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중 한자어 의미 인식 양상

슈미트(Schmitt, 2002:72)에서는 이중언어 학습자의 언어 산출 과정은 이중언 어 심리어휘부의 대역어 간에 적극적 선택적이고 경쟁적인 처리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즉, 이중언어 대역어의 레마37)(lemma, 詞條)가 언어 산출 과정 에서 모두 활성화된 상태에 있다고 한다.

이중언어 심리어휘부 연구에 대해 학자들이 여러 인지 표상 모델을 설계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L2 어휘력의 발달 과정은 모국어 어휘 지식으로부터 목표어 어휘 지식까지의 발달 과정이다. 먼저 L1 어휘의 의미 체계 중의 일부 개념을 전 이함으로써 긍정적 전이의 강화에 따라 L2 어휘의 의미 표상 체계가 머릿속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싱글턴(Singleton, 2006:32)의 논의에서 L2 어휘 처리에서 형태와 의미 중에서 의미가 절대적 지위를 갖고 있고 모어 화자나 고급 수준 L2 학습자에게는 의미의 근사성이 형태의 근사성보다 더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L2 어휘 습득에서 의미의 습득이 더 어렵다고 지적하기도 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L2 어휘 습득 과정에서 L1 언어에서 받은 영향은 어휘의 형태와 의미 측면에서 모두 나타날 수 있지만 그 가운데 어휘의 의미가 핵심적인 영향 요 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중언어 심리어휘부 차용어 상호작용 모델에 따르면 한·중 한자어의 의미가 이 중언어 학습자의 심리어휘부에서 공동한 표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지앙(Jiang, 2002:416)38)은 L2 어휘 습득의 형식-의미 투사(form-meaning mapping) 결과

37) 슈미트(Schmitt, 2002:72)의 논의에 의하면 심리어휘부에서 어휘적 의미와 통사적 의미 를 가리키는 어휘항목(lexeme, 詞位)과 병행적인 용어인데 어휘의 형태와 음운 정보를 포 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과와 의미 전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중언어 어휘 의미 상관성 (Lexical Semantic Relatedness Test, LSRT) 테스트를 설계했다. 어휘 의미 상관성 테스트는 두 가 지의 단어 쌍을 포함하는데 한 가지는 같은 L1 대역어를 갖는 동역어(同譯語) 쌍 이고 다른 한 가지는 같지 않은 L1 대역어를 갖는 이역어(異譯語) 쌍이다. 지앙 (Jiang, 2002)의 이중언어 어휘 의미 상관성 테스트에서 의미 상관성이 큰 동역어 쌍 유형과 의미 상관성이 약한 이역어 쌍 유형에서 각각 다섯 가지의 의미 상관성 판단 기준을 제기했다. 즉, 5점 수준에서는 의미 상관성이 제일 높은 어휘 쌍을 의미하고 4점 수준에서 1점 수준까지 어휘 쌍의 의미 상관성이 점점 약해지면서 1점 수준의 의미 상관성이 제일 약한 유형을 말한다. 이 연구 방법의 이론적 근거 는 만약 학습자가 습득한 L2 어휘의 의미 체계가 L1 어휘 의미의 영향을 받지 않 는다면 즉 학습자의 L2 어휘 의미 자동성(lexical semantic autonomy)이 이루어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방법이 L2 어휘 의미 자동성과 의미 습득 결 과를 검증할 수 있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선행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하 여 한·중 한자어 의미 상관성 인식 테스트를 설계하고 실시할 것이다. 그 구체적인 테스트 내용, 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2.3.2. 테스트 내용 및 방법

본 논문은 차용어에 속한 한국어 한자어가 중국어 어휘 간에 동형동의어(同形同 義語)와 동형이의어(同形異義語)가 많다는 특성을 감안하여 지앙(Jiang, 2002)의 의미 상관성 테스트의 설계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한자어 의미 상관성 테스트를 설계하고 중국 JN대학교 한국어학과에 재학 중인 중국인 초·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각각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3년 1월 7일에 테스트를 실시했다. 한국어 한자어 의미 상관성 테스트를 실시하는 종극적인 목표는 한‧중 한자어 형태 차원에서뿐만

