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현재까지 빈곤과 청소년 건강의 관계에 있어서 누적위험요인과 영역별 누적위험요인의 매개효과를 Baron과 Kenny(1986)의 검증방식을 통해 살 펴보았다. 본 장에서는 분석의 마지막 단계로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 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도를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5-14>와 같다.

양측검증(two-tailed test)을 실시한 Sobel Test의 결과 영역별 누적위험

요인을 아우르는 총 누적위험요인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고, 영역별 누적위험요인의 경우 가족영역을 제외한 개인영역과 학교영 역 누적위험요인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자세히 살펴보 면 먼저 총 누적위험요인의 경우 ‘빈곤->누적위험요인->청소년의 건 강’ 경로는 Z=-5.54(p<.001)의 값을 보고하였고, 영역별 누적위험요인에 서 ‘빈곤->개인영역->청소년의 건강’ 경로는 Z=-2.07(p<.05)을, ‘빈곤 ->학교영역->청소년의 건강’ 경로는 Z=-3.15(p<.001)의 값을 나타내었 다. 이는 빈곤이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총 누적 위험요인이 매개역할을 수행하며, 영역별 누적위험요인의 경우에도 개인 영역과 학교영역이 매개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앞서 살펴보았던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도출했 던 것과 동일한 결과이다. 이로써 빈곤이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 을 미치는데 있어 총 누적위험요인과 이를 영역별로 구분한 개인영역과 학교영역 누적위험요인의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입증되었다.

<표 5-14> Sobel Test 결과

경로 Z값

빈곤 -> 누적위험요인 -> 청소년의

건강 -5.54***

빈곤

-> 개인영역 ->

청소년의 건강

-2.07*

-> 가족영역 -> -1.59

-> 학교영역 -> -3.15***

*p<.05, **p<.01, ***p<.001

제 6장. 결론

제 1절. 연구결과 요약

청소년기의 건강은 청소년 스스로의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수적인 조건이며 아울러 건강은 장기간의 학교생활과 함께 인지적, 비인지적 영 역의 성취를 이루는데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요건일 뿐만 아니라 향 후 개인의 삶의 질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이자형, 이기혜, 2015). 따라서 청소년기에 건강을 잘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 다. 그러나 청소년 건강에 청소년 개인의 특성이나 건강행위만이 결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사실 과거에는 건강을 개인적이고 생물 학적(혹은 유전학적)이고 의학적인 문제의 영역이라고 여기는 인식이 강 했으나 현재는 건강에 있어 사회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고 있다 (김진영, 2007).

이 중에서도 빈곤은 단일 요인으로서는 건강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다(허종호 외, 2010). 실제로 많은 연구들은 빈곤과 건강의 관련성을 입증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단순히 건강에 대한 빈곤의 영향 력만을 확인하거나(구인회, 권은선, 2010; 신인순, 2011), 대표적인 소수의 매개변수들을 고려하는(김진현, 원서진, 2011; 신인순, 홍나미, 2014) 경우 가 많다. 그러나 빈곤은 그 자체의 문제 외에도, 빈곤과 연관된 다양한 문제들이 함께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빈곤가구에서는 부모들이 불규칙한 직업을 갖거나 무리하고 불안정한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 으며, 경제적 압박으로 인해 부부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우울수준이 높 은 경향을 보이게 된다(Hoghughi, 1998; Riley et al., 2009)는 것이 그러 하다.

누적위험요인은 이러한 위험요인의 연합적 발생이라는 빈곤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개념으로, 위험요인의 연합적 발생이란 누적적으로

그리고 동시적으로 여러 위험요인에 한꺼번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를 뜻 한다(강현아, 2013; 김서현 외, 2015; 김성경, 2006; 주소희, 2008; Gerard

& Buehler, 2004a; 2004b). 누적위험요인은 위험요인이 하나씩 따로 발생 하기보다는 한꺼번에 나타나서 위험다발을 구성한다는 것을 고려하고 있 으며, 다수의 위험요인들의 축적에 집중하여 모델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빈곤의 영향력을 살펴보기에 유용하다. 이 점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빈곤이 청소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어 누적위험요인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초등학교 4학년 6차년도(2015) 패널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이 중 핵심변수 인 가구소득과 가구원 수, 주관적 건강인식 및 누적위험요인 관련 문항 에 대한 미응답자를 제외한 총 1,877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청 소년의 건강을 측정하기 위한 변수로는 주관적 건강을, 독립변수인 가구 의 빈곤여부는 욕구소득비를 기준으로 산출하였고, 매개변수로는 누적위 험요인을 고려하였다. 여기서 누적위험요인은 개별위험요인의 성격에 따 라 개인영역, 가족영역, 학교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Baron 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을 활용하여 3단계에 걸친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판단 하였다.

