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표> 국적별 난민심사 현황86)

86) 글로벌시대 난민인권국익세계평화 학술포럼 자료집, 법무부․IOM이민정책연구원유엔난민기구 한 국대표부, 2017. 6. 19, 189면에서 인용.

신 청

심사종료(13,393) 심사중(6,861)

철 회 인 정 인도적

체류 불인정 1차심사 이의신청

22,792 672 1,156 11,565 3,715 3,146 2,538

파키스탄 3,601 47 27 2,106 414 563 444

제2장 난민법의 기초분석 99

난민신청자의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첫째, 난민신청자의 수가 대폭 늘었다. 난민법 시행이후 난민신청자가 대폭으로 늘어 난 것은 2014년 이후 세계적으로 난민이 늘어났다는 국제적 상황으로 배경으로 하고 있 는 동시에 국내적 상황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가 처음 난민신청을 받아들인 1994년부터 2005년까지 난민신청자는 매년 백 명 정도였으나, 난민법 제정 무렵인 2012년부터 난민신청자가 크게 증가하여 2013년 1,574 명, 2014명 2,896명, 2015년 5,711명, 2016년 7,542명으로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표> 연도별 난민신청 현황87)

`94

~`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2,792 1,807 717 364 324 423 1,011 1,143 1,574 2,896 5,711 7,542

그리고 아래의 표에서 보듯이 협약난민요건인 5가지 사유이외의 기타 사유에 의한 신 청이 더 많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난민대상자 보다는 인도적 체류신청으로서 난민 신청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이해할 수 있다.88)

87) 위의 자료집 같은 면.

88) 한국 난민법 상에는 인도적 체류신청이 난민신청과 구분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정부는 난민불인정처분 을 받은 사람들 중에 직권으로 인도적체류자 허가를 주고 있다.

신 청

심사종료(13,393) 심사중(6,861)

철 회 인 정 인도적

체류 불인정 1차심사 이의신청

이집트 2,503 11 3 1,471 328 506 184

중국 2,226 8 31 1,218 555 210 204

나이지리아 1,345 3 5 1,002 84 161 90

시리아 1,223 4 874 13 241 3 88

기타 11,894 599 216 5,755 2,093 1,703 1,528

100 난민법에 대한 사후적 입법평가

<표> 사유별 난민인정(보호) 신청 현황89)

구 분 종 교 정치적 사유

특정

구성원 인 종 국 적 기 타

총 누계 28,381 6,777 6,421 3,123 1,795 71 10,194

2017년 5,590 1,510 898 609 400 15 2,158

2017년까지 난민신청자의 총수는 2만 8천건이 넘고 있는데, 그 중에서 2013년 7월

1일 난민법 시행 이후 2017년 8월말까지의 출입국항 난민신청자는 785명에 불과하

다.90)

즉, 난민신청자 중에 대부분은 국내 거주 난민신청자들이다. 우리 난민법 은 국내 입 국 후 난민신청기간을 정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언제든지 난민신청을 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주 노동자 중 상당수가 출국이전에 난민신청을 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난민법 시행이후 대폭 증가한 난민신청자들은 거의 국내에 체류 한 상태에서 난민신청을 한 것이다.

<표> 체류기간 내 또는 도과이후의 난민신청자 현황91)

체류기간내 신청자 체류기간 도과 후 신청자

전체 신청자 22,792 14,626 8,166

2016년 신청자 7,542 4,568 2,974

법무부 등에서는 난민요건자가 아닌 경우에도 난민신청을 하는 현상을 두고 난민법 의 남용적 행위로 보고 있지만 난민법 자체가 난민의 요건을 매우 좁게 설정하고 있어

89)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법무부, 2017. 8, p.33.

90) 하용국, 출입국항 난민신청자의 절차권 보장과 남용신청 방지, 난민인권 토론회 난민 심사의 절차권 보장 과 남용 방지 자료집, 심기준의원실대한변호사협회, 유엔난민기구 한국대표부, 2017. 9. 26, 12면.

91) 위의 자료집 196면. 표15. 난민인정 신청 시 합법/불법 현황

제2장 난민법의 기초분석 101

서 요건 아닌 자가 인도적 체류를 받으려고 신청하는 경우도 있다는 점에서 매우 악의적 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를 ‘남용’이라고 할 수 없다.

또한 이들이 난민신청자의 생계비 지원을 받으려는 의도라고 지적하는 경우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난민신청자 중에서 극히 일부만이 생계비 신청을 하고, 그 중에서 매우 일부만이 생계비 지원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적이지 않은 주장이며, 이를 입증 할 수 있는 조사나 통계가 발표된 바는 없다.

