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2장. 국내외 동향

제1절. 국내 동향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18 -

○ 정부의 바이오 분야 정책 중 해양해양바이오 관련 주요 계획과 정책은 해양수산부 중심 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해양바이오 관련 정책은 아래와 같음

[표 2-2] 바이오 정부 정책 중 (해양)바이오 주요 내용

계획명 연도 기관명 주요내용

제1차 해양수산생명자원

관리기본계획

2019 해양수산부

- 해양바이오 원천소재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대량배양 기술 개발

- 상용화 중심의 경쟁형 R&D 추진 - 해양바이오 산업 생태계 조성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2019 관계부처

합동

- 글로벌 최초를 지향하는 바이오 R&D 혁신 - 미래 성장을 책임지는 바이오경제 창출

- 민간 주도 바이오경제 구현을 위한 국가 생태계 기반 조성 2019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 2019 보건복지부

- 제약바이오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업 활성화 - 정책금융지원, 세제지원 등을 통한 민간투자 활성화 - 첨단 바이오의약품 R&D 지원

2019년도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시행계획 2018 해양수산부

- 신산업 육성 및 좋은 일자리를 위한 해양수산과학기술 집중 육성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해양수산과학기술 기반 확보 -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체계 혁신

- 해양수산과학기술의 지속 발전을 위한 생태계 조성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8

~2022) 2018 관계부처 합동

- 창업기업의 성장사다리 강화 - 유망 산업의 성장동력화 촉진

- 온실가스 감축관리 및 탄소저감·자원화기술 개발 및 상용화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2017 관계부처 합동

- 해양수산생물의 생명현상 이해 및 유용성 발굴 융복합 기술

- 해양수산생물 유래 산업용, 건강증진용 신소재 생산 원천기술

- 해양수산생물 유래 신소재 생산 실용화 기술 - 해양공간이용 해양수산생물자원 대량생산/확보 기술 해양수산 R&D

중장기계획(2014~2022) 2014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생물 유래 소재산업 육성 및 에너지생산체계 구축

- 국내외 해양수산 생명자원 발굴 및 관리시스템 체계화 해양바이오 연구개발

활성화 대책 2009 국가과학 기술위원회

- 글로벌 해양생물자원 확보 - 핵심 연구개발 역량 강화 - 해양바이오 산업화 촉진 - 해양바이오 연구기반 구축 해양생명공학육성기본

계획 2008 국토해양부

- 미래원천기술의 조기확보 분야 - 첨단주력 고부가가치산업 확대 - 인프라 확충 및 체계 고도화 분야 수산생명공학산업

중장기 발전계획(안) 2008 해양수산부

- 단순 전통 식품 소비에서 탈피한 고부가·기능성 식품 시장 개척

- 노동 집약적 1차 산업에서의 탈피 및 2차/3차 산업 과의 능동적 연계

○ 제1차 해양수산생명자원 관리기본계획

- 해양바이오 원천소재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대량배양기술 개발 : 기능성 및 유용성이 확인된 소재 중 증식자원 표준지침이 마련되어 기초배양이 가능한 자원 가운데에서 대량 배양 대상 종을 선정(‘20)하고, 해양바이오 소재의 안정적 제공을 통한 상용화로 연결 될 수 있도록 대량배양기술 및 배양시설 개발(‘20~), 개발된 대량배양 기술 및 배양 시설을 활용하고자 하는 바이오 기업 등에 기술이전 추진

- 상용화 중심의 경쟁형 R&D 추진 : 해양바이오 기업의 영세성 등으로 상용화 이전 단계 (TRL 5~6단계)에서 실패하는 사례를 줄이기 위해, 핵심성능 평가(TRL 4)까지 마친 유망 소재 및 기술을 토대로 시제품 제작부터 사업화 단계까지 지원하는 상용화 R&D 추진 - 해양바이오 산업 생태계 조성 : ①영세한 해양바이오 기업의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기술․특허인증 지원, 창업 컨설팅 등 종합적 지원을 하는 해양바이오 산업화 인큐베이터 설립 추진, ② 국내외 바이오소재 접근 관련 법

․제도 변경, 기술동향 등 정보를 담은

해양바이오 트렌드 리포트를 제작하여 업계에 배포, ③기술 및 소재의 수요자와 공급자 간 만남의 장 마련을 위한 정기․수시 기술교류회 개최를 통해 유망기술 및 소재 등 투자 활성화

[그림 2-1] 제1차 해양수산생명자원 관리기본계획 비전 및 추진전략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20 -

○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 바이오 경제를 주도하는 글로벌 바이오 강국 실현을 위한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의 3차년도 시행계획

- 글로벌 최초를 지향하는 바이오 R&D 혁신 : ①해양수산생명자원을 활용한 바이오소재 개발 및 친환경 바이오에너지 생산기술 상용화 기반 연구 지원(해양수산바이오신소재 개발(2018년 125억원), 해양바이오에너지개발(2018년 84억원)), ②해양생물 차세대 유전체 연구 기반을 구축하고 해양유전체 유래 기초·원천 기술개발을 위한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2단계 사업 추진

- 미래 성장을 책임지는 바이오경제 창출 : 해양수산 분야 연구개발 및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현장 수요 R&D 확대(해양수산중소벤처 지원(2018년 64억원), 해양수산 기술사업화(2018년 75.6억원))