연구문제 및 가설에 대한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과 관련하여 빈곤 가정의 청소년이 비빈곤 가정 청 소년에 비해 주관적 건강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가구 의 빈곤여부가 청소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 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빈곤은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045, p<.05). 이는 소득수준 등의 사 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건강상의 차이가 발생한다고 보는 건강격차 이론 을 지지하는 결과이며 빈곤이 청소년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고 보고한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둘째, [연구문제 2]와 관련하여 먼저 모든 위험요인의 총합인 누적위험

요인의 경우 빈곤 가정의 청소년이 비빈곤 가정 청소년에 비해 누적위험 요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실제로 가구의 빈곤여부가 청소년의 누적위 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빈곤은 누적위험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 었다(=.205, p<.001). 이러한 결과는 빈곤을 위험요인들의 연합적인 발생 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변수로 간주하는 누적위험요인의 개념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다음으로 누적위험요인을 각 영역에 따라 구분한 영역별 누적위험요인 의 경우 빈곤은 개인영역(=.111, p<.001)과, 가족영역(=.225, p<.001), 학 교영역(=.099, p<.001)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누적위험요인을 영역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아도 빈곤가정의 청소 년은 비빈곤가정의 청소년에 비해 각 영역의 누적위험요인이 모두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빈곤이 개인, 가족, 학교영역에서 다양한 위 험요인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연구문제 3]과 관련하여 빈곤여부는 누적위험요인 및 영역별 누 적위험요인의 매개를 통해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실제 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먼저 누적위험요인은 가구의 빈곤과 청 소년 건강의 관계에 있어 완전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곤이 청소년의 건강에 단독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빈 곤으로 인해 파생된 다양한 위험요인들의 매개를 통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경로모델을 통해 빈곤과 건강의 관계를 파악한 본 연구의 모형을 지지해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영역별 누적위험요인의 경우 가족영역을 제외한 개인영역과 학교영역이 빈곤과 건강의 관계에 있어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는 빈곤이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개인영역과 학교영역의 매개를 통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뜻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표 6-1>에 연구가설의 채택 혹은 기각여부 를 정리하였다.

<표 6-1> 연구가설 채택/기각 여부

연구문제 1. 빈곤여부는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빈곤 가정 청소년이 비빈곤 가정 청소년에 비해 주관적 건강의식이

낮을 것이다. 채택

연구문제 2. 빈곤여부는 누적위험요인 및 영역별 누적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치는가?

[2-1]. 빈곤 가정 청소년이 비빈곤 가정 청소년에 비해 누적위험요인 수준이

높을 것이다. 채택

[2-2]. 빈곤 가정 청소년이 비빈곤 가정 청소년에 비해 영역별 누적위험요인 수준이 높을 것이다.

[2-2-1]. 빈곤 가정 청소년이 비빈곤 가정 청소년에 비해 개인영역 누적위험요인 수준이

높을 것이다. 채택

[2-2-2]. 빈곤 가정 청소년이 비빈곤 가정 청소년에 비해 가족영역 누적위험요인 수준이

높을 것이다. 채택

[2-2-3]. 빈곤 가정 청소년이 비빈곤 가정 청소년에 비해 학교영역 누적위험요인 수준이

높을 것이다. 채택

연구문제 3. 빈곤여부는 누적위험요인 및 영역별 누적위험요인의 매개를 통해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가?

[3-1]. 빈곤여부는 누적위험요인의 매개를 통해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3-2]. 빈곤여부는 영역별 누적위험요인의 매개를 통해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3-2-1]. 빈곤여부는 개인영역의 매개를 통해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3-2-2]. 빈곤여부는 가족영역의 매개를 통해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3-2-3]. 빈곤여부는 학교영역의 매개를 통해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