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외 바이오 클러스터 현황

가. 유럽

□ 유럽 바이오 클러스터

7)

○ 유럽 바이오 클러스터 발전을 위한 성공요인으로 산·학·연 협력체계, 상용화 및 산업화 체계, 비즈니스 및 금융 환경 지원 등이 주로 언급됨

- 바이오 클러스터는 바이오산업 및 기업 성장의 핵심 원동력 중 하나로 학계, 산업계, 공공 부문이 상호교류 및 협력할 수 있는 수단과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식

- 상호작용과 협업은 바이오기업,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바이오 연구 또는 사업개발에 필요한 금융 지원, 비즈니스 플랫폼 및 인프라 등을 확보하는데 긍정적으로 기여

○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의 장점으로 기술혁신, 바이오 상업화, 신생기업 창출, 자금 조달 및 투자 유치, 사업개발 잠재력 개선 등이 있음

- 상호교류와 협력 활동으로 공동 연구 프로그램, 우수 연구 및 인프라 공유, 학술적 교류, 바이오기업, 연구센터, 창업보육센터 및 기술이전 사무소 설립 등이 운영됨

○ 유럽의 많은 바이오 클러스터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설치되었으며, 일반적 으로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연구 기반의 산업과 의약 산업, 화학 산업 등이 발달한 대학 센터를 중심으로 지역 및 국가 단위로 확대 형성됨

- 유럽 바이오 클러스터는 벨기에, 덴마크,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에 집중

[그림 2-21] 유럽의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 지역

자료 : Mizuho Industry Focus(2013)

7) Mizuho Industry Focus(2013),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Industry Clusters in Europe-Building Bridges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48 -

○ 유럽 바이오 클러스터는 비영리협회,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 다양한 형태의 전문 기관에 의해 관리됨8)

- 바이오산업 측면에서 경험이 많고 전문적인 클러스터 관리조직은 과학계 및 산업계 등으로 구성되며, 원스톱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환경 조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스핀 오프 기업 및 중소기업을 위한 전문가 지원, 지역 내 인프라(인큐베이터, 가속기 및 공유 서비스)에 대한 접근, 파트너쉽(홍보 및 네트워킹), 특정 목적 프로젝트(예, 맞춤형 의약품), 기술 이전 프로그램, 정보 공유 플랫폼(예, 약물 파이프 라인의 온라인 데이터 베이스, 연구 논문) 지원

- 바이오 클러스터 조직은 국가 및 국제 파트너, 투자자가 혁신적인 바이오 기업사와 함께 클러스터 잠재력 및 신규 비즈니스 창출이 가능하도록 교두보 역할을 함

○ 지역, 광역, 국가 바이오 클러스터

- 유럽 바이오 클러스터의 고유한 특징 중 하나로 지역 단위, 국가 단위, 범 유럽의 네트워크 단위의 통합적 접근성임

· 예를 들면 범 유럽 네트워크 협의회(European BioRegions Council of European BioRegions (CEBR))는 클러스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로서 협업을 촉진하고 정책 지원 을 제공하며, 클러스터 간에 모범 사례 공유를 목적으로 `06년에 설립

- 2010년 런던 생물 공학 네트워크(LBN)과 동부 지역 바이오 테크놀로지 이니셔티브 (ERBI)의 합병으로 설립된 One Nucleus 바이오 클러스터가 운영되어 EU 회원국의 참여 를 독려함

- 벨기에, 프랑스, ​​독일 등의 바이오 클러스터는 정부 주도의 프로그램과 정책을 기반으로 바이오 클러스터의 성장을 촉진시킴

□ 영국의 바이오 클러스터

○ 영국의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는 잉글랜드 북서부(맨체스터와 리버풀)와 스코틀랜드 중부 (런던, 캠브리지, 옥스퍼드) 등에 분포

-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동부 및 남동부 지역에 영국의 바이오 기업 절반 이상이 위치 하고 있으며, 특히 동남부 지역의 경우, 백신/치료용 기업과 분자기업이 집중되어 있음 - 바이오 분야 연구기반, 정부의 전략적 지원, 금융 접근성, 언어 장벽 완화 등의 요인으로

