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현재까지 조사된 230개소에 대해 모니터링 지속성을 평가한 결과 단기(1년)적 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하는 곳은 24개소, 중기(3년)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해 야 하는 곳은 33개소, 장기(5년)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하는 곳은 94개소로 나타났다. 반면 79개소는 인공복원 및 자연복원을 통해 복원이 완료된 지역으로 정기적인 모니터링은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 한 모니터링 현지조사표를 활용하여 자료를 축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니터링 지속성 평가를 통해 복원성과를 판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모니터링 현지조 사표는 과거의 현지조사표를 바탕으로 좌표, 위치 등 중복적인 사항은 주제도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현지조사표는 산사태 발생지에 대한 일반사항(조사자 및 일시, 모니터링 주기 등), 사면안정(사면 경사, 사면안정 시설물, 토양침식 변화, 활동성 등), 식생 침입 (주요수종, 피복도, 종합의견), 복원사업의 필요성(복원 사업의 성과, 추가 복원사 업의 필요성 및 시설물, 종합의견 등), 현황 사진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현지조사표는 산사태 발생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현황파악을 목적으 로 하고 있으나, 과거의 현지조사표와 현재의 상태를 비교하여 모니터링의 지속 성 및 복원완료 평가에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현지조사가 완료된 후에는 일정한 서식에 맞춰서 자료를 입력하고, 산사태 발생 주제도에 누 적하여 DB화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지조사를 위해서는 사전에 산사태 주제도에서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지의 일 련번호 및 기초자료를 사전에 확인해야 하며, 현장에서는 사전의 자료를 중심으 로 비교할 수 있도록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지조사를 위해서 는 급경사지의 산악지형을 이동하기 때문에 조사에 필요한 이동거리 및 일정(시 간)을 확인하고 조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현장조사시에는 휴대용 GNSS, 레이저 거리 측정기, 현지조사표, 디지털 카메라, 2m 폴(pole) 등의 조사장비가 필요하 다.

국립공원 경관변화지 모니터링

가. 일반사항

조사지ID 조 사 자

조사 일시 소 속

조사 위치 상부 ∘ 중부 ∘ 하부 모니터링 주기 단기(1)∘중기(3)∘장기(5) 나. 산사태지 변화 모니터링(사면 안정)

사면 경사 ° 폭 m 길 이 m 침식깊이 m

시설상태 인공시설물 양호 ∘ 미흡 ∘ 불량 ∘ 없음 암반노출 %

토양침식 변 화

항 목 유 무 기타

대상지 침식 폭, 길이, 깊이 확대 유무 지속적인 토석류 발생 유무

추가 침식으로 인한 식생훼손 진행 유무 복구 사업 대상지 훼손 진행 여부 탐방객의 접근(흔적) 여부

종합 활동성

유동성 (유동)5 ∘ 4 ∘ 3 ∘ 2 ∘ 1(고정) 2차 피해 유( ) ∘ 무 종합의견

다. 산사태지 변화 모니터링(식생 침입)

위치 항 목 주요 수종 피복율 기타

상부

초본류 %

관목류 %

아교목, 교목류 %

중부

초본류 %

관목류 %

아교목, 교목류 %

하부

초본류 %

관목류 %

아교목, 교목류 %

종합 피복도

식생침입 주연부 식생침입 ∘ 전면적 식생침입 ∘ 없음 종합의견

라. 복원사업 필요성

복원형태 자연복원 ∘ 인공복원( ) 복원상태 완료 ∘ 진행 ∘ 미흡

복원규모 폭( m) × 높이( m) 정밀 모니터링 필요 ∘ 불필요 시설물 현황

훼손 시설물 추가 도입 필요 시설물

종 류 크 기 수 량 종 류 크 기 수 량

종합의견

마. 현황 사진

<원 경> <근 경 1>

가. 일반사항

■ 조사지ID : 산사태발생지 주제도에 제시된 일련번호(ID)를 기입한다(예시 : LS설 악01-02).

■ 조사자 및 소속 : 조사자의 성명 및 소속을 기입한다.

■ 조사일시 : 조사일자를 년, 월, 일로 구분하여 기록한다.

