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바이오 관련 부산시 계획
□ 부산발전 2030 비전전략 (2015)
○ 부산광역시에서는 2030년까지 부산을 포함한 동남권 전역을 대상으로 글로벌 도시형 비전과 전략, 중장기 핵심사업 등을 개발하는 구상계획으로서 「부산발전 2030 비전 전략」을 수립
- ‘사람과 기술, 문화로 융성하는 부산’을 비전으로 2030 스마트 시티 달성을 위해 3개 목표, 7대 전략, 10대 비전사업을 설정
[그림 4-4] 부산발전 2030 비전 및 목표
자료: 부산발전 2030 비전과 전략, 2015, 부산광역시
○ 10대 비전사업 중 3대 미래성장 프로젝트에서 3대 성장 동력으로 로봇, 바이오, 디지털 을 선정하여 글로벌 시장경쟁력 제고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 강조
- 사업내용으로 바이오 아웃소싱산업 육성, 6대 미래산업 클러스터(조선해양플랜트, 수산 식품, 에너지, 정보기술(IT) 융합메카트로닉스, 영상콘텐츠, 의료산업)을 포함
○ 또한 산업공간 전략에서 설정한 스마트 경제 2벨트 5거점 중, 동부산권을 바이오 에너지 거점으로 육성할 것을 제시
- 바이오에너지 거점을 통해 방사선 의과학 세계적 거점, 세계인이 찾는 관광 클러스터 조성 을 목표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138 -
- 이를 위한 추진전략으로 바이오 R&D 및 산업 클러스터 조성, 동부산관광단지 연계 의교관광 거점 구축 등을 제시(바이오 의과학단지, 동부산 유통관광단지, 에너지하베 스팅단지, 고령친화산업단지 조성)
[그림 4-5] 부산 발전 2030 산업공간 전략 : 스마트 경제 2벨트 5거점
[그림 4-6] 부산 발전 2030 산업공간 전략 : 동부산 바이오 에너지 거점
□ 해양수도 구현을 위한 해양산업 기본계획 (2018)
○ 해양수도 구현을 위한 해양산업 육성조례 개정(2016.6)에 따라 부산시 장기발전계획과 연계한 기본계획으로서 작성
○ ‘신해양시대, 글로벌 해양수도 부산’을 비전으로 하며, 3대 메가프로젝트(신항, 북항, 남항) 및 12개 분야(물류, 수산, 조선, 해양금융, 해양문화․관광․레저, 해양과학기술, 해양 에너지, 해양바이오, 해양자원 개발, 해양환경, 해양안전, 사회기반시설)별 주요사업 등 총 61개 사업 제안
[그림 4-7] 해양수도 구현을 위한 해양산업 기본계획 비전 및 목표
자료: 해양수도 구현을 위한 해양산업 기본계획(안), 해양수도 정책심의위원회 보고 자료, 2018.11
○ 해양바이오 분야에서는 ‘해양바이오산업과 4차 산업 연계 시스템 구축’, ‘해양바이오 산업 비즈니스플라자 구축 및 기업 인큐베이션’, ‘해양생명산업소재 분양 허브(HUB) 구축’ 사업 제시
[그림 4-8] 해양수도 구현을 위한 해양산업 기본계획 해양바이오 분야 주요사업
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140 -
나. 주요 추진사업
□ STEM 빌리지 조성
○ 해양과학기술 산․학․연․관 협력 플랫폼인 「STEM 빌리지」를 동삼혁신지구 내에 조성 하는 것을 계획
- 현재 1단계 기간(‘18 -‘22)으로 동삼혁신지구 내 약 15,00㎡ 면적에 342억원을 투자하여 산업동 건립을 추진 예정
- 해양산업 창업․육성센터, 해양장비․센서 검․교정센터, 융합연구센터, 기업입주 등 - 추진주체․운영방안․사업비 분담 등 협의 및 실시설계(‘19), 착공(‘20), 준공(‘22)
□ 수산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
○ 감천항을 중심으로 남항, 사하구 식품단지 등 부산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계획 - 국립수산식품연구소․클러스터지원센터 등(‘19 -‘22, 1,022억원)
- R&D 기반 국내외 소비자 요구 충족 제품개발 및 수출 마케팅 기업 역량 지원
