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유망기술 후보 도출 결과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84 -

- 면역기능증진 식품의 특허분석에서는 한국이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논문발표는 미국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음

- 한국의 경우는 논문 기고건수 123건으로 논문발표 국가별 순위 9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남

제3절 기능성 화장품 분야 1. 특허분석 결과

□ 연도별 특허청별 특허출원 동향

○ 기능성화장품산업의 대상특허 15,587건 전체에 대한 주요특허청의 연도별 출원동향을 살펴보면, 199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다가 2000년대 초반 이후부터는 매년 700-800건 정도의 특허출원이 유지

- 미국특허청에서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특허점유율에 있어서는 미국특허청이 6,582건(42%)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 며, 일본특허청 5,464건(35%), 한국특허청 2,040건(13%), 유럽특허청 1,501건(10%)의 순 으로 특허점유율을 기록함

[그림 3-19] 기능성화장품산업의 연도별 특허청별 특허출원 동향

□ 주요출원인별 특허출원 현황

○ 전체년도에서 주요출원인별 특허출원 현황을 살펴보면, L'OREAL이 가장 많은 1,807건 을 출원하였고, Procter & Gamble 1,055건, KAO 604건 순으로 특허를 출원하였음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86 -

- 최근년도에서 L'OREAL이 444건을 출원하여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였고, Procter &

Gamble 346건, KAO 336건 순으로 특허 출원

- L'OREAL은 전체년도 뿐만 아니라 최근년도에서도 주요출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어, 기능성화장품산업에서 특허경쟁력이 가장 우수한 출원인인 것으로 분석

- Procter & Gamble, KAO 또한, 전체년도와 최근년도에서 모두 2위, 3위를 차지하고 있어 특허경쟁력이 우수한 출원인인 것으로 분석됨

- 전체년도와 최근년도의 주요출원인으로 미국과 일본 국적의 출원인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한국 국적의 출원인은 주요 출원인으로는 포함되어 않음

순위

전체년도

(1972년~2019년) 최근년도

(2008년~2017년) 미공개구간 (2018년~2019년)

출원인 건수 출원인 건수 출원인 건수

1 L'OREAL 1807 L'OREAL 444 Mary Kay Inc. 18 2 Procter & Gamble 1055 Procter & Gamble 346 Kao Corp 8

3 KAO 604 KAO 336 라피끄 7

4 Unilever N.V. 398 Lubrizol Advanced

Marterials, Inc. 204 익스플즌 6 5 Shiseido 366 Lipotec S.A. 202 Kose Corp 6 6 Lubrizol Advanced

Marterials, Inc. 222 Shiseido 189 Procter & Gamble 6 7 Lipotec S.A. 220 Henkel 143 아모레퍼시픽 5 8 Noevir Co 207 Mary Kay Inc. 112 Hoyu Co Ltd 5

[표 3-6] 기능성화장품산업 구간별 주요출원인별 특허출원 현황

□ 소분류별 특허출원 동향

○ 기능성화장품산업의 5개 소분류의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기능성화장품 영역의 5개 소분류는 공통적으로 1990년대 초중반부터 특허출원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그 중에서 모발과 아토피, 여드름성 피부와 관련된 특허는 1990년대 중반 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급격하게 출원이 증가하였음

- 기능성화장품산업의 5개 소분류의 특허 점유율을 살펴보면, 모발이 5,221건으로 34%를 차지하고 있고, 아토피, 여드름성 피부는 4,794건으로 31%, 자외선차단은 2,628건으로 17%, 피부미백은 1,944건으로 12%, 주름개선은 1,000건으로 6%를 차지하고 있음

[그림 3-20] 기능성화장품산업의 연도별 소분류별 특허출원 동향

□ 소분류별 특허청별 특허출원 동향

○ 피부미백, 주름개선, 자외선차단, 모발에서는 모두 미국특허청이 가장 높은 특허점유율 을, 아토피, 여드름성 피부는 일본특허청이 40%로 가장 높은 특허점유율 차지

[그림 3-21] 기능성화장품산업의 소분류별 특허청별 특허출원 동향

[피부미백] [주름개선]

[자외선차단]

[모발] [아토피, 여드름성 피부]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88 -

○ 한국특허청은 주름개선에서 23%로 가장 높은 특허점유율을 보여 다른 분야보다 주름 개선에 기술개발이 집중된 것으로 보이고, 반면 모발에서는 9%로 가장 낮은 특허점유율 을 보임

□ 기능성 화장품산업의 소분류별/특허청별 해외시장확보율 현황

○ 기능성화장품산업의 5개 소분류의 해외시장확보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주름개선과 모발은 해외시장확보율이 전체 해외시장확보율보다 높은 6.7과 6.5로 나타 났고, 자외선차단은 6.1로 동일했으며, 피부미백과 아토피, 여드름성 피부는 해외시장확 보율이 전체 해외시장확보율보다 낮은 5.3과 6.0으로 나타났음