38) 지앙(Jiang, 2002)의 논의에 의하면 L2 어휘 습득 과정은 3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즉 첫째 단계는 형식 지향 습득 단계인데 심리어휘부 어휘 항목이 L2 어휘의 형식 지식(발 음과 철자)과 대응된 L1 대역어 어휘 지식만 갖는 것이다. 둘째 단계는 모국어 어휘지식 과의 융합 단계인데 L2 어휘를 쓰일 때 L2 어휘의 형식 지식은 L1 모국어 대역어의 의 미, 통사 등 어휘 지식과 동시에 추출된 것이다. 셋째 단계는 L2 어휘와 관련된 의미, 통 사 및 조어법 등 어휘지식이 L2 어휘 자체에 잘 융합되고 완전히 L2 어휘의 항목에 들어 간다.

한자어

유형

유형1 완전동의어

(한=중)

유형2 부분이의어①

(한<중)

유형3 부분이의어②

(한∩중)

유형4 부분이의어③

(한>중)

유형5 완전이의어

(한≠중) 의미

상관도 기준

5점 (제일 강함)

4점 (비교적 강함)

3점 (가운데)

2점 (비교적 약함)

1점 (제일 약함)

예 문화-文化 작용-作用 사업-事業 인간-人間 세수-洗手

<표 Ⅲ-23> 한·중 한자어 의미 인식 테스트 예시

아니라 의미 차원에서도 나타나는 동질성과 이질성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 자어 의미 습득에서 한자어의 의미 차이에 따른 인식 양상과 특성이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해서이다. 한국 한자어 의미 상관성 인식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의 내용 은 Ⅱ장에서 분류된 한자어 여섯 유형을 바탕으로 하여 한자어의 의미 유형을 다 시 한‧중 완전동의(完全同義) 한자어(한=중), 한‧중 부분이의(部分異義) 한자어 (한·중 한자어의 의미 범위가 다름)39), 한‧중 완전이의(한≠중) 한자어 등 다섯 가 지의 한자어 유형으로 나눠 한자어 의미 상관성 인식 테스트를 설계했다. 한·중 한 자어 의미 상관성 인식 테스트 내용은 중국 북경대『한국어 1-2』 교재에서 검색 된 수험자가 이미 배웠고 숙지한 초급 등급에 속한 한자어 쌍을 뽑아서 다음과 같 이 그 테스트 내용을 만들었다. 즉, 유형1: 한·중 완전동의(完全同義) 한자어(안경 -眼鏡, 운명-命運, 열광-狂熱, 역할-作用), 유형2: 한·중 부분이의(部分異義) 한 자어①(한<중: 성격-性格; 인간-人間; 구사-驅使; 무리-無理), 유형3: 한‧중 부 분이의(部分異義) 한자어②(한≈중: 작용-作用; 진로-進路; 파악-把握; 정신-精 神), 유형4: 한·중 부분이의(部分異義) 한자어③(한>중: 인사-人事; 구속-拘束;

사업-事業; 단위-單位), 유형5: 한·중 완전이의(完全異義) 한자어(세수-洗手; 문 물-文物; 조심-操心; 애인-愛人) 등 한·중 한자어 쌍들이다. 또한 각각 한·중 한 자어 유형에 다시 4개씩 한자어 쌍을 선정했고 그 한자어 의미 상관성 인식 테스 트의 내용으로 삼았다. 구체적인 테스트의 예시와 내용은 다음 <표 Ⅲ-23>과 같다.

39) 한·중 부분이의 한자어는 다시 한·중 부분이의 한자어①(의미범위: 한<중), 한‧중 부분 이의 한자어②(의미범위: 한∩중, 부분 중첩, 부분 다름), 한·중 부분이의 한자어③(의미범 위: 한>중) 등 하위 유형을 포함한다.

