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중 한자어 음운 인식 양상

한국 한자어의 대부분은 차용될 때 중국어 어휘의 발음과 의미 그대로 큰 변화 없이 받아들였기 때문에 현대 한국어 한자어의 발음이나 형태와 의미가 대응되는 중국어 어휘와 유사점이 많다. 하지만 교착어 유형에 속한 한국어와 고립어 유형 에 속한 중국어 언어 간에 문법 차원에서 다른 점이 많고 중국어 어휘의 발음, 형 태, 의미 등 어휘 요소가 역사적 변천에 따라 고대 중국어와 다른 점도 많기 때문 에 한국어 한자어와 대응된 중국어 어휘 간에 차이점도 나타나기 마련이다. 또한 한글 전용 문자 정책이 시행되어 온 이래 현대 한국의 한자어 한자 병용에 제한되 어 있어 한국에 있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에서뿐만 아니라 중국에서의 한국 어 교재에서는 한국 한자어 병기는 거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에게 있어 한글 글자로 표기된 한자어를 배우는 데 특히 초급단계에서 한국어 고유어의 배움과 학습책략 면에서 거의 완전히 같다. 또한 현대 한국 한자어의 표기는 한자 형태소가 노출되지 않아서 본질적으로 표음적 음절 형식이다. 그래서 중국인 학습 자가 한국어 한자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한자어 음운 인식이 한자어 배우는 데 있 어 기초적이다.

그런데 한·중 한자어 음운 대응관계에서 드러난 특성은 중국인 학습자가 유리한 점과 불리한 점이 각각 무엇인가? 중국어 어휘에서는 성조의 요소를 고려하지 않 으면 동음자(同音字)가 많고 그 동음자라도 한국어 한자음으로는 발음이 상동한 것도 있고 상이한 것도 있다. 예를 들면 중국어 동음자인 ‘案’자와 ‘安’자의 병음

‘/an/’에 맞는 한국어 한자가 ‘안’뿐이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에게 있어서 학습하 는 데 유리한 점이 될 수 있다. 반면에 중국어 ’成’자의 병음 ‘cheng’에 맞먹는 한 국어 한자는 글자에 따라 한자음으로는 ‘칭(稱), 탱(撑), 성(成, 城, 誠, 晟), 승 (承, 乘, 丞), 징(懲, 徵, 澄), 정(程, 呈)’ 등이 여섯 가지로 읽히는데 중국인 학습 자가 학습하는 데 쉽게 혼동할 수 있으니 불리한 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한·중 한자 음운에서 나온 이동점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 은 한자어 음운 인식 테스트를 설계하고자 한다.

한·중 한자어 음운 대응 유형

(중국 한자 발음 상동) 한국 한자음 상동 한국 한자음 상이

①중동음·한동음

(中同音·韓同音) 案內(/an/)-安定(/an/) √(안내-안정)

②중동음·한이음

(中同音·韓異音) 發見(/jian/)-健康(/jian/) √(발견-건강)

<표 Ⅲ-8> 한·중 한자어 음운 인식 테스트의 내용 예시

한·중 한자어쌍

(제시어) 한국 한자음 상동

(정답) 한국 한자음 상이 (정답) 예시

基礎-機會 √(기초-기회)

發見-健康 √(발견-건강)

1 危險-先輩 √(위험-선배)

2 可望-科目 √(가망-과목)

3 格言-個月 √(격언-개월)

<표 Ⅲ-9> 한·중 한자어 음운 인식 테스트의 내용 및 정답 2.1.2. 테스트 내용 및 방법

본 논문에서는 한국 한자어 학습이 서구 학습자보다 한자문화권에 속한 중국인 학습자에게 유리한 점과 불리한 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이중언어 동질성과 상호작 용 가설을 기반으로 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한·중 한자음의 차이가 한자어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가를 한·중 한자어 음운 인식 테스트로 밝히고자 한다.

중국의 JN대 한국어학과에 재학 중인 중국인 초급 학습자 30명과 중급 학습자 30 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3년 1월 7일에 한국 한자어 음운 인식 능력 측정 테스트 를 학습자의 수업 시간에 실시하였다. 한자어 음운 인식 테스트를 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중 한자음의 대응 관계에서 중동음·한동음(中同音·韓同音) 한자31)와 중 동음·한이음(中同音·韓異音) 한자32) 두 가지의 한자음 유형으로 유형화하고 아래

<표 Ⅲ-8>과 <표 Ⅲ-9>와 같은 한자어 음운 인식 테스트를 설계하였다.

31) 중동음·한동음(中同音·韓同音) 한자란 한·중 한자어 쌍에서 중국어 두개 혹은 두개 이상 의 동음자가 한국어 한자음에서 하나의 음소로 발음되는 한자음 유형을 가리킨다.