영국의 바이오산업이 발달됨

8) Mizuho Industry Focus(2013),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Industry Clusters in Europe-Building Bridges between Science and Industry

- 영국 과학자 70명 이상의 바이오 및 의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수상하였으며, 줄기 세포 (유도 줄기세포) 등의 DNA 이중 나선 구조, 동물 복제 등 혁신적인 연구에 기여하였으며, 세계 10대 대학 중 4개 대학이 영국에 위치함(캠브리지 대학, 옥스포드 대학, 런던 대학, 런던 제국 대학)

- 1980년대 초 바이오 분야 연구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연구위원회(SERC)와 생명 공학 본부 설립

- 산업통상부(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ies, DTI) 내의 바이오산업부(Biotechnology Unit)를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설립

[그림 2-22] 영국 내 바이오 클러스터 위치

○ One Nucleus 바이오 클러스터

- 영국 동부 지역 Cambridge, Greater London 도시 지역 위치

- 바이오 네트워크 케임브리지 기반의 Eastern Region Biotechnology Initiative(ERBI)와 London Biotechnology Network(LBN)의 합병으로 `10년에 설립됨

· 동부지역바이오기술협회(ERBI,Eastern Region Biotechnology Initiative)는 `97년 바이오기 업 공동체, 지방자치단체, 중앙정부 등이 참가하여 설립되었음

· 런던 바이오 네트워크(LBN,London Biotechnology Network)는 과학 및 기업 공동체가 런던의 생명과학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단체임

· Cambridge 대학의 스핀오프 기업과 St. John’s 혁신센터가 바이오 사업 개발을 지원 하여 유럽에서 최초로 형성된 바이오 클러스터 중 하나임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50 -

- (구성) 500개 이상의 회원사가 운영 중이며, 바이오 기업이 30~40% 이상이며, 의료기술 기업, 서비스 업체 등으로 구성됨

- (주요 산업 영역) 항 감염제, 혈액, 신경계, 종양 및 재생 의약품

- (주요 강점 및 전략) 클러스터 내 Amgen, Millennium, Genzyme, Gilead Sciences 등의 바이오 및 제약기업이 운영 중이며, 미국 등 전략적 MOU를 통한 연구협력 독려

- (주요 바이오 기업) One Nucleus 바이오 클러스터에 위치한 바이오기업은 BioMoti, Chroma Therapeutics, F-Star, Neurotex 등이 있음

○ OBN(Oxford Bioscience Network) 바이오 클러스터 - (위치) Oxford 인근 지역

- (역사) OBN 바이오 클러스터는 바이오기술 및 사업을 촉진하기 위해 1999년 시작되었 으며, 바이오 과학기술 혁신을 독려함

- (구성) 신약 개발, 진단, 실험실, 의료 기술 등 분야 160여개 이상의 기업이 활동 중임 - (주요 산업 영역 및 대상 기술) 암, 자가 면역, 감염, 중추 신경계, 심혈관, 호흡기 등의

분야의 기업이 운영 중임

- (주요 강점 및 전략) 옥스퍼드 대학교를 중심으로 사업 계획, 투자자, 신규 사업개발 등의 자문을 제공함으로써 회원사의 투자를 독려 및 지원하고 있음

- (주요 바이오 기업) OBN 바이오 클러스터에는 CMP Therapeutics, e-Therapeutics plc, Protaffin Biotechnologie AG, Summit plc 등이 운영 중

□ 독일 바이오 클러스터

○ 독일 바이오 클러스터는 `95년 교육과학기술부(BMBF, Bundesministerium für Bildung und Forschung) 주도 하에 바이오기술의 사업 개발, 상업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시작한 지역 단위 바이오 클러스터(BioRegio)를 본격 추진

- 현재 20개의 산업 클러스터가 운영 중에 있으며, 베를린, 뮌헨, Rhein-Neckar, 쾰른 (Köln), 프랑크푸르트(Frankfurt) 등에 위치

