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중 대조에 따른 한자어 분류 체계

2. 한자어의 개념 및 체계

2.3. 한·중 대조에 따른 한자어 분류 체계

자음 대조에 따르면 중동음·한동음(中同音·韓同音) 한자(예: 案內([an])—安定 ([an])/안내—안정), 중동음·한이음(中同音·韓異音) 한자(예: 見聞([jian])—健康 ([jian])/견문—건강)가 많다.

둘째, 형태 지식 면에서는 한·중 한자어의 조어법은 기본적으로 1음절 1형태소 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성이다. 한자어 품사적 접사인 ‘하다/되다/스럽다’ 등 한자어 의 독자적 조어법 특성을 빼면 2음절 한자어11)가 제일 많은데 이러한 한·중 합성 어의 형태소에서 나온 공통점이 많다. 한·중 한자어 형태소 대조분석에서 한동형·

중동형(韓同形·中同形) 한자(예: 경험-경영/經驗-經營), 한동형·중이형(韓同形·中 異形) 한자(예: 가구-가요/家具—歌謠) 유형이 존재한다. 또한 한자어 2음절 형태 소로 만드는 한자어가 모든 한자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도 한·중 한자 어의 공통된 특성이다.

셋째, 의미 지식 면에서는 한·중 한자어 간에 동의어(85.98%)가 많다는 것이 기본적인 특성이지만 동형이의어(부분이의, 완전이의; 14.02%)도 적지 않다12)는 특성도 갖고 있다.

선행연구자 한·중 한자어 대조에 의한 분류방법 김희경

(2010:297) ①형태 일치 한자어; ②의미일치 한자어; ③의미불일치 한자어 제효봉

(2008:63-70)

①동형동의어; ②동형이의어(완전이의); ③한·중이형어(완전이 형); ④동형이의어(부분이의); ⑤한·중이형어(부분이형); ⑥ 한·중 이형어(역순어(逆順語))

정서영 (2008:19-21)

①동형동의어; ②동형이의어; ③부분이형동의어; ④중국어 없는 어휘

곽 상 (2006:32-82)

①동형동의어(절대동의어; 상대동의어); ②동형이의어(완전이의 어; 부분이의어); ③이의어(한국어 의미가 더 있는 경우; 중국어 의미가 더 있는 경우; 양국어에서 의미가 더 있는 경우)

김홍진 (2006:1-77)

①동형어(동형동의어; 동형이의어: 동형-완전이의어, 동형-부분 이의어); ②이형어(이형이의어; 이형동의어: 동의–완전이형어, 동 의-부분이형어)

<표 Ⅱ-4> 한·중 한자어 분류방법에 관한 선행연구 재검토

유형을 나누었다. 김홍진(2006:1-77)은 한·중 한자어를 ‘동형어’와 ‘이형어’를 나 누고 ‘동형어’는 다시 ‘동형동의어’, ‘동형-완전이의어’와 ‘동형-부분이의어’로 ‘이 형어’는 다시 ‘이형이의어’, ‘완전이형동의어’와 ‘부분이형동의어’로 분류하였다. 김 수희(2005:34-48)는 ‘동형동의어’, ‘동형이의어’, ‘동의이형어’를 나누었는데 ‘동의 이형어’를 다시 ‘동의부분이형어’와 ‘동의완전이형어’를 나누었다. 후문옥 (2003:1-191)은 한·중 한자어를 ‘동형동의어’, ‘동형이의어’와 ‘이형동의어’를 크게 나눴는데 동형이의어는 다시 ‘완전이의어’와 ‘부분이의어(중국어에 의미가 더 있는 경우, 한국어에 의미가 더 있는 경우, 양국어에서 의미가 더 있는 경우)’를 나누고

‘이형동의어’는 한·중 한자어 형태소가 전도된 경우, 한·중 한자어 형태소는 같은데 부분적으로 다른 경우, 중국어보다 한국어의 한자어에 음절수가 더 증가된 경우, 한·중 형태소가 완전히 다른 경우를 나누었다. 시오다(1999:21)는 한·중 한자어를

‘한·중 동의어’, ‘한·중 포함 이의어’, ‘한·중 중첩 한자어’와 ‘한·중 이의어’ 등 네 가 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상의 한·중 한자어 대조에 과한 선행연구를 요약하면 아 래 <표 Ⅱ-4>와 같다.

한·중 한자어 유형

한·중 한자어

의미 관계 유형에 따른 용례

① 동형동의어 한=중 문화, 정치, 공기, 예술, 환영, 유학, 의자, 안경, 미인, 여행, 공기, 기회

② 이형동의어

(형태소도치) 한=중 운명, 소박, 고통, 허용, 언어, 소개, 평화, 치아, 시설, 열광

<표 Ⅱ-5> 한·중 한자어 유형에 따른 전형적 용례 김수희

(2005:34-48)

①동형동의어; ②동형이의어; ③동의이형어(동의부분이형어; 동의 완전이형어)

후문옥 (2003:1-191)

①동형동의어; ②동형이의어(완전이의어; 부분이의어: 중국어에 의미가 더 있는 경우, 한국어에 의미가 더 있는 경우,양국어에서 의미가 더 있는 경우); ③이형동의어(형태소가 전도된 경우; 형태 소는 같은데 부분적으로 다른 경우; 중국어보다 한국어의 한자어 에 음절수가 더 증가된 경우; 형태소가 완전히 다른 경우) 시오다

(1999:21)

