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중 한자어 형태소 인식 양상

한국 한자어 형태소는 1글자 또는 1음절로 실현되며, 대부분의 의존적이라는 특 성을 갖고 있다. 즉 한자어 형태소들은 다른 형태소와 결합된 상태로만 문장에서 출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방어’의 ‘防’은 그 자체만으로는 하나의 단어가 될 수 있지만 문장에서 나올 수 없다. 즉 한자어의 형태소는 그 크기가 정확하게 글자 하나에 해당한다. 자모나 글자열은 한자어 형태소를 표기하는 데는 사용되지 않는 다. 또한 한자어는 두 개 이상의 형태소의 결합이면서도 한국어 고유어의 복합어 (예:입말)와 매우 다른 성질을 갖고 있다. 그리고 한자어 형태소의 또 한 가지 특 징은 표기와 형태소의 대응 관계가 일정하지 않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方’, ‘防’,

‘房’, ‘放’ 등의 형태소가 모두 표기상으로는 하나의 표음 글자 ‘방’과 대응하고 있 다. 이것은 현행 한글 맞춤법에서 한자를 표기에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한자어의 형태소 습득이 중국인 학습자에게 있어 어렵게 하는 요인 중의 하나이기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중국인 학습자는 한글 표기 한자어를 배울 때 그 한자어의 한자 형태소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비한자문화권에 속한 학습 자들의 한자어 습득과 거의 차이 없으므로 한자어의 습득이 고유어에 비해 쉽다고 할 수 없다.

중국인 학습자가 한자어의 형태소들을 얼마나 이해할 수 있을까? 앞 절에서 언 급한 바와 같이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서 한자어의 한자 형태소가 노출되지 않아서 한자 교육의 강도도 아주 낮고, 중국인 학습자가 한자어에 대한 이해도 상당히 저조하다는 점을 3.1절의 한자어 재인 테스트 연구에서 알 수 있 다. 한국어 초급 단계에 재학 중인 학습자는 한국 한자어의 한자 형태소 인식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심리어휘부에서 한자 형태소 산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한국 한자어를 배울 때 그 한자어 하나하나를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하 나의 덩어리로서 인지하거나 학습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중국인 초급 학습 자가 ‘천지, 천하, 지하’ 등과 같은 한자어를 처음에 학습할 때 거기에 ‘천’, ‘지’,

‘하’ 등의 보다 작은 형태소 의미 단위가 있음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중 국인 초·중급 학습자의 한자어 한자 형태소 인식 능력의 실제적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한·중 한자어 형태소 대조에서 나타나는 유형을 참조하여 다음 과 같은 한자어 형태소 인식 테스트를 설계하고 실시했다.

한·중 한자어 쌍 형태소 대응 유형 한자어 형태소 동일 한자어 형태소 상이

① 한동형·중동형

(韓同形·中同形) 경험—경영 √(經驗-經營)

② 한동형·중이형

(韓同形·中異形) 가구-가요 √(家具—歌謠)

<표 Ⅲ-16> 한·중 한자어 형태소 인식 테스트의 예시

한국 한자어쌍 (제시어)

한자 형태소 상동 (정답)

한자 형태소 상이 (정답)

예시 작가-가족 √(作家-家族)

가입—가족(加入-家族)

1 가구-가요(家具-歌謠)

2 경험-경영(經驗-經營)

3 녹색-녹음기(綠色-錄音器)

4 농사-농담(農事-弄談)

5 독서실-독립(讀書室-獨立)

6 만족-만점(滿足-滿點)

<표 Ⅲ-17> 한·중 한자어 형태소 인식 테스트의 내용 및 정답 2.2.2. 테스트 내용 및 방법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JN대 한국어학과에 재학 중인 중국인 초·중급 한국어 학 습자를 각각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3년 1월 7일에 한자어 한자 형태소 인식 테스트를 설계하였다. 테스트의 구체적인 내용은 두 개의 한자어 쌍에서 나온 한 동형·중동형(韓同形·中同形)34) 한자와 한동형·중이형(韓同形·中異形)35) 한자를 주 고찰 대상으로 하여 이 두 가지 유형의 한국 한자에 대한 한자 형태소가 무엇인지 를 인식하고 판단하게 하는 것이다. <표 Ⅲ-16>과 <표 Ⅲ-17>은 한자어 한자 형태소 인식 테스트의 예시와 내용이다.

34) 한동형·중동형(韓同形·中同形) 한자란 한국어 한자어쌍 한자 형태소에서 같은 한글 철자 형식을 갖고 있는 한자가 대응된 한자 형태소가 동일한 한자를 뜻한다.

35) 한동형·중이형(韓同形·中異形) 한자란 한국어 한자어쌍 한자 형태소에서 같은 한글 철자 형식을 갖고 있는 한자가 대응된 한자 형태소가 상이한 한자를 뜻한다.

