법의 변수

변수 설명

BD 응답자가 바이오디젤을 선택 =1, 그 외 =0 BD5 BD5 선택 =1, 그 외 =0

BD20 BD20 선택 =1, 그 외 =0

BD100 BD100 선택 =1, 그 외 =0

DOM 국산 원료 선택 =1, 그 외 =0

STA 바이오디젤 주유소와의 거리

PRICE 바이오디젤 가격

HI 가구소득 400만 원 이상=1, 그 외 =0 MI 가구소득 300만 원 이상 399만 원 미만=1, 그 외 =0 PER 설문 조사전 바이오디젤 인지 여부, 알고 있음=1, 모름=0

질문의 설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응답자는 2개의 바이오디젤 대안과

1개의 일반 경유 대안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응답자 의 각각의 대

안에 대한 효용의 오차항을    이라고 할 때 각 오차항이 서로 독립이라면 즉, 한 대안간의 선택비율은 다른 대안의 상태와는 독립이라 면 조건부 로짓모형을 쓰는 것이 가장 간단하다. 그러나 만일 두 오차 항간에 서로 연관이 있다면 계층로짓(nested logit) 또는 프로빗 모형을 쓰는 것이 효과적이다(McFadden, 1981; Ben-Akiva and Lerman, 1985;

Louvier, et al., 2000). [그림 Ⅵ-1]과 같이 연료의 선택은 바이오디젤과 일반 경유로 우선 나눠지고 바이오디젤을 선호한다면 다음으로 대안1 또는 대안2을 선택할 것이고, 일반 경유를 선택한다면 대안3을 선택할 것이다. 즉 과  서로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식 6-9)의 효용함수를 조건부로짓과 함께 계층로짓 모형으로 추정해 보았다 (Gould, et al., 2006).

[그림 Ⅵ-1] 바이오디젤 선택의 계층

<표 Ⅵ-8>는 조건부로짓과 계층로짓모형을 이용한 효용함수 추정값들

이다. PRICE와 소득수준간의 교차항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수준 10%

수준에서 유의하다. BD와 PER의 교차항의 계수는 양의 부호를 가진다 는 것은 바이오디젤에 대해서 인지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경유보다는 바이오디젤 사용으로부터 더 많은 효용을 얻는다는 것을 알려준다. BD5,

BD20, BD100의 계수를 살펴보면,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효용수준이 높

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OM의 양의 계수는 응답자들이 국산 원 료로부터 더 많은 효용을 얻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주유소가 멀리 떨어져 위치할수록 사람들의 효용은 더 낮아진다. 가격이 높아질수록 효 용수준은 낮아지는데, 소득수준과 가격의 교차항에서 높은 소득을 가진 응답자일수록 가격의 영향력은 낮아지지만, 10% 유의수준에서 유의하지 못하다.

추정된 계수들을 살펴보면 조건부로짓과 계층로짓의 결과가 대동소이 함을 알 수 있다. 우도계수도 -2818.52와 -2818.31로 차이가 거의 없다.

계층로짓에서 대안1과 대안2의 오차항의 독립여부를 검정한 결과 10%

유의수준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었다. 즉 교차항들은 모두 독립적 으로 움직이고 조건부로짓을 쓰는 것에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84 <표 Ⅵ-8>컨조인트법을 이용한 효용함수 추정값 Clogit LR chi2(9)1754.64Nlogit Wald chi2(9)456.37  Prob > chi20.000 Prob > chi20.000  Pseudo R20.2662     logL-2418.52 logL-2418.31 choiceCoef.Std. Err.zP>zchoiceCoef.Std. Err.zP>z     BD × PER0.284 0.0809 3.510.00 ***BD × PER0.286 0.0812 3.520.00 BD50.187 0.0912 2.060.04 **BD50.166 0.0986 1.690.09 BD200.344 0.0985 3.500.00 ***BD200.332 0.1028 3.230.00 BD1000.951 0.0994 9.570.00 ***BD1000.946 0.1018 9.300.00 DOM0.407 0.0440 9.270.00 ***DOM0.411 0.0449 9.170.00 STA-0.3630.0336 -10.83 0.00 ***STA-0.3710.0363 -10.21 0.00 PRICE-0.0260.0020 -13.08 0.00 ***PRICE-0.0260.0025 -10.80 0.00 PRICE × HI0.003 0.0024 1.360.17 PRICE × HI0.003 0.0025 1.360.17 PRICE × MI0.002 0.0021 1.190.24 PRICE × MI0.002 0.0022 1.210.23       LR test for IIA    chi2(2)0.42       Prob > chi2 0.8122  

각 응답자의 특성과 추정된 계수를 이용하여 응답자의 바이오디젤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계산해 보았다. BD5에 대한 지불의사액은 각 응답자 들의 바이오디젤에 대한 인지와 소득수준에 따라서 변한다. 분모항은 소 득수준에 따라서 달라지고, 분자항의 PER은 바이오디젤의 인지여부에 따라 다르다.

   

 

(식 6-10)

BD20과 BD100에 대한 지불의사액은 이와 유사하게 을  또는 

으로 대체하면 구할 수 있다.

<표 Ⅵ-9>는 바이오디젤에 대한 각 속성별 지불의사액을 보여준다.

BD5 1리터에 대한에 대한 지불의사액은 일반 경유대비 평균 13.57원 높

다. 평균의 95% 신뢰구간은 13.04원에서 14.10원이고, 응답자별로 지불의 사액은 최소 7.22원에서 최대 20.78원까지 분포하고 있다. BD20에 대해 서는 평균 20.23 원 BD100에 대해서는 46.00원의 평균지불의사액을 나 타내고 있다. 바이오디젤의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지불의사액도 같이 늘어난다. 국산 원료에 대해서는 리터당 17.31원의 지불의사액을 가지고 있어, 국산 원료를 이용하는데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함을 알 수 있다. 주 유소의 위치가 기존의 주유소 또는 평소 이동경로에서 떨어져있을 경우 1km 당 약 -15.42원의 지불의사액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주유를 하기위 해서 먼 곳으로 이동해야 되는 것에 대한 응답자들의 수용의사액 (willingness to accept)을 말해준다. 즉 1km 떨어져 있는 주유소를 이용 하려면 리터당 15.42원 정도 보상을 받아야 한다.

<표 Ⅵ-9> 바이오디젤의 속성별 지불의사액

변수 평균 표준

오차

하위 95%

신뢰 구간

상위 95%

신뢰 구간 최소값 최대값 BD5 13.57 0.2701 13.0432 14.1021 7.2250 20.7803 BD20 20.23 0.2712 19.7005 20.7639 13.2706 27.6952 BD100 46.00 0.2803 45.4536 46.5527 36.6657 54.4542 DOM 17.31 0.0305 17.2510 17.3708 15.7150 17.9746 STA -15.42 0.0272 -15.477 -15.371 -16.015 -14.002

Dalam dokumen 바이오연료의 비시장가치 평가 (Halaman 97-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