32) 중동음·한이음(中同音·韓異音) 한자란 한·중 한자어 쌍에서 중국어 두개 혹은 두개 이 상의 동음자가 한국어 한자음에서 하나 이상의 음소로 발음되는 한자음 유형을 가리킨다.

4 恭敬-公務員 √(공경-공무원)

5 結實-試驗 √(결실-시험)

6 季節-記錄 √(계절-기록)

7 擔任-單純 √(담임-단순)

8 短點-單純 √(단점-단순)

9 同時-統一 √(동시-통일)

10 文明-溫暖 √(문명-온난)

11 微笑-學校 √(미소-학교)

12 發明-理髮 √(발명-이발)

13 干燥-感情 √(건조-감정)

14 不親切-補充 √(불친절-보충)

15 案內-安定 √(안내-안정)

16 社會-智慧 √(사회-지혜)

江邊-將棋 √(강변-장기)

17

詩集-始作 √(시집-시작)

18

適當-市場 √(적당-시장)

19

歷史-理由 √(역사-이유)

20

2.1.3. 테스트 결과 분석

본 논문은 먼저 한‧중 한자어 음운 인식 판단 테스트 결과에서 중국인 초급 학 습자와 중급 학습자가 각각 중동음·한동음(中同音·韓同音) 한자(유형①)와 중동음·

한이음(中同音·韓異音) 한자(유형②)에 대한 정답률을 통계적으로 분석했는데 그 결과는 아래 <표 Ⅲ-10>과 같다.

<표 Ⅲ-10>은 중국인 초‧중급 학습자의 한자 유형별로의 정답률이 어떠한가 를 고찰하기 위해 중동음·한동음(韓同音·中同音) 한자와 중동음·한이음(韓同音·中 異音) 한자 간의 평균값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 결과인데 초급 학습자의 경우에는 중동음·한동음(中同音·韓同音) 한자와 중동음·한이음(中同音·韓異音) 한자에 대한 정답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중급 학습자의 경우에도 두 가 지 한자음 유형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중국인 학습 자가 한국어 수준의 향상에 따라 중동음·한동음(中同音·韓同音) 한자와 중동음·한 이음(中同音·韓異音) 한자에 대한 음운 인식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

중동음·한동음 한자 중동음·한이음 한자

평균 62.6667 33.9000

표준편차 25.04249 14.93976

사례 수 30 30

t 7.140

유의확률 .000

<표 Ⅲ-10> 초급 학습자 한·중 한자어 음운 유형 간의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중동음·한동음 한자 중동음·한이음 한자

평균 91.3333 66.8667

표준편차 14.55864 17.95345

사례 수 30 30

t 7.230

유의확률 .000

타난 것으로 테스트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에서 잘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국 인 학습자에게 있어 중동음·한이음(中同音·韓異音) 한자에 대한 음운 인식 난이도 가 중동음·한동음(中同音·韓同音) 한자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어 한자음 습득 효과에 대한 검정 결과를 고려할 때 중국에서의 한자음 교육에서는 먼저 중동음·한동음(中同音·韓同音) 한자의 발음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기본적 원 칙이어야 하고 다음에 중동음·한이음(中同音·韓異音) 한자의 발음을 교수하는 것 이 한자음 교육의 중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표 Ⅲ-11> 중급 학습자 한·중 한자어 음운 유형 간의 대응표본 t검정 결과

<표 Ⅲ-12>의 결과에서는 수준별로 중국인 초‧중급 학습자 간의 한자음 인식 테스트 결과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인데 중동음·한동음(中同音·韓同音) 한자 유형 에 대한 음운 판단 정답률 평균값이 초급 학습자의 정답률 평균값(62.67)과 중급 학습자의 정답률 평균값(91.33) 사이에 유의확률이 .00인데 유의수준 .05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고 중동음·한이음(中同音·韓異音) 한자에 대한 초‧중급 학습자 간의 정답률 평균값(33.90-66.87) 사이에도 유의확률이 .00인데

학습자 수준 초급 중급

평균 62.6667 91.3333

표준편차 25.04249 14.65803

사례 수 30 30

t 통계값 -5.420

유의확률 .000

▷결과(2): 중동음·한이음 유형

학습자 수준 초급 중급

평균 33.9000 66.8667

표준편차 14.93976 17.95345

사례 수 30 30

t 통계값 -7.731

유의확률 .000

<표 Ⅲ-12> 학습자 수준에 따른 한·중 한자어 음운 인식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1): 중동음·한동음 유형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다. 이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수준의 향상에 따라 한자어 음운 습득이 많이 늘었다는 것으로 테스트 결과에 대한 급별 로의 독립표본 t검정 통계분석에서 잘 알 수 있다.