이주노동자가 귀국을 앞두고 박해의 공포가 발생한 경우에 난민신청을 하는 것을 비난 할 수 없으며, 그러한 이유에서 체류기간이 도과하거나 귀국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난민신청자체를 비난할 수는 없다. 다만 난민신청기간에 대하여 난 민법 에 규정이 없다는 점에서 난민신청요건 발생 후 일정기간 동안으로 난민신청을 제 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요컨대 난민신청에 대해서는 난민요건에 부합하는지 또는 인도적 체류의 필요가 있는 지를 판단하면 되는 것이지 그 이외의 사항으로 신청자의 지위를 정하거나 비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입국 이후 일정한 난민신청 기간을 두거나, 난민신청 사유가 발생한 이후 일정 기간 동안 난민신청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하는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Ⅲ. 난민처우 현황

난민인정자 중에 기초생계비 또는 여러 사회보장지원을 받는 경우에 통한 통계는 나와 있지 않은 상태이다. 난민 중 상당수는 고국을 떠나오면서 여러 가지 박탈과 고난을 겪었 을 것으로 추정하기 때문에 비호국에서도 최저 경제수준에 일정기간 머무를 것으로 예측 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난민인정의 의미는 단순히 체류허가만이 아니라 처우지원도 함께 고려되어야 함이 난민협약의 취지라 할 수 있다. 최소한 비호국 내의 다른 외국인과 동등 한 또는 우선한 지원을 받도록 협약은 규정하고 있다.

102 난민법에 대한 사후적 입법평가

난민신청자는 난민법 제40조에 근거하여 생계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난민신청자에 게 지원하는 생계비 지원액은 매년 법무부고시의 형식으로 법무부장관이 정하도록 하고 있다.92)

<표> 난민신청자의 기초생계비 지원93)와 생계급여의 금액

구 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이상

2014년 382.200 657,600 850,700 1,043,800 1,236,900

2015년 409,000 696,500 901,100 1,105,600 1,310,200

2016년 418,400 712,500 921,800 1,131,000 1,340,300

2017년94) 428,000 728,800 943,000 1,157,000 1,371,000

생계급여

2017년 495,879 84,4335 1,092,274 1,340,214 1,588,154

생계비 지원액(난민지원시설 비 이용자 포함)은 가구 구성원이 5인 이상일 경우, 5인까지 지급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계비 급여액수는 국민들이 받는 생계급여보다 약간 못 미치는 금액을 지급하고 있다. 난민인정자의 경우에는 국민들과 동일한 처우를 보장하고 있지만, 그러한 규정이 없는 난민신청자의 경우에 국민들이 받는 생계비 보다 적은 금액 을 받게 한다고 하여서 난민법 이 위반이라고 볼 수는 없다. 다만, 최저생계비가 의미하 는 바가 최저생활의 유지라는 점에서 난민신청자에게 이 보다 적은 금액을 지급하는 것 은 문제가 있다.

이 보다 더 큰 문제는 최저생계비 지급대상이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생계비 지원대 상은 신청자 전원이 아니라 한정된 수에 그치고 있다. 최근 난민신청자가 대폭 늘어나면 서 생계비 지원대상도 점차 그 수를 확대해가는 추세이다. 2014년도에는 88명이었으

92) 난민법 시행령 제17조 제2항

93) 난민지원시설 이용자는 비 이용자의 70% 상당액 지급한다. 위의 법무부고시에서 인용하였다.

가구 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금액(원/월) 299,600 510,160 660,100 809,000 959,700 94) 법무부고시 제2016-384호, 2017년 생계비 지원액에서 인용함.

제2장 난민법의 기초분석 103

나, 2015년에는 130명, 그리고 2016년에는 200명으로 늘어났다.95)

생계비 지원 대상의 확대는 난민신청자의 처우개선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바라 볼 수 있지만, 표-에서 보듯이 난민신청자의 수가 2014년 2,896명, 2015녀 5,711명, 2016

년 7,542명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비추어 보면 난민신청자 대비 생계비 지원자를 산술

적으로 계산해 보면 난민신청자 중에서 2014년에는 3%, 2015년에는 2.2%, 2016년에

는 2.6%에 불과하다.

<표> 난민신청자 대비 생계비 지원대상자 현황

2014 2015 2016

22,792 2,896 5,711 7,542

88 130 200

3% 2.2% 2.6%

모든 난민신청자가 생계비 지원신청을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실제 지원도 지원대 상자 한도를 모두 채워서 가령 2016년도의 매달 200명에게 지원을 하는 것도 아니다. 난 민신청자 중에 생계비신청 대비 지원자를 생각해보면 이 보다는 훨씬 높은 비율을 보여 줄 것이다.

다만, 위 표의 결과는 난민신청자에게 생계비를 지원하겠다는 우리 난민법 규정과 이 를 운용하는 예산배정이 얼마나 형식적이며, 장식(粧飾)적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95) 2017~2021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의견수렴안, 법무부, 2017. 10. 12, 29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