○ 사업계획 및 예비타당성조사 재신청(‘19. 4) 후 설계 및 조성사업 추진(‘20 -‘22) 예정
□ 수산식품 특화단지 재생
○ 수산식품 제조업체 지원체제 구축, 기업역량 강화 및 글로벌 경쟁력 도모 - ‘16 -‘20, 장림수산피력단지 일원 15,265㎡(건축 5,000㎡)
- 식품분석실․비즈니스지원실 등 구축(300억원)
□ 부산항 해양산업클러스터 조성
○ 해양수산부는 「해양산업클러스터의 지정 및 육성 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해양산업 클러스터 기본계획(2017-2021)을 수립
○ 동 계획에서 부산 북항이 해양산업클러스터 조성 대상구역으로 선정됨에 따라 「부산항 해양산업클러스터 개발계획」을 수립하여 우암부두(175,931㎡)를 대상으로 클러스터 조성 을 추진 중
- 기반시설, 지원시설 및 부지조성 공사는 부산항만공사가 수행하고 상부시설 건축은 입주 기업이 수행
- 총사업비는 227억으로 정부, 지자체, 부산항만공사가 분담
○ 해양레저기기/장비제조(요․보트), 선박
․해양플랜트부분품 제조업을 동 클러스터의 핵심사업
으로 하며, 이외에도 일반 해양관련 제조업도 유치 예정○ 현재 우암부두 지식산업센터 건립을 위해 타당성 용역(‘18. 6)을 거쳐 기본절차 및 사업비 확보가 완료되어 본격적인 건립 추진을 앞두고 있음
[그림 4-9] 부산항 해양산업클러스터 개발계획 토지이용계획도
구 분 면적(㎡) 구성비(%) 비 고
합 계 175,931 100.0
산업시설용지 100,214 56.9 마리나비즈니스센 (25,553㎡)터 지원시설용지 6,663 3.8
기반시설용지 69,054 39.3 공 원 9,016 5.1 주차장 5,399 3.1
항만시설 7,502 4.3 공용부두
도 로 47,137 26.8
토지이용계획도 토지이용계획표
자료: 부산항 해양산업클러스터 개발계획 및 클러스터 지정 열람공고, 부산광역시, 2018. 1. 9.
□ 국가혁신클러스터 조성
○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국정과제(78. 전지역이 고르게 잘사는 국가균형발전)를 반영하여
「지역 혁신 성장을 위한 클러스터 육성전략」을 수립(2017), 국가혁신클러스터 지원 예산을 확보
- 국가혁신클러스터는 시도별로 혁신도시, 산업단지 등 지역 핵심거점들을 연계․조성하는 혁신거점 육성정책으로, 신규거점 개발이 아닌 기존 조성거점을 최적으로 조합하는 방향으로 진행
○ 국가혁신클러스터로 지정된 곳은 혁신프로젝트, 기업투자 유치, 보조금․규제혁신
․금융․재정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을 추진하며, 부산시의 경우 해양ICT융합을 대표분야로 설정하여 스마트해양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을 내용으로 함(3개 혁신도시, 5개 산단 등을 대상)지역특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및 연구활성화 방안 연구
- 142 -
□ 헬스케어 혁신산업 클러스터 조성
○ 서부산 스마트 헬스케어 클러스터 조성 추진(‘18 -‘25)
- 대학병원, 대학, 글로벌 의료관광 인프라, 헬스케어 검․인증기관 유치(487천㎡) - 헬스케어․빅데이터 센터를 통한 원스톱 기업지원 서비스 운영
- 헬스케어 클러스터 용도지정 신청(8월), 스마트시티 혁신산업 클러스터 지정(국토부, 12월)
○ 개인 맞춤형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19 -‘22)
- 헬스케어․빅데이터 센터 구축(공공자율혁신클러스터 내 5천㎡) - 일상데이터 기반 건강관리서비스, 블록체인 기반 건강토큰 도입 등
○ 미래형 의료시스템 기반 서비스 도입 추진(‘19 -‘22)
- 클라우드 기반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 AI 기반 정밀의료 솔루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