- 민간 주도 바이오경제 구현을 위한 국가 생태계 기반 조성 : 해양바이오 산업계의 활용도가 높은 해양생명자원과 소재를 중심으로 수요자 맞춤형 소재 분양 및 정보제공을 위해 해양바이오뱅크 시범 운영

[그림 2-2] 2019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비전 및 추진전략

○ 2019년도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시행계획

- 해양생명공학산업을 고부가가치 융복합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해양생명자원 확보, 자원을 활용한 신소재, 바이오 에너지 원천기술 및 산업화 기술 개발

- 해양바이오, 해양에너지, 해양장비, 친환경 해사산업 등 분야의 상용화 연구를 통해 신 산업 육성 기반 마련

-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상용화 기술 확보

· 해양생명자원정보를 집적·제공하기 위해 시범운영 중인 해양바이오뱅크를 추출물 및 미생물 정보에서 유전자원 정보까지 확대(’19.3)

· 건강·미용·의료용 고부가가치 신소재 개발 및 상용화를 지원하고, 해양 고세균 이용 바이오 수소 대량생산 기반 구축(50톤 플랜트 준공, ‘19.5)

· 해양수산생물 유전체정보 분석(17종) 및 유전체 정보 확산을 추진하고 수출 및 수입대체 수산종자 개발을 위한 골든시드 프로젝트 수행

[표 2-3] 해양수산생명공학기술개발사업 세부과제 및 연구내용(`19년)

구분 세부과제명

해양수산생명자원 확보 및 활용기반구축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 및 활용기반 구축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해양바이오 지역특화 선도기술 개발

해양바이오 신소재기술개발

해양섬유복합소재 및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기술 개발 해양 융복합 바이오닉스 소재 상용화 기술 개발

해양 미세조류 색소 기반 고부가 소재 및 활용 기술 개발

해양 미세조류 유래 인지능 관련 개별 인정형 소재개발 및 제품화 해양자원유래 고령친화형 글로벌 기능성 소재 개발

해양단백질 기반 바이오메디컬소재 개발

해양자원기반 근적외선 조영물질 및 영상진단기기 개발 용암해수 기반 청정원료소재 융합 기술개발

해양바이오에너지개발 해양 고세균이용 바이오수소 생산 실용화 기술 개발

해양생명현상활용연구 해양 와편모류 기반 이상세포 제어 및 유용세포 증식기술개발 유용단백질 생산을 위한 재조합어류 생산기술개발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22 -

○ 제약 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

- 『국민에게 건강과 일자리를 드리는 제약강국으로 도약』을 비전으로 ①신약 개발 역량 제고를 위한 R&D 강화, ②제약 산업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및 창업지원, ③현장수요 중심의 수출 지원체계 강화, ④선진 제약 강국 도약을 위한 제약 산업 육성 기반 조성 등을 4대 목표로 설정

- 제약바이오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업 활성화 : ①제약바이오 기술창업․사업화 지원체계 구축, ②창업기업에 대한 오픈 이노베이션 지원

- 정책금융지원, 세제지원 등을 통한 민간투자 활성화 : ①제약․바이오 투자 활성화 지원,

②민간 R&D 투자 유도를 위한 세제 혜택 확대

- 첨단 바이오의약품 R&D 지원 : ①세포치료제 R&D 지원, ②유전자치료제 R&D 지원, ③ 정밀의료 기반 R&D 지원

[그림 2-4] 2019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 비전 및 추진전략

○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시행계획

- 신산업 육성 및 좋은 일자리를 위한 해양수산과학기술 집중 육성

· 4차 산업혁명 기술 융합 분야 집중 육성

·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상용화 기술 확보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해양수산과학기술 기반 확보

· 국민생활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혁신

· 국제 사회에 기여하는 과학기술 선도 -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체계 혁신

· 해양수산과학기술 연구개발의 전략성 제고

· 연구개발 지원 및 수행·관리 체계 개편

- 해양수산과학기술의 지속 발전을 위한 생태계 조성

· 민간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 지원

· 해양수산 기업 혁신 및 창업 지원 확대

[그림 2-5] 2019년도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시행계획 비전 및 추진전략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24 -

○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8-2022)

- 과학기술로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 인류사회 발전에 기여를 비전으로 미래도전을 위한 과학기술역량 확충, 혁신이 활발히 일어나는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과학기술이 선도하는 신산업·일자리 창출, 과학기술로 모두가 행복한 삶 구현 등으로 4대 전략으로 설정 - 창업기업의 성장사다리 강화

·창업 이후 지속적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창업초기 기업에 대한 성장(Scale up)지원 확대

·글로벌 수준의 유니콘 기업 창출을 위해 성장 잠재력이 검증된 우수 창업기업에 대한 집중 지원체계 마련

·초기 창업기업의 공공조달시장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창업기업에 대한 부담금·세금부담 경감

- 유망 산업의 성장동력화 촉진

·유용 농림·수·축산자원 발굴 등 국산 농수산생명 소재 산업화를 촉진하고 차세대 육종 첨단 기술 개발

·성장동력 산업화를 위한 패키지형 지원 강화

·성장동력 분야 규제개선, 실증, 초기시장 조성 지원 등을 통한 조기 산업화 도모 [그림 2-6]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8~2022) 비전 및 추진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