语义相关性 (의미상관성) 韩汉词对 (한·중·한자어쌍)

5점 4점 3점 2점 1점

제일 강함

(한=중) 비교적 강함

(한<중) 가운데

(한∩중) 비교적 약함

(한>중) 제일 약함

(한≠중)

가족-家族

1 안경-眼镜

2 성격-性格

3 작용-作用

4 인사-人事

5 세수-洗手

6 운명-命运

7 인간-人间

8 진로-进路

9 구속-拘束

10 문물-文物

11 열광-狂热

12 구사-驱使

13 파악-把握

14 사업-事业

15 조심-操心

16 역할-作用

17 무리-无理

18 정신-精神

19 단위-单位

20 애인-爱人

<표 Ⅲ-24> 한‧중 한자어 의미 인식 테스트 내용

2.3.3. 테스트 결과 분석

본 연구는 중국인 초‧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자어 의미 상관 성 인식 테스트에서 아래 <표 Ⅲ-25>와 같은 결과를 냈다. 동일 한국어 학습자 의 한·중 한자어 다섯 유형에 대한 의미 상관성 판단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자어 5유형의 의미 상 관성 평균점수40)를 갖고 SPSS으로 반복측정41)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중국인 초‧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유형-간 85.19 59 1.44

유형-내 204.84 240

의미상관도 6.27 4 2.92 1.87 .16

오차 198.52 236 0.84

전체 290.03 299

유형① 유형② 유형③ 유형④ 유형⑤

평균 3.55 3.26 3.68 3.52 3.38

표준편차 .87 .65 .73 .78 1.58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의미 상관성 인식 테스트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는

<표 Ⅲ-25>와 같다.

<표 Ⅲ-25> 한·중 한자어 의미 상관성 5유형에 대한 기술통계(n=60)

이상의 <표 Ⅲ-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중 한자어 의미 상관성 인식 테스트 결과에 대한 반복측정 결과는 각 한자어 유형에 대한 판단 점수로서 한·중 한자어 ①유형에 대한 평균은 3.55이고 표준편차는 .87, 한·중 한자어 ②유형에 대한 판단 점수 평균은 3.26이고, 표준편차는 .65이며, 한·

중 한자어 ③유형에 대한 판단 점수 평균은 3.68이고, 표준편차는 .73이며, 한·중 한자어 ④유형에 대한 판단 점수 평균은 3.52이고, 표준편차는 .78이며, 한·중 한 자어 ⑤유형에 대한 판단 점수 평균은 3.38이고, 표준편차는 1.58이다.

중국인 학습자의 각 한·중 한자어 쌍 유형에 대한 의미 상관도 판단 점수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의 <표

Ⅲ-26>과 같다.

<표 Ⅲ-26> 한·중 한자어 의미 상관성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40) 한·중 한자어 의미 상관성 판단 점수는 각 유형에 속한 4개 한자어 쌍에 대한 판단 점수 의 합을 4로 나눠서(예, (5+3+2+2=12)/4=3점) 받은 평균 판단 점수이다.

41) 반복측정은 달리 반복설계(repeated design)라고 하는데 동일한 연구대상에게 다른 처 치를 반복적으로 가하여 그 처치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는 설계방법이다.

한·중 한자어 의미 상관도 차이 점수들이 동일한 분산을 가져야 한다는 구형성 가정42)을 검정한 결과, 유의확률이 .000으로써 구형성 가정이 총족되지 않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공분산의 동질성 가정의 위배에 의한 통계적 오류를 교정 하기 위해 다음으로 Greenhouse-Geisser에 기초한 F통계값과 유의확률에 의해 각 한·중 한자어 5유형 간의 상관성 점수 차이가 있는지를 해석한다.

한·중 한자어 5유형 내에서 각 유형의 의미 상관성 인식 점수의 차이에 대한 통 계적 유의성 검정 결과, F통계값은 1.87, 유의확률은 .16으로서 유의수준 .05에서 중국인 초·중급 학습자가 각 한·중 한자어 유형에 대한 의미 상관도 인식에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 한·중 한자어 5유형 간의 의미 상관성 인식 결과에 대한 반복측정의 결과 는 중국인 초·중급 학습자 간뿐만 아니라 각 한자어 5유형들 간에도 서로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중 5유형의 한자 어 의미 상관성에 대한 인식이 많이 부족한 것을 말해준다. 또한 한·중 한자어 의 미 간의 차이에 대한 교수 학습이 중국인 초급 학습자에게 뿐만 아니라 중급 학습 자에게도 한자어 교육 내용의 중점이자 난점이 될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