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통제변수는 성별, 지역규모이다. 먼저 성별의 경우 남성은 1로, 여성은 0으로 가변수화하였다.
지역규모의 경우 KCYPS 패널에서는 서울시 및 6개 광역시 내 구 단 위는 대도시로, 시 단위는 중소도시로, 군 단위는 농촌 지역으로 구분되 어 있는데, 이 중 농촌지역을 ‘1’의 값을 부여하였고 대도시와 중소도 시는 ‘0’의 값을 부여하였다.
끝으로 분석에 사용될 변수목록들을 <표 4-1>에 요약하여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표 4-1> 변수목록
구분 변수명 개념 및 측정
종속 변수
청소년의 건강 (주관적 건강)
개인이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스스로 어떻게 인지하는지 를 묻는 단일문항의 점수를 연속변수로 활용
독립
변수 빈곤여부
빈곤 여부(가변수: 빈곤=1)를 의미하며, 월평균 가구소득을 가구원수 별 최저생계비로 나누어 욕구소득비를 구한 후 가 족의 욕구소득비가 1미만인 경우를 빈곤가구(1), 1이상인 경우를 최저생계비 이상의 소득을 가진 비빈곤 가구(0)로 구분
매개 변수
누적위험 요인
누적위험모델에 근거하여 개인, 가족, 학교영역의 3가지 영 역별로 총 15개의 변수로 구성. 각각의 모든 변수는 경험 있음(1), 경험 없음(0)으로 구분되었으며, 모든 위험요인을 합산한 점수를 의미함
영 역 별 누 적 위 험 요 인
개인 영역
개인영역과 관련한 위험요인을 뜻하며, 총 5개 요인(낮은 자아존중감, 건강위험행동, 컴퓨터 중독, 휴대폰 중독, 성폭 행/성희롱 피해경험)으로 구성. 관련 위험요인을 합산한 점 수를 의미함
가족 영역
가족영역과 관련한 위험요인을 뜻하며, 총 6개 요인(가족구 조의 결손, 낮은 부모감독, 낮은 부모애정, 부모의 학대, 보 호자의 방임, 보호자의 좋지 않은 건강)으로 구성. 관련 위 험요인을 합산한 점수를 의미함
학교 영역
학교영역과 관련한 위험요인을 뜻하며, 총 4개 요인(낮은 성적 만족도, 낮은 교우관계, 낮은 교사관계, 학교폭력 피 해)으로 구성. 관련 위험요인을 합산한 점수를 의미함
통제 변수
성별 성별(가변수: 남성=1)
지역규모 청소년이 거주하는 지역의 규모(가변수: 농촌(1), 도시(0))
제 3절. 자료 분석방법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속성 및 주요 변수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보여주는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 하였다. 이와 함께 주요 변수들의 정규성 성립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왜 도와 첨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주요 변수 및 통제변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 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변수 간의 다중공선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분산팽창인자(VIF: Variance Inflation Factor)와 공차한계(tolerance)를 산 출하였다.
셋째,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청소년의 건 강에 대한 빈곤의 영향에서 누적위험요인과 영역별 누적위험요인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은 총 3가지의 전제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첫 번째는 독립변수는 종속변수 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여야 하며, 둘째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야 한다. 셋째로 독립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와 유의한 관계여야 하며, 매개변수를 통제했을 때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거나 유의하게 줄어들어야 한 다(김서현 외, 2015).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먼저 빈곤이 청소년의 건 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서 독립변수의 직접효과를 검증하고, 두 번째로 누적위험요인 및 영역별 누적위험요인을 각각 종속변수로 설정한 후 빈곤이 누적위험요인 및 각 영역별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 였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모형에서는 다시 청소년의 건강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독립변수인 빈곤과 매개변수인 누적위험요인 및 영역별 누적위 험요인이 청소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는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도를 살핌으로 서 매개효과 검증을 완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