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 주변에서 발생한 산사태지를 분석한 결과 지속적으로 침식이 발생하여 나지노출 면적이 소폭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일부 구간의 경우 식생침입과 기반암 노출로 인한 자연복원이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5-9. 연도별 대청봉 주변 산사태지 면적
구분 2005년 2008년 2012년
1 1,282㎡ 1,024㎡ 1,031㎡
2 554㎡ 13,377㎡ 12,595㎡
3 109㎡ 2,364㎡ 2,346㎡
4 652㎡ 1,517㎡ 1,977㎡
5 192㎡ 1,263㎡ 2,236㎡
6 3,038㎡ 3,850㎡ 4,049㎡
합계 5,827㎡ 23,395㎡ 24,234㎡
그림 5-15. 연도별 대청봉 주변 산사태지 면적 변화량
<대청봉 주변, 2008년> <대청봉 주변, 2012년>
그림 5-16. 연도별 식생침입 비교(설악산국립공원)
그림 5-17. 동일구간 현장사진(설악산국립공원, 2014년)
제3절. 소결
지리산국립공원과 설악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산사태 발생지에 대한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 분석을 통해 연도별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지리산국립공원의 경우 확보한 영상이 산사태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10년 이상된 지역으로 산사태 면적 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식생침입과 침식이 완료 된 구간 즉 기반암노출로 인해 지반이 안정화되어 자연복원이 진행되고 있는 결 과로 판단된다. 설악산국립공원의 경우 확보한 영상의 시기가 산사태 발생 후 2 년∼6년이 경과된 시점으로 산사태 발생으로 인한 피해면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사태 발생 후 일정 기간 동안에는 산사태지 내부 및 주변부에서 불안 전한 토사의 침식으로 나지 면적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침식이 완료되면 기 반암 노출 및 식생 침입으로 인해 산사태 면적이 소폭이나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공위성 영상과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지를 분석한 결과 대상지의 면적(길이, 폭 등)과 형태 등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시각적으로 대상지 를 확인하고 연도에 따른 시계열 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인공위성 영상과 항공사진의 경우 이용자가 원하는 시기의 영상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면적, 형태 등 단순한 물리적 인자만을 분석할 수 있어 산 사태 발생지의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있어서는 한계가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지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 는 인공위성 영상 및 항공사진 분석과 더불어 물리적 인자와 식생분야에 대한 정 기적이고 장기적인 정밀 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도 제작
제1절. 주제도 제작 일반현황 제2절. 도형정보 취득 제3절. 주요 인자별 속성정보 제4절. 산사태 발생지 주제도 제작 제5절. 소결
제1절. 주제도 제작 일반현황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현지조사는 먼저 표준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 다. 크게는 세계시장에서의 표준화를 통한 시장선점 및 국가 경쟁력확보, 작게는 임업 및 산림휴양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작업으로서 표준화 기술 못지않게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표준화’란 말 그대로 표준을 설정하여 해당 내용을 작성할 때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표준화의 기준에 맞춰 제작하거나 이를 통해 만들어지 는 결과물 역시 표준화된 기준에 부합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는 동시에 어느 누구에 의해서 목표하고자 하는 내용이 작성되더라도 다시 제3자에 의해 자유롭 게 이용이 가능한 호환성을 갖는다는 장점도 있다.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지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게 될 경우 조사자에 따라 조사인자 및 중요도, 조사 범위 등이 서로 상이하며, 이는 향후 자료의 통합과정 에서 누락된 정보가 발생하거나, 단위 및 기호 등의 차이로 인해 무결점 자료를 구축하는데 있어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국 단위의 산사태 발생지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시 현지 조사 단계에서의 표준화가 이루어지면 지역과 조사자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준의 자료 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DB구축과 양질의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을 것이 다. 반면 초기에 적절한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지역 간, 조사자 간에 조 사된 자료가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여러가지 자료를 확인하거나 여러 가지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알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생길 소지가 매우 높다. 이 로 인해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 노력 등의 낭비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기획 단 계에서부터 적절한 표준화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현지조사를 수행하기 위한 표준화는 자료의 표준(내용의 표준, 교환의 표준, 품 질의 표준)과 절차의 표준, 기술의 표준 등 크게 3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