■ 조사위치 : 산사태 발생지에서 조사자가 위치한 곳을 상부, 중부, 하부로 구분하 여 표기한다.

■ 모니터링 주기 : 대상지의 모니터링 주기를 단기(1년), 중기(3년), 장기(5년)으로 구분하여 기록한다(산사태 발생지 주제도 참조)

나. 산사태지 변화 모니터링(사면 안정)

■ 산사태 발생지의 변화상에 대해서 사면안정적인 측면을 조사하여 기입한다.

■ 사면경사 : 산사태 발생지의 사면 평균경사를 도(°) 단위로 기입한다.

■ 폭 : 산사태 발생지의 평균폭을 m단위로 기입한다.

■ 길이 : 산사태 발생지의 길이를 기입하며, 현장에서 확인이 불가할 경우 산사태 발생지 주제도 및 위성영상을 참조한다.

■ 침식깊이 : 주변의 산지지형을 고려하여 최대침식깊이를 기입한다.

■ 토양침식 변화

- 대상지내에 추가적인 침식 폭과 길이, 면적의 확대 여부에 대해서 기입한다.

- 지속적인 침식 및 사면 붕괴 등의 발생 여부에 대해서 기입한다.

- 추가 침식으로 인해 주변의 식생 및 침입 식생의 훼손 유무에 대해서 기입한 다.

- 인공복원 대상지의 경우 복구사업 대상지의 추가 훼손 진행 유무에 대해서 기 입한다.

- 대상지 주변의 탐방객 접근 및 흔적 유무에 대해서 기입하며, 필요시 안전 휀 스 및 경고(안내) 표지판 설치 유무를 판단한다.

■ 종합 활동성

- 유동성 : 산사태 발생지의 종합적인 사항으로서 사면의 유동성을 매우 유동적 (5), 추가 침식 및 붕괴가 없는 고정(1)의 5점 척도로 판정하여 기입한다.

- 2차 피해 : 추가적인 침식이나 붕괴, 탐방객 접근 등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하 여 산사태지로 인한 2차 피해 발생 유, 무를 판단하고, 2차 피해가 예상될 경 우 필요 대책을 기입한다.

- 종합의견 : 사면의 활동성, 2차 피해 등의 측면에 대해 종합의견을 기입한다 (예시 : 산사태 발생지 상부에서 지속적인 침식 및 붕괴가 발생하나 우려할 수 준은 아니지만, 탐방객의 접근 흔적이 확인됨으로 접근방지 로프와 안내(경고) 판을 설치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다. 산사태지 변화 모니터링(식생 침입)

■ 산사태 발생지 내의 식생 복원(침입) 측면을 고려하여 해당사항을 기입한다.

■ 위치 : 조사지점의 위치를 기입하며 가급적 상부, 중부, 하부로 구분하여 현지조 사를 실시하나 접근이 불가능할 경우 조사지점의 위치에 대해서 초본류, 관목 류, 교목류에 대해 기입한다.

- 초본류 : 조사지점의 초본류 및 지피식생의 주요 수종과 피복율을 기입한다.

- 관목류 : 조사지점의 관목류에 대해서 주요 수종과 피복율을 기입한다.

- 아교목, 교목류 : 조사지점의 아교목 및 교목류에 대해서 주요 수종과 피복율 을 기입한다.

■ 종합피복도 : 식생 측면에서 전체적인 식생침입 현황과 종합의견을 기입한다.

- 식생침입 : 산사태지내의 식생침입 및 식생복원 현황에 대해서 기입하며, 주연 부에서 순차적인 복원이 진행되는지 또는 전면적인 식생이 침입되어 복원되는 지에 대해서 기입한다.

- 종합의견 : 식생침입 및 식생복원 현황에 대한 종합의견을 기입한다(예시 : 피 해지 주연부를 중심으로 초본류의 침입이 진행되는 초기단계의 복원 상황이 며, 사면이 안정화되어 식생기반이 조성됨에 따라서 향후 지속적인 복원이 예 상됨).

라. 복원사업 필요성

■ 복원형태 : 현재의 대상지에 대해서 복원형태를 자연복원과 인공복원으로 구분하 여 기입한다.

