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 한자어 형태 재인(再認) 양상
1.2. 한국 한자어 형태 재인(再認) 양상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좋은 L2 심리어휘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L2 심리어휘부는 철자로 제시된 한자어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한자 어 한글 형식 단어 재인)뿐만 아니라 음성으로 제시된 한자어의 의미도 잘 이해 (한자어 발음 형식 단어 재인)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한자어의 특성에 따른 한 자 형태소로 제시된 한자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한자어 재인 능력도 포함해 야 한다. 김지혜(2011:32-36)는 한국어 음운 정보가 어휘 접근에 주요 요소임을 실험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는데 음운 정보는 표기 정보보다 어휘 처리에 앞선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이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심리어휘부 의미 접근에서 한국어 어휘의 발음지식, 철자지식, 형태소지식 순으로 어휘 의미 접근 결과에 영 향을 미칠 수 있다고 의미한다.
본 절에서는 한국 한자어의 형태 지식 습득이 중국인 학습자의 한자어 의미 접 근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그 한자어 음운 지식, 철자 지식(한글 표기)과 형태소 지식(한자 표기)의 습득 난이도가 어떤지를 밝히고자 한다. 그리 고 한자어의 발음, 한글 철자, 한자 철자 등 어휘 지식 요인이 의미 접근에서 어떠 한 습득 결과와 선호도를 나타내는지, 그중 한자어 심리어휘부의 한글 형태소 지 식, 발음 지식, 한자 형태소 지식에 대한 학습 전략이 한자어 의미 접근하는 데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즉, 본고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 문 제는 동일한 한자어를 대상으로 한 한자어 재인 테스트에서 한자어 한글 철자 재 인은 한자어 발음 재인과 한자어 한자 철자 재인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에서 재인 요인에 따라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와 난이도를 나타내는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의미 접근에 따른 한자어 형태 습득 양상과 특성을 밝히기 위해 중국의 JN대학교 한국어학과에 재학 중인 한국 어 초·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2012년 10월 1일부터 1주일 동안 한자어 재인 테 스트를 수행하였다. 중국인 학습자의 한자어 재인 테스트 내용은 <부록1>, <부 록2>와 <부록3>과 같이 제시한다.
중국인 학습자가 L2 한자어 형태 지식인 한글 발음, 한글 철자, 한자 철자 등 어휘 지식들이 한자어 의미 접근에서 어떤 습득 난이도를 나타내는가에 대하여 한 자어 의미 재인 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해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함으
① 한글 철자 ② 한글 발음 ③ 한자 철자 합계
평균 21.00 12.50 22.30 18.60
표준편차 4.71 7.06 6.06 7.30
사례 수 10 10 10 30
<표 Ⅲ-1> 초급 학습자 한자어 재인 테스트에 대한 기술통계 결과 로써 밝히고자 한다.
먼저 본 논문에서 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한자어 재인 테스트 결과에 대하여 통 계 프로그램인 SPSS으로 분석한다. 같은 한국어 수준을 갖는 중국인 초급 학습자 30명을 대상으로 한 한자어 재인 테스트에서 다시 한글 재인 집단, 발음 재인 집 단과 한자 재인 집단에 각각 10명씩을 나눠서 집단별로 테스트를 하고 그 테스트 결과에 일원분산분석28)을 했다. 한자어 재인 테스트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통계 결 과는 <표 Ⅲ-1>과 같다.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자어 재인 테스트 결과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은 <표 Ⅲ-1>에서 밝히는 바와 같이 한글 철자 재인 집단에 속한 학습자들 의 평균은 21.00, 표준편차는 4.71, 한글 발음 재인 집단에 속한 학습자들의 평균 은 12.50, 표준편차는 7.06, 한자 재인 집단에 속한 학습자들의 평균은 22.30, 표 준편차는 6.06이다.
한자어 재인 방식에 따라 의미 접근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각 한자어 재인 테스트 결과에 대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Ⅲ-2>와 같 다.
28)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은 독립변수가 하나일 때 분산의 원인이 집단간 차이에 기인한 것인지를 분석하는 통계적 방법이다. 하나의 독 립변수에 의한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하게 되므로 이를 일원분산분석이라고 한다. 또한 분 산분석의 기본 원리는 분산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를 파악하는 통계적 방법이다. 만약, 세 집단에 처치를 가하였을 때, 처치효과가 있다면 집단간 차이가 발생할 것이고, 처치효 과가 없다면 집단간 차이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집답간 차이가 어느 정도 있을 때 처 치효과가 있는지를 검정하고자 한다면 기준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기준은 집단 내 차이, 즉 집단내 편차다. 편차의 합은 항상 0이 되므로 집단간 편차는 집단간 편차제 곱합으로 계산하고 집단내 편차는 집단내 편차제곱합으로 계산한다(성태제, 2008).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재인 방식 566.600 2 283.300 7.816 .002
오차 978.600 27 36.244
합계 1545.200 29
<표 Ⅲ-2> 초급 학습자 한자어 재인 테스트에 대한 일원분산분석 결과
세 집단의 평균차이에 대한 F통계값이 7.816, 유의확률이 .002로서 유의수준 .05에서 한자어 재인 방식에 따라 중국인 초급 학습자들의 한자어 의미 접근 결과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통계적 분석 결과에 의하면 같은 수준에 속한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 30명을 대상으로 한 한자어 재인 테스트 결과에 대한 일원분산분석에서 발음 재인 집단은 한글 재인 집단과 한자 재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를 보였다. 중국인 초급 학습자에게 있어 한자어 형식 요인에 따른 의미 접근 성취도가 다른데 그 가운데 발음 재인 집단은 제일 부족하고 다음으로 한글 철자 재인 집단과 한자 철자 재인 집단은 순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중국인 초급 학습자에게 한자어 발음 재인이 제일 어렵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학습자 한국어 숙달도 요인에 따라 한자어 의미 접근에서 한 자어 재인 형식 3유형들 간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중급 수준에 속한 중국인 3학년 학습자 30명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1일의 수업 시간에 한자어 재인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각 10명씩 나눈 한글 재인 집단과 발음 재인 집단, 그리고 한자 재인 집단 수험자의 결과에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으 로 일원분산분석을 하였다.