①한·중 동의어; ②한·중 포함 이의어; ③한·중 중첩 한자어; ④ 한·중 이의어

본 연구는 한·중 한자어 대조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논의된 한·중 한자어의 형 태, 의미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감안하여 한국어 한자어를 크게 ① ‘동 형동의어’, ② ‘이형동의어(형태소도치)’, ③ ‘이형동의어(부분이형)’, ④ ‘이형동의 어(완전이형)’, ⑤ ‘동형이의어(부분이의)’와 ⑥ ‘동형이의어(완전이의)’ 등 여섯 가 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중의 ⑤ ‘동형부분이의어’는 다시 ‘한국어 한자어 의미 범위가 중국어 한자어의 의미 범위보다 좁은 경우(한<중)’, ‘한국어 한자어 의미 가 중국어 한자어의 의미와 중첩한 것도 있고 각각 다른 것도 있는 경우(한∩중)’

와 ‘한국어 한자어의 의미 범위가 중국어 한자어의 의미 범위보다 넓은 경우(한>

중)’ 의 세 가지 하위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상과 같은 한·중 한자어의 여섯 유형 은 그 각기의 전형적 한자어 용례를 제시하고 요약하면 다음 <표 Ⅱ-5>와 같다.

③ 이형동의어

(부분이형) 한=중 졸업, 일기, 장점, 산모, 시작, 분유, 감기, 일요일, 남편, 기왕

④ 이형동의어

(완전이형) 한=중 여권, 친구, 숙제, 치약, 염려, 농담, 사진, 문병, 여권, 치약, 역할

⑤ 동형이의어 (부분이의)

한<중

감각, 강렬, 개방, 결과, 계산, 기관, 독서, 상쾌, 의사, 인식, 조화, 작용, 정신, 출동, 학원, 거리, 기호, 난방, 수도, 심각, 안녕, 자기, 출입, 충실

한∩중 가장, 각오, 단위, 상대, 표현, 구속, 편의, 강사, 사업, 선생, 인사, 운전

한>중

가족, 검토, 고장, 공장, 내외, 동료, 모집, 삼촌, 성격, 성질, 세련, 인형, 장애, 정보, 정확, 문장, 시간, 연기, 인간, 우승, 처녀, 철학, 기사, 사건, 상관, 시험, 실수, 인상, 무리, 인간, 구사(하다), 어색

⑥ 동형이의어

(완전이의) 한≠중

예물, 심각, 은근, 애정, 애인, 식당, 방학, 기차, 고등학교, 사정, 총장, 조심, 설화, 문물, 기색, 기 분, 세수, 신문, 약수, 야채, 주일, 호수, 사정, 고 사, 공연, 소문, 약속, 위로, 열심, 인정, 점심, 조 심, 포기, 행사, 강의, 공사, 노동, 동양, 번호

중국 북경대학교에서 편찬한 <한국어 1-4>의 부록에서 나온 어휘목록에서 한 자어를 추출하고 그 한자어들이 여섯 유형별로 각각 차지하는 비중13)을 통계하여

<표 Ⅱ-6>과 같이 제시한다. 즉, 중국 북경대 <한국어 1-4>의 어휘색인에서 나온 총 3297개의 한자어들 중에서 ‘동형동의어’ 유형에 속한 한자어의 수가

13) 시오다(1999)에서는 한·중 한자어의 의미 대조분석에서 한·중 한자어 동의어(일치)가 2,860(85.98%)개, 그 가운데는 의미 포함(inclusion) 유형에 속한 것이 106(3.19%)개, 의미 중첩(overlapping) 유형에 속한 것이 260(7.82%)개, 의미 불일치유형에 속한 것이 100(3.01%)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야마기와 타카코(2012:72)에서는 한·중 한자어 167 개의 어휘에서 형태 일치 한자어 82개로 48.9%를 차지하고 의미 일치어 77개로 44.7%

를 차지하고, 의미 불일치어 11개로 6.3%를 차지한다고 지적하였다.

한·중 한자어 유형 유형에 따른 예시 어휘수(백분율)

①동형동의어 문화(한)-文化(중) 2099 64%

②이형동의어(형태소도치) 소개(한)-介紹(중) 31 1%

③이형동의어(부분이형) 졸업(한)-畢業(중) 842 25%

④이형동의어(완전이형) 친구(한)-朋友(중) 264 8%

⑤동형이의어(부분이의) 작용(한)-作用(중) 34 1%

⑥동형이의어(완전이의) 애인(한)-愛人(중) 27 1%

합계 3297 100%

<표 Ⅱ-6> 한·중 한자어 형태·의미 대조에 따른 재분류 및 각 유형의 비중 2099개, 64%로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고, ‘부분이형동의어’ 유형의 한자어 수가 842개, 25%로, ‘완전이형동의어’ 유형에 속한 한자어의 수가 264개, 8%로, ‘동형 부분이의어’는 34개, 1%로, ‘형태소도치이형동의어’는 31개, 1%로, ‘동형완전이의 어’는 27개, 1%로 각각 전체 한자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어진다. 이상과 같은 한·중 한자어 유형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는 한·중 한자어 유형 중에 ‘동형동의어’

와 ‘부분이형동의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자어 교육에서 그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한·중 한자어 형태, 의미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다시 한자어를 크 게 여섯 가지의 유형을 <표 Ⅱ-6>과 같이 재분류하고 이는 중국인 학습자용 한 자어 유형 목록(《부록 14》참조)으로 삼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