■ 복원규모 : 인공복원이 실시된 대상지의 경우 복원규모를 폭과, 길이로 구분하여 기입한다.

■ 복원상태 : 산사태 발생 시점에서 현재까지의 상황을 바탕으로 완료 및 진행단 계, 추가적인 복원사업이나 시간 경과가 필요한지에 대해서 기입한다.

■ 정밀 모니터링 : 대상지의 상징성, 추가 붕괴 및 2차 피해, 야생동・식물 서식처 등 종합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정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기입한다.

■ 시설물 현황 : 인공복원 대상지의 경우 훼손된 시설이 있을 경우 종류와 크기, 수량을 기입하며, 추가적인 시설물 도입이나 보완이 필요한 경우에는 종류와 크기, 수량을 기입한다.

■ 종합의견 : 복원 현황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복원사업의 필요성, 복원 상태 등에 대해서 종합의견을 기술한다(예시 : 자연복원이 진행되는 곳이지만, 탐방로와의 이격거리가 짧고, 접근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안전 휀스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 직할 것으로 판단됨).

마. 현황 사진

■ 조사시 동일 지역에서 원경, 근경 및 세부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근 성이 불량하여 종합적인 사진을 촬영하지 못할 경우 최대한 원경과 근경을 촬 영하여 대상지를 대표할 수 있는 사진으로 활용한다.

■ 접근이 불가한 경우 최근의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으로 대체하고, 출처와 시기를 기입한다.

표 4-4. 단기(1년) 모니터링 대상지

ID X좌표 Y좌표 탐방로 복원

형태 복원방안

LS지리01-01 267176.8 205685.2 천왕봉-하봉10 자연 자연복원 LS지리02-03 266760.8 205705.7 천왕봉-하봉9 자연 자연복원 LS지리02-10 266150.8 204931.6 천왕봉-칠선계곡1 자연 일부인공복원(지반안정) LS지리02-12 265466.2 205021.1 천왕봉-칠선계곡3 자연 자연복원 LS경주02-01 231444.6 256006.4 추령갈림길-추령1 자연 자연복원 LS경주02-02 231552.5 256112.3 추령갈림길-추령2 자연 자연복원 LS설악01-01 152982.5 514628.0 대청봉-마등령 자연 일부인공복원(지반안정) LS설악03-11 142085.9 513502.8 한계리휴게소-한계령휴게소8 자연 일부인공복원(지반안정) LS설악03-35 148010.0 510317.0 한계령휴게소-필례계곡1 인공 자연복원 LS설악03-61 146943.4 510316.9 한계령휴게소-필례계곡6 자연 자연복원 LS설악03-84 135806.8 513173.0 원통리-덕적리4 인공 일부인공복원(지반안정) LS설악03-85 135666.7 513640.6 원통리-덕적리3 인공 일부인공복원(지반안정) LS설악04-13 150658.7 509846.4 한계령휴게소-오색약수터13 자연 자연복원 LS설악04-16 150443.6 509980.0 한계령휴게소-오색약수터10 자연 자연복원 LS설악04-18 150027.9 510074.1 한계령휴게소-오색약수터8 자연 자연복원 LS설악04-22 148471.8 510437.8 한계령휴게소-오색약수터2 인공 일부인공복원(식생도입) LS설악04-23 148780.8 510304.3 한계령휴게소-오색약수터3 자연 일부인공복원(지반안정) LS설악04-24 149012.0 510259.1 한계령휴게소-오색약수터4 인공 인공복원 LS설악04-26 149719.7 509975.9 한계령휴게소-오색약수터7 자연 일부인공복원(지반안정) LS설악04-30 151233.7 509268.0 오색약수터-망경대4 자연 자연복원 LS설악04-36 149847.2 509374.7 흘림골-오색약수터3 자연 자연복원 LS설악04-37 149590.8 509063.4 흘림골-오색약수터2 자연 자연복원 LS속리01-06 275093.4 332545.2 삼가리-서원리1 자연 일부인공복원(지반안정) LS북한02-02 198052.1 458702.7 일선사-정릉 인공 일부인공복원(지반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