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Ⅰ. 국제법상의 난민 문제의 등장

국제사회에서 난민에 주목하게 된 계기는 세계 제2차 세계대전이었다. 1950년 유엔총 회에서 유엔난민기구 사무소가 최초로 창설되었으며, 그 법적 근거로서 1951년 난민 지 위에 관한 협약에 채택되었다.

이후 세계 정치는 끊임없이 난민사태를 일으키고 있다. 1956년 소비에트연방의 헝가리 침입, 1960년대 아프리카에서의 대규모 난민발생과 1970년대 동남아시아의 보트피플, 그 리고 20세기말에도 아프리카와 유럽 발칸반도에서의 전쟁으로 인한 난민, 21세기 초 콩

66 난민법에 대한 사후적 입법평가

코민주공화국, 소말리아, 아시아에서의 난민발생, 최근의 시리아난민과 미얀의 르완다족 등 난민문제는 계속되고 있다.

난민과 관련한 가장 주요한 국제인권규범은 ‘난민협약’이다. 국제인권규범에서 난민관 련 내용은 다른 인권선언이나 협약에도 규정되어 있다.

∙세계인권선언 제14조 제1항 모든 사람은 박해를 피하여 다른 나라에서 비호를 구하 거나 비호를 받을 권리를 가진다.

∙ 고문방지협약 제3조 고문 위험이 있는 타국으로 추방․송한․인도 금지

∙ 아동권리협약 제22조 난민아동에 대한 적합한 보호와 인도적 지원, 아동의 보호, 원조, 가족재결합을 위한 협조제공

Ⅱ. 난민협약의 주요 내용

이른바 1951년 제네바 난민협약(“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은 난민을 제한적으로 이해하여 난민의 범위를 1951년 1월 1일 이전

에 유럽에서 발생한 난민으로 한정하였다. 1967년 1월 31일에 체결된 “난민의 지위에 관 한 협정”에서는 이러한 제한을 삭제하였다.

아래는 난민협약의 간략한 내용이다.

제1장 일반규정

제1조 “난민”이라는 용어의 정의

제2조 일반적 의무

제3조 무차별

제4조 종교

제5조 이 협약과는 관계없이 부여되는 권리

제6조 “동일한 사정하에서”라는 용어

제7조 상호주의로부터의 면제

제8조 예외적 조치의 면제

제9조 잠정조치

제2장 난민법의 기초분석 67

제10조 거주의 계속

제11조 난민선원

제2장 법적 지위

제12조 개인적 지위

제13조 동산 및 부동산

제14조 저작권 및 공업소유권

제15조 결사의 권리

제16조 재판을 받을 권리

제3장 유급직업

제17조 임금이 지급뙤는 직업

제18조 자영업

제19조 자유업

제4장 복지

제20조 배급

제21조 주거

제22조 공공교육

제23조 공공구제

제24조 노동법제와 사회보장

제5장 행정적 조치

제25조 행정적 조치

제26조 이동의 자유

제27조 신분증명서

제28조 여행증명서

제29조 재정상의 부담금

제30조 자산의 이전

제31조 피난국에 불법으로 있는 난민

제32조 추방

제33조 추방 또는 송환의 금지

제34조 귀화

제6장 실시 및 경과규정

제35조 국내당국과 국제연합과의 협력

제36조 국내법령에 관한 정보

제37조 종전의 협약과의 관계

제7장 최종조항

68 난민법에 대한 사후적 입법평가

난민협약에서 난민은 제1조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있다.

1951년 1월 1일 이전에 발생한 사건의 결과로서, 또한 인종, 종교, 국적 또는 특정 사회집단 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박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는 충분한 이유가 있는 공 포로 인하여 국적국 밖에 있는 자로서 그 국적국의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공포로 인하여 그 국적 국의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공포로 인하여 그 국적 국의 보호를 받는 것을 원하지 아니하는 자 및 이들 사건의 결과로서 상주국가 밖에 있는 무국적자로서 종 전의 상주 국가로 돌아갈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공포로 인하여 종전의 상주국가로 돌아가는 것을 원하지 아니하는 자.

