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 「난민법」에 대한 사후적 입법평가
<그림> 대한민국 안에 있는 외국인의 난민인정심사 절차138)
제3장 규범적 분석 : 「난민법」의 체계성․효과성 분석 133
히 이의신청에 대한 판단을 맡고 있는 난민위원회는, 구 출입국관리법 의 난민인정협의 회가 시행규칙에 근거하여 운용되었던 문제점을 극복하고, 난민법 제25조 내지 제28조 에 근거하고 있다. 난민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제1기 난민위원회는 2013년 7월부터 2016
년 6월까지 운영되었고, 제2기 난민위원회는 2016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지속된다.
난민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15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필요한 경우 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다.139) 그리고 난민위원회는 1차 심사와는 별도의 난민조사관 을 두어 이의신청 건에 대하여 사실조사를 검토한다.(제21조 제4항)
난민위원회의 구성에 대하여 법 제26조 제1항은 변호사의 자격이 있는 사람, 고등교육 법 제2조제1호 또는 제3호에 따른 학교에서 법률학 등을 가르치는 부교수 이상의 직에 있거나 있었던 사람 가운데 법무부 장관이 임명 또는 위촉한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그 구체적인 사항에 대하여는 난민법 시행령이 아닌, 법무부 훈령에서 정하고 있다는 점 이다. 또한 국가정보원 방첩단장이 위원으로 되어 있어 그 적절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난민법 제26조(위원의 임명)
①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중에서 법무부장관이 임명 또는 위촉한다.
1. 변호사의 자격이 있는 사람
2. 고등교육법 제2조제1호 또는 제3호에 따른 학교에서 법률학 등을 가르치는 부교수 이상의 직에 있거나 있었던 사람
3. 난민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4급 이상 공무원이거나 이었던 사람 4. 그 밖에 난민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있는 사람
②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법무부장관이 임명한다.
③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고, 연임할 수 있다.
139) 제25조(난민위원회의 설치 및 구성) ① 제21조에 따른 이의신청에 대한 심의를 하기 위하여 법무부에
난민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② 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15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③ 위원회에 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다
134 「난민법」에 대한 사후적 입법평가
(2) 이의신청 증가에 따른 난민위원회의 업무부담
난민위원회의 개최 회수를 기존 4회에서 6회로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위원 1인당 심사건수의 부담이 과중한 상태이다. 더욱이 비상설기구여서 현재처럼 난민신청자가 급 증하는 추세에서는 효율성 및 신속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난민위원회의 15 명 비상근 위원들이 심사하는 내용이 방대하여 난민신청 이유와 국적국의 상황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풍부한 전문가라 하더라도 개별사안에 대해 충분한 검토를 하는 데에 시간적인 어려움이 있다.140)
<표> 2016년 난민위원회 개최현황141)
제1회 제2회 제3회 제4회 제5회 제6회
소집시기 3월 5월 6월 9월 10월 12월
심사인원 777 563 459 501 896 1,151
(3) 난민심판원의 설립에 관한 논의
현행 난민법 상의 이의신청 제도는 행정심판을 대체하는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법에 상세한 규정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또한 난민위원회가 법무부 산하기구인 까닭에 실질적 으로 심의기관으로서의 독립성이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특히 법원에 서 난민지위를 인정받을 확률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난민불인정결정을 받은 다수의 난민 인정신청자가 사법절차를 통해 구제를 꾀한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행정청의 결정에 대한 불신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심의기구와 심의과정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전문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난민불인정결정에 대
140) 한건수, “난민위원회의 운영과 개선방향”, 난민법 에 대한 사후적 입법평가 제3차 워크숍, 한국법제연
구원, 2017, 1면.
141) 2016년 난민관련 통계
http://www.moj.go.kr/HP/COM/bbs_03/ListShowData.do?strNbodCd=noti0097&strWrtNo=220&strAnsNo=A&strNb odCd=noti0703&strFilePath=moj/&strRtnURL=MOJ_40402000&strOrgGbnCd=104000&strThisPage=2&strNbodCd Gbn= 최종방문일 2017. 10. 4.
제3장 규범적 분석 : 「난민법」의 체계성․효과성 분석 135
하 이의신청을 전담하는 난민심판전문기관(난민심판원)의 설립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전문기관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다.142) : a) 난민심사관 및 심판 관, 통번역인력의 교육과 업무훈련 기능 포함여부, b) 난민위원회와 (가칭)난민심판원 의 통폐합시 난민인정 업무 포함여부, c) 난민위원회의 기능확대가 아닌 (가칭)난민심 판원으로 할 경우 1심 기능여부, d) 중앙난민이의신청과 출입국항이의신청 제도의 분 리 운영 필요여부, e) 심판장 직권에 의한 진술기회 부여 및 흠결보정 기회제공, 새로 운 주장 및 증거에 대한 채택 여부, f) 서류작정시 외국어신청서와 국어번역문을 함께 제출 인정여부, g) 난민신청 면접과정 외에도 이의신청 등의 과정에서도 통역을 받은 권리 인정여부, h) 난민심사관의 난민조사에 관한 기능 강화여부, 난민조사관 제도여 부, I) 난민심판정의 합의체 구성여부(3인 또는 5인, 간이심판은 1인), j) 난민심사관 및 심판관, 심판장의 자격 요건 제한사항, l) 난민지위불인정 이의신청 제도에 대한 외연적 고려사항 등이다.
(4) 난민위원회 활동에 대한 정보공개
난민위원회 차원에서 충분한 심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서는 회의 기록, 심의사례, 위원 1인당 담당 사례 건수 등에 대하여 정보공개가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143)
Ⅴ. 난민인정 절차상의 문제점 1. 1차 심사 관련
2016년 7,542명의 난민신청자 가운데 1차심사에서 인정된 경우는 17명으로 1차심사에
서 인정받는 확률은 매우 낮다. 난민인권센터의 통계에 따르면 난민인정심사에 투입되는
142) 난민심판 전문기관 설립 타당성 및 운영방안 연구, 법무부, 2017, 184-191면.
143) 송영훈, 난민법 개정의 쟁점과 해외 입법 사례, 난민법 시행 3주년 기념 학술포럼, 법무부․유엔난민
기구, 2016, 55면.
136 「난민법」에 대한 사후적 입법평가
담당공무원은 총 32명이다. 이는 서울사무소 난민과 TF10명과 광주사무소 난민심사 TF 1명이 포함된 수치이다. 7천명에 육박하는 난민신청자 수에 비하여 턱없이 부족한 현 실이다. 더욱이 2016년 기준 1차 심사결정기간은 약5개월인데144) 난민법 시행 이후 심사기간을 6개월로 제한하면서(1회 연장가능) 절차적 신속성 측면에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유엔난민기구는 ‘난민의 보호’라는 난민인정절차의 근본적 목표에 비추어 볼 때 1 차 심사에서의 통번역 제공을 강조한다.145) 의사소통 문제는 난민신청서의 작성 및 접수단계에서부터 나타나기 때문이다.
<표> 사무소별 난민심사 담당자 현황146)
사무소 서 울 인 천
공 항 부 산 광 주 대 구 제 주 화 성 보호소
여 수 보호소 계
인 원 22* 3 1 2** 1 1 1 1 32
*서울 22명에는 TF 10명 포함
**광주 2명에는 TF 1명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