[그림 3-22] 기능성화장품산업 소분류별 해외시장확보율

○ 기능성화장품산업 전체를 특허청별로 구분하여 해외시장확보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한국특허청의 해외시장확보율은 4.2로서 전체 해외시장확보율인 6.1보다 낮으며, 유럽

특허청의 해외시장확보율이 8.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 주요특허청 중에서 한국의 해외출원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적극 적인 해외출원이 요구됨

[그림 3-23] 기능성화장품산업 특허청별 해외시장확보율

□ 특허분석 소결론 및 함의

○ 기능성화장품산업의 대상특허 15,587건 전체에 대한 주요특허청의 연도별 출원동향을 살펴보면, 199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다가 2000년대 초반 이후부터는 매년 700-800건 정도의 특허출원이 유지되고 있으며, 최근 미국특허청에서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기능성화장품산업 전체에서 L'OREAL은 전체년도 뿐만 아니라 최근년도에서도 주요출원 인 1위를 차지하고 있어, 기능성화장품산업에서 특허경쟁력이 가장 우수한 출원인인 것으로 분석

- Procter & Gamble, KAO 또한, 전체년도와 최근년도에서 모두 2위, 3위를 차지하고 있어 특허경쟁력이 우수한 출원인인 것으로 분석됨

- 전체년도와 최근년도의 주요출원인으로는 주로 미국과 일본 국적의 출원인이 많으며, 한국 국적의 출원인은 포함되어 있지 않음

○ 기능성화장품산업의 5개 소분류의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5개 소분류는 공통적으로 1990년대 초중반부터 특허출원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고, 그 중에서 모발과 아토피, 여드름성 피부의 경우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 까지 급격하게 특허출원이 증가하였음

○ 피부미백, 주름개선, 자외선차단, 모발에서는 모두 미국특허청이 가장 높은 특허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나, 아토피, 여드름성 피부는 일본특허청이 40%로 가장 높은 특허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그 중에서도 한국특허청은 주름개선에서 23%로 가장 높은 특허점유율은 나타내어 다른 분야보다 주름개선에 특허출원이 집중된 것으로 보이고, 반면 모발에서는 9%로 가장 낮은 특허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음

- (피부미백) 전체년도와 최근년도의 주요출원인을 비교해보면, Procter & Gamble와 Lipotec이 전체년도와 최근년도 모두에서 TOP2에 포함되어 가장 특허 경쟁력이 우수한 출원인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중 Lipotec의 경우 전체년도 출원건의 90%이상을 최근년도에 출원하여, 최근 피부미백에 대한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주름개선) 전체년도와 최근년도의 주요출원인을 비교해보면, Lipotec은 전체년도와 최근

년도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생산했으며, 전체년도 출원건의 대부분이 2008년 이후 출 원된 것으로 보아, 후발주자로 시작했으나 최근 가장 활발한 특허출원으로 기술개발 집중도가 우수하며, 현재 가장 특허 경쟁력이 우수한 출원인인 것으로 분석됨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90 -

- (자외선차단) 전체년도와 최근년도의 주요출원인을 비교해보면, L'OREAL, P&G, SHISEIDO는 전체년도와 최근년도에서 모두 1-3위를 차지하여 자외선차단에서 가장 특허 경쟁력이 우수한 출원인인 것으로 분석되고, LIPOTEC과 Pola Chem Ind Inc은 최근년도 에서 주요출원인에 신규로 등장하였기 때문에 최근 자외선차단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한 출원인으로 분석됨

- (모발) 전체년도와 최근년도의 주요출원인을 비교해보면, L'OREAL, Procter & Gamble, KAO은 전체년도와 최근년도에서 모두 1-3위를 차지하여 모발에서 가장 특허 경쟁력이 우수한 출원인인 것으로 분석되고, Lubrizol Advanced Marterials, Inc는 최근년도에서 주요출원인에 신규로 등장하였기 때문에 최근 모발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한 출원인 으로 분석됨

- (아토피, 여드름성 피부) 전체년도와 최근년도의 주요출원인을 비교해보면, L'OREAL과 Procter & Gamble는 전체년도와 최근년도에서 모두 1,2위를 차지하여 아토피, 여드름성 피부에서 가장 특허 경쟁력이 우수한 출원인인 것으로 분석되고, Mary Kay Inc.와 Shiseido는 최근년도에서 주요출원인에 신규로 등장하였기 때문에 최근 아토피, 여드름성 피부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한 출원인으로 분석됨

○ 기능성화장품산업 전체를 특허청별로 구분하여 해외시장확보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한국특허청의 해외시장확보율은 4.2로서 전체 해외시장확보율인 6.1보다 낮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 유럽특허청의 해외시장확보율이 8.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 주요특허청 중에서 한국의 해외출원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적극 적인 해외출원이 요구됨

2. 논문분석 결과

□ 피부미백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

○ 피부미백의 대상논문 203건에 대한 최근 연도별 논문발표 동향을 살펴보면, `16년과

`18년은 전년도에 비해 논문발표가 감소하였으나, `17년에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