7 방송-다방(放送-茶房)

8 번역-번호(飜譯-番號)

9 사상-사실(思想-事實)

10 세기-세탁소(世紀-洗濯所)

11 약간-약국(若干-藥局)

12 이발소-이익(理髮所-利益)

13 차례-차비(茶禮-車費)

14 지각하다-편지(遲刻-便紙)

15 남자-자연(男子-自然)

16 통장-통지(通帳-通知)

17 연필-필기(鉛筆-筆記)

18 피곤하다-피부(疲困-皮膚)

19 판단-판매(判斷-販賣)

20 휴대폰-휴지통(携帶-休紙桶)

2.2.3. 테스트 결과 분석

중국인 초·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각각 30명씩의 초급 집단과 중급 집 단으로 나눠서 2012년 10월 1일의 수업 시간에 한·중 한자어 형태소 인식 테스트 를 실시했고 각 한자어 형태소 유형과 학습자 집단 간의 결과에 대한 분석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밝히었다. 본 연구에서 초‧중급 학습자 간 의 한자 형태소 인식 정답의 평균값을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으로 독립표본 t 검정을 했다. 아래 <표 Ⅲ-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급 집단과 중급 집단 간에 각각 한·중 한동형·중이형(韓同形·中異形) 한자어 쌍과 한·중 한동형·중동형(韓同 形·中同形) 한자어 쌍36)에 대한 형태소 인식 결과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초‧중급 학습자 집단 간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을 하는 분 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자 형태소 인식 능력이 한국어 수준이 올라가면서 초급 학습자보다 중급 학습자가 진 보가 많이 있는 것으로 테스트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에서 잘 알 수 있다.

36) 편의상 본 논문에서는 이하의 <표 Ⅲ-18>에서 나온 한동형·중동형(韓同形·中同形) 한 자 유형을 ①로 표시하고 한동형·중이형(韓同形·中異形) 한자 유형을 ②로 표시할 것이다.

학습자 수준 초급 중급

평균 36.25 39.85

표준편차 30.86 20.72

사례 수 30 30

t 통계값 -6.832

유의확률 .000

▷결과(2): 한동형·중이형(韓同形·中異形) 유형

학습자 수준 초급 중급

평균 88.75 73.50

표준편차 15.12 12.61

사례 수 30 30

t 통계값 -6.204

유의확률 .000

<표 Ⅲ-18> 학습자 수준별 한·중 한자 형태소 유형 간의 독립표본 t검정 결과 ▷결과(1): 한동형·중동형(韓同形·中同形) 유형

그리고 같은 한국어 수준을 가지고 있는 초급 집단과 중급 집단에 속한 학습자 의 한자 형태소 판단 정답률을 각각 한동형·중동형(韓同形·中同形) 한자어, 한동 형·중이형(韓同形·中異形) 한자어 두 유형별로 대응표본 t검정을 했다. 초급 집단 학습자가 유형별로의 한자 형태소 정답률 간에 대한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으나 중급 집단 학습자가 유형별로의 한자 형태소 정답률 간에 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초급 집단에서는 한동형·중동형(韓同形·中同形) 한자 어 유형에 대한 정답률 평균값이 39.85이고 한동형·중이형(韓同形·中異形) 한자어 에 대한 정답률 평균값이 36.25인데 이 결과는 초급 학습자가 한자 형태소에 대한 인식이 아주 부족한 것으로 잘 알 수 있으며 중급 집단에서는 한동형·중동형(韓同 形·中同形) 한자어에 대한 정답률 평균값이 73.5이고 한동형·중이형(韓同形·中異 形) 한자어에 대한 정답률 평균값이 88.75인데 두 유형 간의 정답률 평균값에 대 한 대응표본 t검정에서 유의확률이 .001이고 유의수준 .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 를 나타냈다. 한동형·중이형(韓同形·中異形) 한자어 한자 형태소 인식 결과가 한동 형·중동형(韓同形·中同形) 한자어 한자 형태소 인식 결과보다 부족한 것이 테스트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표 Ⅲ-18>과 <표 Ⅲ-19> 참조)에서 잘 분석되며 중국 인 학습자가 한동형·중이형(韓同形·中異形) 한자어의 한자 형태소 습득이 한동형·

중동형(韓同形·中同形) 한자어 습득보다 더 어려운 것도 테스트 결과에 대한 통계

한자어 유형 한동형·중동형 한자 한동형·중이형 한자

평균 36.25 39.85

표준편차 30.86 20.72

사례 수 30 30

t 통계값 .592

유의확률 .561

▷결과(2) 중급 학습자

한자어 유형 한동형·중동형 한자 한동형·중이형 한자

평균 88.75 73.50

표준편차 15.12 12.61

사례 수 30 30

t 통계값 -3.976

유의확률 .001

<표 Ⅲ-19> 한·중 한자어 한자 형태소 유형 간의 대응표본 t검정 결과 ▷결과(1) 초급 학습자

한·중

한자어 유형 한자어 쌍 정답 빈도 오답 양상과 오답 빈도

한동형·중동형 (韓同形·中同形)

