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 기능성식품산업 전체를 특허청별로 구분하여 해외시장확보율을 살펴보면, 한국특허청의 해외시장확보율은 1.8로서 전체 해외시장확보율인 4.5보다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럽특허청의 해외시장확보율이 8.0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 한국출원인의 해외출원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해외출원이 요구됨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78 -

[그림 3-10] 항비만 식품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

○ 항노화 식품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

- 항노화 식품 대상논문 4882건에 대한 최근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17년에 큰 폭으로 논문발표가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으로도 논문발표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임

[그림 3-11] 항노화 식품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

○ 항암 식품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

- 항암 식품 대상논문 3,899건에 대한 최근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2017년에 소폭으로 논문발표가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으로도 논문발표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임

[그림 3-12] 항암 식품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

○ 면역기능증진 식품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

- 면역기능증진 식품 대상논문 3,056건에 대한 최근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15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논문발표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임 [그림 3-13] 면역기능증진 식품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

□ 소분류별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

○ 건강보조 식품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

- 건강보조 식품의 대상논문 8,176건에 대한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미국이 1,846건의 논문을 발표하여 가장 논문발표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미국에 이어 중국이 720건, 영국 673건, 스페인 488건순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하고 있음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80 -

- 미국의 경우 건강보조 식품 분야에서 특허점유율을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논문발표도 다른 국가에 비해 가장 활발하기 때문에 건강보조 식품 분야에서 가장 선도국 인 것으로 판단됨

- 반면, 한국의 경우 건강보조 식품 분야에서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특허점유율을 나타 내고 있으나, 논문발표 순위는 9위로 다소 낮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3-14] 건강보조 식품의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

○ 항비만 식품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

- 항비만 식품의 대상논문 12,862건에 대한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미국이 2,908건의 논문을 발표하여 가장 논문발표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미국에 이어 영국이 1,053건, 중국이 936건, 스페인 911건순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하고 있음

- 미국의 경우 항비만 식품 분야에서 특허점유율을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논문발표도 다른 국가에 비해 가장 활발하기 때문에 항비만 식품 분야에서 가장 선도국 인 것으로 판단됨

- 반면, 한국의 경우 항비만 식품 분야에서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특허점유율을 나타 내고 있으나, 논문 기고건수는 283건으로 국가별 순위 TOP10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3-15] 항비만 식품의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

○ 항노화 식품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

- 항노화 식품의 대상논문 4,882건에 대한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미국이 819건의 논문을 발표하여 가장 논문발표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미국에 이어 중국이 613건, 스페인이 429건, 인도 353건순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하고 있음

[그림 3-16] 항노화 식품의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

- 미국의 경우 항노화 식품 분야에서 특허점유율을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논문발표도 다른 국가에 비해 가장 활발하기 때문에 항노화 식품 분야에서 가장 선도국 인 것으로 판단됨

- 반면, 한국의 경우 항노화 식품 분야에서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특허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나, 논문 기고건수는 283건으로 미국, 중국, 스페인, 인도에 이어 국가별 순위 5위를 차지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82 -

○ 항암 식품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

- 항암 식품의 대상논문 3,899건에 대한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미국이 1,177건의 논문을 발표하여 가장 논문발표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미국에 이어 중국이 331건, 영국이 313건, 일본 298건순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하고 있음

- 앞서 항암 식품의 특허분석에서는 한국이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논문발표는 미국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음. 한국의 경우는 논문 기고 건수 171건으로 논문발표 국가별 순위 10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남

[그림 3-17] 항암 식품의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

○ 면역기능증진 식품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

- 면역기능증진 식품의 대상논문 3,056건에 대한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미국이 553건의 논문을 발표하여 가장 논문발표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미국에 이어 중국이 438건, 인도가 226건, 영국 225건순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하고 있음

[그림 3-18] 면역기능증진 식품의 국가별 논문발표 동향

- 앞서 면역기능증진 식품의 특허분석에서는 한국이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논문발표는 미국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음. 한국의 경우는 논문 기고건수 123건으로 논문발표 국가별 순위 9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남

□ 논문분석 소결론 및 함의

○ 건강보조 식품 대상논문 8,176건에 대한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16년은 논문발표가 전년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으로 논문건수가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나 향후에도 700건 내외의 지속적인 논문발표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 미국의 경우 건강보조 식품 분야에서 특허점유율을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논문발표도 다른 국가에 비해 가장 활발하여 건강보조 식품 분야에서 가장 선도국인 것으로 판단됨

○ 항비만 식품 대상논문 12,862건에 대한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17년에 큰 폭으로 논문발표가 증가하였으며, `18년은 논문발표가 전년도에 소폭 감소하

였으나, 전체적으로 논문건수는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므로, 향후에도 870건 내외의 논문 발표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 미국의 경우 항비만 식품 분야에서 특허점유율을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논문발표도 다른 국가에 비해 가장 활발하여 항비만 식품 분야에서 가장 선도국인 것 으로 판단됨

○ 항노화 식품 대상논문 4882건에 대한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17년에 큰 폭으로 논문건수가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으로도 논문발표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향후에도 500건 이상의 지속적인 논문발표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 미국의 경우 항노화 식품 분야에서 특허점유율을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논문발표도 다른 국가에 비해 가장 활발하여 항노화 식품 분야에서 가장 선도국인 것 으로 판단됨

○ 항암 식품 대상논문 3,899건에 대한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17년에 소폭으로 논문발표가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으로도 논문발표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며, 향후에도 250건 이상의 지속적인 논문발표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 항암 식품의 특허분석에서는 한국이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논문발표는 미국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분석됨

○ 면역기능증진 식품 대상논문 3,056건에 대한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15년부터 `18년까지 지속적으로 논문발표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앞으로도 계속적인 증가세를 이어가 `20년에는 350건 내외의 논문발표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84 -

- 면역기능증진 식품의 특허분석에서는 한국이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논문발표는 미국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음

- 한국의 경우는 논문 기고건수 123건으로 논문발표 국가별 순위 9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