[그림 2-23] 독일 내 바이오 클러스터 위치

○ BioM 바이오 클러스터

- (지역) Munich metropolitan 지역(독일 남부 München과 Bayern)

- (역사) `84년 뮌헨 진 센터(Gene Centre Center)가 창설되고, 지역 바이오 클러스터 BioRegio 중 하나로 1997년도에 BioM 바이오 클러스터가 설립됨

- (구성) 160개 이상의 바이오 중소기업 및 35개 글로벌 기업 및 자회사가 운영 중이며, 의약 위탁연구기업(CRO) 50~60개, 위탁개발기업(CMO) 30~40개, 제약회사 20~30개 등이 운영 중

- (주요 산업 영역 및 대상 기술) DNA / 단백질 분석, 유전체 / 단백질체학, 나노 기술, 산업 생명 공학, 의약품, 바이오 마커, 종양학, 감염 및 심혈관 질환 등

- (주요 강점 및 전략) 80개 이상의 파이프 라인이 구축되어 있으며, 5개 이상의 제품이 시판중이며, 바이오 분야 중소기업 60개 이상이 활동 중임

- (주요 바이오 기업) 바이오 중소기업(공공 및 민간)의 매출 5억 1500만 달러(2011년 기준) 규모임

○ BioTOP 바이오 클러스터

- (지역) Berlin 및 Brandenburg 지역

- (역사) `96년 Berlin 연방정부와 Brandenburg 연방정부가 공동 사업으로 BioTOP 바이오 클러스터를 설립함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52 -

- (구성) 200개 이상의 바이오기업, 250개 이상의 의료기술기업, 25 개의 제약기업 등이 운영 중

- (주요 산업 영역 및 대상 기술) 재생 의학, 체외 진단, 생물 정보학, 프로테오믹스, 리보 핵산(RNA) 및 글리콜 바이오기술, 영양유전체학

- (주요 강점 및 전략) TSB Innovationsagentur Berlin GmbH을 조직하여 지역 보건의료산업 진흥을 위한 네트워크(Health Capital Netzwerk Gesundheitswirtschaft)를 구축하여 운영 중

· 프랑스의 사노피, 미국의 화이자, 영국의 샤이어, 일본 다케다 그룹의 니코 데드 등의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여 BioTOP 바이오 클러스터의 경쟁력을 강화시킴

· 또한 유럽 내 타도시와 비교하여 운영 비용과 조건(사무실, 부동산 등)이 상대적으로 저렴함

· 바이오공학 공통 도구(BioCT), 유럽생물지역협의회(CEBR) 등 유럽 네트워크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EDCA(European Diagnostic Cluster Alliance)와 같은 주제별 네트워크 및 이니셔티브에 참여

- (주요 바이오 기업) BioTOP 바이오 클러스터 내 Alacris Theranostics, Epigenomics, Mivenion, Scienion 등이 운영중임

□ 프랑스 바이오 클러스터

○ 프랑스는 의료 및 의약품 중심의 10개의 바이오 클러스터가 있으며, 대부분의 바이오 기업은 Medicen Paris Region 클러스터에 집중

- 프랑스 Medicen Paris 지역에 제약회사 중 50 % 이상, 학술연구 및 바이오 기업의 50%, 임상시험기업 80% 이상이 위치함

· 메디 센 파리 지역(Medicen Paris Region)은 `05년 프랑스 정부 주도로 구축한 바이오 클러스터이며, 세계적인 경쟁력 클러스터(Competitiveness Clusters)를 홍보를 위해 설립함

· Medicien Paris Region의 Genopole 바이오 클러스터의 경우, `98년 프랑스 정부, 지방 자치단체, 프랑스 근 위축증 협회(Association Française contre les Myopathies)가 공동 으로 설립하여 바이오 분야 전문과학 및 연구단지로 바이오 관련 연구 수행

· `98년부터 Genople 바이오 클러스터는 Essonne Development Agency 등과 같은 외부 기관과 긴밀한 협조 하에 125개 기업 창립 및 성장을 지원

- Cancer Bio Santé and Tri-national 클러스터 인 BioValley Alsace가 운영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