험- 驗-

經(경):(18) Ø(13); 境(3); 競(1); 警(1); 講(1); 情(1) 經(경):(16) Ø(13); 講(2); 境(2); 影(2); 精(2); 警(1) 족-

滿足-滿

滿(만):(24) Ø(13); 全(1); 萬(1) 滿(만):(19) Ø(15); 萬(5) 장-

帳-

通(통):(26) 同(4); Ø(2); 存(1); 銅(1); 圖(1); 統(1); 盖(1) 通(통):(26) 同(6); 統(4); Ø(3)

- -

筆(필):(25) Ø(12); 疲(1); 勞(1)

筆(필):(14) Ø(17); 需(2); 必(2); 脾(1); 皮(1); 比(1)

한동형·중이형

구- 具-

家(가):(20) Ø(11); 加(3); 歌(2); 經(1); 去(1); 器(1) 歌(가):(26) Ø(8); 去(2); 走(2); 加(1)

색- 色-錄

綠(녹):(11) Ø(23); 藍(2); 黃(1); 顔(1); 濃(1) 錄(녹):(11) Ø(24); 弄(1); 延(1); 鹿(1); 濃(1)

<표 Ⅲ-20> 초급 학습자의 한자어 형태소 인식 오류 양상(n=39) 분석에서 잘 분석되었다.

중국인 초‧중급 학습자가 한·중 한자어 형태소 인식 테스트에서 드러낸 한자어 형태소 오류 양상과 그 오류 양상에 따른 빈도를 다음 <표 Ⅲ-20>, <표 Ⅲ -21>과 같이 제시하기로 한다.

(韓同形·中異形)

사- 事-

農(농):(39) (0)

弄(농):(27) 玩(10); Ø(1); 農(1) 서-

書-

독(讀):(24) Ø(9); 圖(6)

독(獨):(16) Ø(14); 圖(3); 讀(3); 脫(1); 逃(1); 到(1) 송-다

送-茶

放(방):(29) Ø(7); 播(2); 飜(1)

房(방):(11) 方(17); Ø(7); 館(1); 般(1); 編(1); 包(1) 역-

譯-

飜(번):(17) Ø(14); 本(2); 通(2); 保(1); 編(1); 番(1);變(1) 番(번):(8) Ø(12); 號(4); 本(4); 保(3); 辯(2); 播(2); 電

(1); 通(1); 編(1); 碼(1) 상-

想-

思(사):(16) 世(12); Ø(3); 假(2); 情(2); 事(1); 史(1); 家 (1); 四(1)

事(사):(34) Ø(3); 家(1); 世(1) 기-

紀-

世(세):(11) Ø(23); 洗(2); 强(1); 事(1); 數(1) 洗(세):(11) Ø(24); 世(2); 事(1); 新(1)

간- 干-

若(약):(12) Ø(17); 約(5); 只(1); 少(1); 弱(1); 夜(1); 要 (1)

藥(약):(16) Ø(15); 弱(2); 店(1); 約(1); 野(1); 英(1); 棒 (1); 牙(1)

발- 髮-

理(이):(4) Ø(22); 利(3); 一(3); 里(2); 汲(1); 移(1); 立 (1); 李(1); 益(1)

利(이):(14) Ø(17); 益(4); 意(2); 汲(1); 移(1) 례-

禮-

茶(차):(2) Ø(17); 祭(10); 次(4); 査(2); 順(1); 序(1); 作 (1); 差(1)

車(차):(17) Ø(18); 差(2); 作(1); 茶(1) 각-편

刻-便

遲(지):(25) Ø(10); 直(2); 滯(1); 自(1)

紙(지):(21) Ø(7); 信(5); 地(1); 指(1); 支(1); 箋(1); 件(1);

寄(1) -

-

子(자):(22) 者(9); Ø(3); 人(3); 男(1); 자(1) 自(자):(34) Ø(5)

곤- 困-

疲(피):(36) Ø(3) 皮(피):(33) Ø(5); 貧(1) 단-

斷-

判(판):(30) Ø(4); 叛(3); 半(1); 反(1) 販(판):(33) Ø(4); 泛(1); 售(1) 대-

帶-

携(휴):(21) Ø(12); 休(3); 手(3) 休(휴):(21) Ø(12); 携(3); 手(2); 廢(1)

이상의 <표 Ⅲ-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국인 초‧중급 학습자가 한동형·중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