중국인 중급 학습자 한자어 재인 테스트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에서 한글 재인 집단과 발음 재인 집단, 그리고 한자 재인 집단 사이에 서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 였으나 발음 재인 집단과 한자 재인 집단, 한글 재인 집단과 한자 재인 집단, 세 집단의 평균차이에 대한 F통계값이 .136, 유의확률은 .873으로서 유의수준 .05에 서 한자어 재인 방식에 따라 중급 학습자들의 한자어 의미접근 성취수준에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구체적 통계분석 결과는 <표 Ⅲ-3>과
<표 Ⅲ-4>로 제시한다. 중국인 중급 학습자의 한자어 심리어휘부 의미 접근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재인 방식 3.467 2 1.733 .136 .873
오차 343.200 27 12.711
합계 346.667 29
<표 Ⅲ-4> 중급 학습자 한자어 재인 테스트에 대한 일원분산분석 결과
① 한글 철자 ② 한글 발음 ③ 한자 철자 합계
평균 25.00 24.20 24.80 24.67
표준편차 5.01 1.93 3.05 3.46
사례 수 10 10 10 30
<표 Ⅲ-3> 중급 학습자 한자어 재인 테스트에 대한 기술통계 결과 따른 형태 재인 결과가 한글 철자 지식(평균점수:25.00), 한글 발음 지식(평균점 수:24.20)과 한자 철자 지식(평균점수:24.80) 간에 평균점수가 차이가 있지만 유 의확률은 .873인데 통계적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다. 이는 중급 수준에 속한 중국인 학습자가 한자어 재인 방식에 따른 한자어 의 미 접근 성취도는 한글 철자, 한글 발음과 한자 철자 재인 세 요인에 따라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한자어 의미 접근 방식에 따른 한자어 형태 지식 습득이 한자어 발음 습득이 중급 단계에 올라가면서 다른 두 가지의 한 자어 지식 습득보다 진보가 큰 것을 의미한다.
중국인 초·중급 학습자 간에 한국어 수준에 따라 한자어 형태 지식 재인의 차이 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초·중급 한자어 재인 테스트 결과 간에 각각 독 립표본 t검정29)을 실시하였다. 학습자 급별로의 한자어 재인 테스트 결과에 대한 통계결과는 아래 <표 Ⅲ-5>, <표 Ⅲ-6>, <표 Ⅲ-7>과 같다.
29) t-검정은 두 집단 간 평균의 차이를 비교할 때 사용되는 분석기법이다. 서로 독립적인 두 집단에서 측정한 자료를 분석하는 ‘독립표본 t-검정’과 한 집단에서 두 번 측정한 자 료와 같이 상관성이 있는 자료를 분석하는 ‘대응표본 t-검정’이 있다(성태제, 2008).
학습자 수준 초급 중급
평균 21.00 25.00
표준편차 4.71 5.01
사례 수 10 10
t 통계값 -1.839
유의확률 .083
<표 Ⅲ-5> 학습자 수준에 따른 한자어 한글 철자 재인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결과
먼저 수준별로의 한글 철자 재인 능력에 대한 t검정 결과를 살펴보자(<표 Ⅲ -5>). 초급 학습자의 한자어 한글 철자 재인 능력의 평균은 21.00, 표준편차는 4.71이며 중급 학습자들의 한자어 한글 철자 재인 능력의 평균은 25.00, 표준편차 는 5.01이다. 초·중급 학습자들의 한글 철자 재인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t 통계값은 –1.830, 유의확률은 .083으로서 유의수준 .05에서 초·중급에 따라 한글 철자 재인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 학습자 수준별로의 한글 발음 재인 능력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의 결과를 살펴보자(<표 Ⅲ-6>). 초급 학습자의 한자어 한글 발음 재인 능력의 평균은 12.50, 표준편차는 7.06이며 중급 학습자들의 한자어 한글 발음 재인 능력의 평균 은 24.20, 표준편차는 1.93이다. 초·중급 학습자들의 한글 발음 재인 능력에 차이 가 있는지에 대한 t통계값은 –5.055, 유의확률은 .000으로서 유의수준 .001(p
<.001)에서 초·중급에 따라 한글 발음 재인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중급 학습자의 결과에 따른 결론에 맞춰서 다 시 한자어 한글 발음 재인 능력이 초급 학습자에게 제일 어렵다는 것과 한국어 수 준의 높임에 따라 한자어 발음 습득 성취도가 많이 늘어났다는 것을 말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