난민의 개념요소로서 1951년이라는 시간적 제약과 함께 첫째, 인종, 종교 국적 또는 특정한 사회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박해를 받을 우려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우려에 따른 충분한 이유가 있는 공포가 수반되어야 한다. 그리고 국적국 밖에 있어야 한다는 점과 국적 국의 보호를 받을 수 없는 등의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인종, 종교, 국적 또는 특정사회집단, 정치적 의견이라는 5가지 이외에는 협약상의 난 민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최근의 전쟁난민, 환경난민, 경제난민 등에 대해서 취약 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제38조 분쟁의 해결

제39조 서명, 비준 및 가입

제40조 적용지역조항

제41조 연방조항

제42조 유보

제43조 발효

제44조 폐기

제45조 개정

제46조 국제연합 사무총장에 의한 통보

제2장 난민법의 기초분석 69

이것은 난민협약 자체가 주로 1950년대 이후의 동부유럽의 공산화 과정에서 박해를 받은 사람들이 서방으로 난민신청을 하는 것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었다는 역사적 조건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좁은 난민개념의 설정으로 인해서 난민협약 체약국들 중에는 인도적체류자 내지 보충적 비호대상자 등의 개념을 사용하여 전쟁 난민등을 수용하는 국가들이 다수 있다.

제3조는 난민에 대해서는 인종, 종교 또는 출신국에 의한 차별이 없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제7조에서는 난민은 일반적으로 외국인에게 부여하는 대우와 동등한 대우를 부여 받고 있으며, 거주기간이 3년이 넘게 되면 입법상의 상호주의의 면제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9조에서는 국가안보를 위하여 불가결하다고 인정되는 조치를 잠정적으로 난민에게 취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난민에게는 다른 외국인과 동일하게 동산 및 부동산(제12조), 국민과 동일한 저작권 및 공업유권(제13조), 비정치적이고 영리적인 단체와 노동조합과 관련된 결사의 권리(제14조), 국민과 동일한 재판받을 권리(제16조)가 있음을 협약은 규정하고 있다.

동일한 사정하에 외국 국민에게 부여되는 대우중 가장 유리한 대우를 받으며, 임금이 지급되는 직업(제17조), 자영업(제18조)과 자유업(제19조)을 할 수 있다.

복지와 관련해서 난민은 내국민과 동일하게 배급받을 권리(제20조)가 있으며, 자국민 과 동일한 초등교육(제22조), 공공구제(제23조), 노동법제와 사회보장(제24조)를 부여하 도록 하고 있으며, 동일한 사정하에서 일반적으로 외국인에게 부여하는 주거(21), 공공교 육(제22조)을 받도록 하고 있다.

그 밖에도 난민에 대해서는 난민이 권리를 행사를 함에 있어서 필요한 행정적 원조(25 조)와 이동의 자유(제26조)와 이를 보장할 수 있는 신분증명서(제27조), 여행증명서(제28 조)를 규정하고 있다.

70 난민법에 대한 사후적 입법평가

난민은 국가안보 또는 공공질서를 이유로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추방을 당해서는 안되며(제32조), 어떠한 방법으로도 인종, 종교, 국적, 특정사회 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그 생명이나 자유가 위협받을 우려가 있는 영역의 국경으로 추방 하거나 송환하여서는 안된다.(제33조)

위의 두 조약은 난민인정절차에 관한 내용을 직접규정하지 않고 있다.8) 즉, 난민인 정절차는 각 국의 내부법률로 정하되 그 나라의 사정에 따라 다소 다를 수 있음을 난민협약은 예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난민의 수용이라는 국제인권법적 요청과 국가주권에 근거한 국경선 통제 즉, 출입국관리는 국가주권행사를 조화시키려는 의도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