한·중 한자어 음운 인식 테스트에서 중국인 초‧중급 한국어 학습자가 각 중동음·

한동음(中同音·韓同音) 한자어 쌍과 중동음·한이음(中同音·韓異音) 한자어 쌍 유형 에 쉽게 범할 수 있는 한자어 음운 인식 오류 양상과 그 양상에 따른 빈도를 다음 의 <표 Ⅲ-13>과 <표 Ⅲ-14>와 같다.

<표 Ⅲ-13>과 <표 Ⅲ-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논문에서 중국인 초·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음운 인식 테스트에서 나온 습득 양상을 유형화하고 분석 함으로써 각 한자어 유형의 한자어 음운 인식에 대한 정·오답 양상 및 빈도를 밝 혔다. 각 유형에 속한 정·오답의 특성 및 원인을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자 한다.

첫째, 중동음·한동음 유형에서 아무 대답이 없는 항목이 모든 한자어 쌍에 다 나 타났는데 ‘공무원’의 ‘공(公)’자에 제일 낮은 빈도 4번으로, ‘이발(理髮)’의 ‘발(髮)’

자에 제일 높은 빈도 22번으로 보였다. 이는 중국인 초급 학습자에게 있어서 중동

한·중

한자음 유형 한자어 쌍 정답 빈도 오답 양상과 오답 빈도

중동음·한동음 (中同音·韓同音)

敬-務員 경-무원

공(恭):(30) Ø(6)33) 공(公):(32) Ø(4) 點-鍛鍊

점-

단(短):(20) Ø(13); 적(1); 작다(1); 담(1) 단(鍛):(23) Ø(13)

明-理 발(發):(20) Ø(15); 팔(1)

<표 Ⅲ-13> 초급 학습자의 한자어 음운 인식 오류 양상(n=36)

음·한동음 유형의 한자음에 대한 인식이 많이 모자란 것을 의미한다. 이 가운데

‘단점’의 ‘단(短-/duan/)’자에 대해 ‘담(談-/tan/)’자로 인식하는 것이 이 두 한자의 중국어 병음이 같은 운모 ‘an’을 갖는 부정적인 전이 때문에 나타날 오류이다. 다 른 오류 중에 ‘이발’의 ‘발(髮-/fa/)’자에 ‘팔(八-/ba/)’자로, ‘시작’의 ‘시(始 -/shi/)’자에 ‘사(史-/shi/)’자나 ‘식(式-/shi/)’자로 잘못 인식하는 것도 중국어 한 자 원음의 운모(/i/)의 부정적 영향이나 전이로 인해서 발생한 오류라고 한다.

둘째, 중동음·한이음 유형의 오류 양상과 특성을 살펴보자. 중국인 학습자가 한 자어 음운 인식 테스트에서 ‘담임’의 ‘담(擔)’자, ‘동시’의 ‘동(同)’자, ‘통일’의 ‘통 (統)’자, ‘건조’의 ‘건(乾)’자, ‘지혜’의 ‘혜(慧)’자를 제외하고 남은 한자에 대해 아 무 대답이 없는 오류 형식이 제일 많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인 초급 학습자가 중 동음·한이음 한자어 음운 유형에 대한 음운 인식 능력이 많이 부족한 것을 뜻한다.

한자어 음운 인식 오류 양상은 몇 가지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위험’의 ‘험(險 -/xian/)’자에 대한 음운 인식 오류는 ‘선(先-/xian/)’자, ‘헌(憲-/xian/)’자와 ‘함 (咸-/xian/)’자 등이 있는데 이 오류들이 모두 같은 운모(/ian/)를 갖는 한자의 중 국어 원음의 부정적 전이 때문에 나타낸 것이다. 한국 한자어 음운 인식의 다른 한 가지 오류 형식은 해당 중국어 한자 병음의 성모의 부정적인 전이로 인해 나타 난 것이다. 예를 들면 중국인 학습자는 ‘동시’의 ‘동(同-/tong/)’자에 대해 ‘통(統 -/tong/)’자로 잘못 인식하는 오류 형식이 바로 해당 중국어 한자 ‘동(同)’과 같은 성모를 갖는 다른 한자 ‘통(統)’의 부정적인 전이로 인해 나타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오류 유형은 총괄적으로 보면 모두 한국어에서 중동음·한이음 한자어 쌍 유 형이 많이 있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에게 있어서 쉽게 범할 수 있는 것이라고 판 단한다. 이는 중국인 학습자가 L2 한국어 한자어에 대한 습득은 L1 중국어 음운 의 부정적인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