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집중호우로 인해 해마다 산사태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복원 및 모니터링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초기 국립공원의 산사 태지는 1980년 오대산(진고개~노인봉)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국립공 원관리공단, 2001). 현재까지 35년이 경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산사태 발생지의 변 화상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및 산사태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떠한 과정을 통해 복원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기초자료가 부족한 실정이 다.
따라서 향후에는 산사태 발생 유형(산복, 계안, 와지)에 따라 고정 조사구를 설 치하여 토석류의 이동 및 발생, 식생도입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정밀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향후 산사태 발생지에 대한 복원 계획을 수립 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자연복원 및 인공복원에 대 한 접근 방안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4. 3D 스캐너를 이용한 위험사면 분석 사례
참고문헌
▪ 강희도. 2003. 산사태의 원인과 종류 및 국내 발생유형 연구. 인하대학교 교 육대학원. 15~19쪽.
▪ 김성준, 김대식, 길철, 배덕효, 신사철, 조명희, 조기성. 2007. GIS 개념과 기 법. 시그마프레스(주). 599쪽.
▪ 김영표, 조윤숙. 1998. 주제도 수치지도 제작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 지 6(1);103-120.
▪ 김정기, 강치우, 박래홍. 1989. 위성영상의 선형특징 추출과 이를 이용한 자 동 GCP 파일링에 관한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5(2):133-145.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1. 국립공원 산사태지 복구대책 수립을 위한 조사. 106 쪽.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07. 호우에 의한 국립공원 산지재해 방 지방안 연구. 530쪽.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3. 국립공원 탐방로 일원 산사태 위험 지역 조사. 271쪽.
▪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관리사무소. 2003. 지리산국립공원 고산지 경관변화 모니터링. 143쪽.
▪ 국토연구원. 2002. 지리정보 정확도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130쪽.
▪ 마호섭. 2002. 산사태의 발생과 복구방안. 산림(441). 58~62쪽.
▪ 마호섭, 정원옥. 2007. 우리나라 국립공원지역의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한국 임학회지 96(6);611-619.
▪ 마호섭, 정원옥, 박진원. 2008.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예측기법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97(3);326-331.
▪ 마호섭, 정원옥. 2010. 국립공원 지역에 있어서 토석류 재해의 특성 분석. 한
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4);52-64.
▪ 박경식, 임인섭, 최근석. 2001. 수치지형도 일반화 위치정확도 품질평가. 한국 측량학회지 19(2);173-181.
▪ 박운용. 2004. 기본측량학. 형설출판사. 871쪽.
▪ (사)생명의숲국민운동. 2006. 생활권 숲길 현황 조사 매뉴얼. 156쪽.
▪ (사)한국산림공학기술연구회. 2012. 우면산 산사태와 관련한 특별세미나 자료 집. 98쪽.
▪ 산림청. 2003. 산사태 발생원인 및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563쪽.
▪ 산림청. 2013. 산사태 발생 위험지의 통합관리 방안 연구. 118쪽.
▪ 산림청. 2014. 전국 산사태방지 전문가 워크숍. 95쪽.
▪ 신은선. 1993.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보령·서천지역의 산사태 분석. 충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쪽.
▪ 우보명 등. 1997. 산림공학. 광일문화사. 454쪽.
▪ 이기부, 윤경철, 신상철. 1997. 지도입력방식에 의한 수치주제도 제작 공정에 관한연구. 대한 토목학회논문집 17(Ⅲ-1):37-46.
▪ 이희연. 1995. 지도학: 주제도 제작의 원리와 기법. 법문사. 686쪽.
▪ 임정호, 박종화, 손홍규. 2005. 원격탐사와 디지털 영상처리, (주)시그마프레 스. 580쪽.
▪ 하봉욱, 조숙경, 김종훈, 배해영. 1996.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따른 소요 공수 산정 방안. 1996년도 한국정보과학회 가을 학술발표 논문집 23(2):263-266.
▪ 홍성언. 2007. 토탈스테이션과 RTK-GPS측량을 이용한 수치지적측량의 작업 효율성 비교.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3):87-96.
▪ 황창섭, 이제기. 2004. 1/5,000 축척 지형도제작을 위한 수치지도 Ver.2.0
자료변환 프로그램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4(6D):999-1007.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13(3):2009-215.
▪ Forman, R.T.T and M. Godron. 1986. Landscape ecology.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88-189pp.
▪ Goodchild. M. and G. Hunter. 1997. A simple Positional accuracy measure for linear fea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1(3):299-306.
▪ Hunter, G.. 1999. New tools for handing spatial data quality: Moving from academic concepts to practical reality. URIAS Journal 11(2):25-34.
▪ Jensen, J.R., Ramsey, E,. Makey, H.E. and M.E. Hodgson. 1988.
Thermal modeling of heat dissipation in the pen branch delta using thermal infrared imagery. Geocarto International :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Remote Sensing and GIS 4:17-28.
▪ Jesen, R., Botchway , K., Brennan-Galvin, E., Johansen, C., Juma, C., Mabogunje, A., Miller, R., Price, K., Reining, P., Skole, D., Stancioff, A. and D. R. F. Taylor. 2002. Down to earth: Geographic Inform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frica, Washington. National research council. 5p.
▪ Keefer, D.K. 1984. Landslides caused by earthquakes. Geol. Soc. Am.
Bull., 95:406~421.
Dalam dokumen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지 현황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는 아래의 연구진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Halaman 193-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