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 바이오산업 관련 계획으로 강원, 경남, 경북, 전북, 충남 등의 지방자치단체에서 해양바 이오 분야를 중심으로 계획을 수립하여 관련 사업을 추진 중

[표 2-4] 지방자치단체 주요 (해양)바이오 계획

지역 연도 계획명 주요내용

강원 2016 강원도 바이오산업의 진단과 발전방향

스마트 헬스케어와 연계가 가능한 바이오 융합 세부 분야를 융합원천기술 부문과 융합서비스 시스템 구축 부문으로 분류하여 세부계획을 수립

경남 2017 경상남도 해양 항노화산업 육성전략 수립

첨단 해양항노화산업 선도를 통한 고부가가치 실현을 비전으로 수립, 통합형 해양항노화 산업 기반 구축, 맞춤형 기업 지원 체계 구축, 특화형 해양항노화 -웰니스 체계 구축 등을 추진

경북 2018 경북 해양바이오 신소재 산업 육성 방안

경북 해양바이오 신소재산업 육성을 위한 기본 방향은

“해양바이오 신소재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산업화 구축”으로 설정

전북 2017 전북해양수산발전계획 전북 해양수산의 비전인 「바다의 힘, 큰 전북」을 실현하기 위한 목표로 ‘상생하는 창조의 바다’, ‘살아있는 생명의 바다’, 그리고 ‘삶이 있는 소통의 바다’로 설정 충남 2019 충청남도 해양바이오산업

육성 기본계획 해양산업의 최적지 충남을 「세계 해양바이오산업

거점」으로 육성

자료: 각 지방자치단체 발표 계획

○ 강원도

- 스마트 헬스케어와 연계가 가능한 바이오 융합 세부분야를 융합원천기술 부문과 융합 서비스 시스템 구축 부문으로 분류하여 세부계획 수립

- 바이오산업 경쟁력을 제고를 위하여 유망기업 유치에 노력 강화 추진 - 목표지향형 전문가 협의체 구성, 국내외 우수연구자 도내 유입 등을 추진

[그림 2-8] 강원도 바이오산업의 진단과 발전방향

자료 : 강원발전연구원(2016),강원도 바이오산업의 진단과 발전방향

○ 경남

- 첨단 해양항노화산업 선도를 통한 고부가가치 실현을 비전으로 수립, 통합형 해양항노화 산업 기반 구축, 맞춤형 기업 지원 체계 구축, 특화형 해양항노화-웰니스 체계 구축 등 을 추진

[그림 2-9] 경상남도 해양 항노화산업 육성전략

자료 : 경남도청(2017),경상남도 해양 항노화산업 육성전략 수립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28 -

○ 경북

- 경북 해양바이오 신소재산업 육성을 위한 기본 방향을 “해양바이오 신소재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산업화 구축”으로 설정

- 유용 해양생물자원 탐색, 유용 해양생물자원 탐색, 해양생물자원 소재 연구 체계 마련, 경북 해양생물자원 라이브러리 관리기관 설립 및 운영 등

- 해양생물유래 소재 추출 기술 확보는 선택과 집중에 의한 R&D 선별 및 진행 등 - 산업화 지원체계 구축은 기술이전으로 창업 유도 및 기업 육성, 해양생명자원 소재

활용 화장품산업 생태계 구축 지원, 경상북도 해양바이오산업 협의체 구성 등을 추진

○ 전북

- 전북 해양수산의 비전인 「바다의 힘, 큰 전북」을 실현하기 위한 목표로 ‘상생하는 창조의 바다’, ‘살아있는 생명의 바다’, 그리고 ‘삶이 있는 소통의 바다’로 설정

[그림 2-10] 전북 해양수산 비전체계

자료 : 전북도청(2017),전북해양수산발전계획

○ 충남

- 해양바이오 성장 거점 충남을 비전으로 해양바이오산업 클러스터 조성, 해양바이오 수소 에너지 산업 육성을 추진전략으로 수립함

- 해양자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이용, 개발을 통해 해양을 충청남도의 미래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으로 활용

[그림 2-11] 충청남도 해양바이오산업 육성 기본계획

자료 : 충남도청(2019),충청남도 해양바이오산업 육성 기본계획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30 -

제2절. 해외 해양바이오 정책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