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이켜 볼 때, 사회주의 경제개혁 지향은 시기마다 강약이 있었 는데 대략 4시기를 구분해 볼 수 있다. 그 첫 시기는 1950년대 중 반으로 사회주의 경제개혁 논의가 태동하지만 실현되지 못한다. 둘 째 시기는 1960년대 중반으로 소련‧동유럽에서 전반적 개혁 파도가 발생하며, 전향적 개혁 실험이 있었다. 셋째 시기는 1970년대와 1980년대로서 후퇴 및 정체기였다. 1968년 바르샤바조약군의 체코 슬로바키아 침략 이후 1960년대 중반의 개혁 개념은 축소되거나 철 폐되었다. 1970년대의 정체기를 거쳐 1970년대 후반에 위축되고 보수적 경향의 개혁이 재추진되었다. 넷째 시기는 1980년대 후반으 로, 1985년 고르바초프 등장 이후 사회주의권 개혁 동향은 다시 탄 력을 받게 되었다. 1989-1991년 소련‧동유럽에서는 사회주의가 붕 괴함으로써 ‘사회주의적 개혁’은 종료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2004 년까지도 명목상 ‘사회주의’라는 이데올로기적 우산 아래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1)
1)사회주의 경제개혁의 역사는 W. Brus, Geschichte der Wirtschaftspolitik in Osteuropa (Köln: Bund Verlag, 1987); R.
Schlütter (Hrsg.), Wirtschaftsreformen im Ostblock in den 80er Jahren (Paderborn: Ferdinand Schöningh, 1988); G. Schöpflin, Politics in Eastern Europe (London: Blackwell, 1993).
이러한 개혁 경험을 종합해 보면, 사회주의 경제체제는 스탈린 적 중앙집권 명령경제체제 → 부분 분권화된 중앙집권 명령경제체제
(부분개혁체제) → 사회주의 상품경제 → 사회주의 시장경제 등의
순서를 밟아 해체되어 간다고 볼 수 있다. 부분개혁체계는 계획경제 의 틀을 유지하면서 분권화하고 상품-화폐관계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체제이다. 사회주의 상품경제에서는 지령성 계획이 폐지되 며, 국영기업이 상업적으로 운영된다. ‘계획이 폐기된(또는 되어가기 시작하는) 사회주의경제’라고 할 수 있다. 사회주의 시장경제에서는 국영기업이 주식회사화 등을 통해 비국영화되며, 시장기구가 성숙해 간다. ‘생산수단이 비국영화된(또는 되어가기 시작하는) 사회주의 경 제’라고 할 수 있다.
사회주의 경제개혁의 논쟁의 역사에서 보나 현실적으로 보나 ‘경 제개혁’이란, 위에서 언급했던 4 단계 중 하나의 경제체제에서 다음 단계의 체제로 넘어가는 데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모든 국가가 순차적으로 모든 개혁 단계를 거치지는 않았으 며, 한 국가에서도 전진과 후퇴가 있었다. 각 유형의 주요 특징, 해 당 국가와 해당 시기는 아래와 같다.2)
2) 이하의 내용은 박형중, 「북한의 경제관리체계」(서울: 해남, 2002), pp. 4-7의 내용을 수정한 것이다. 국가별 시기별 분류는 다음 서적들에서 해당 서술을 참조 했다. J.Kosta, Wirtschaftssysteme des realen Sozialismus (Köln:
Bund Verlag, 1984); H.Leipold, Wirtschafts- und Gesellschaftssysteme im Vergleich (Stuttgart: Gustav Fischer Verlag, 1988); Hubert Gabrisch ed., Economic Reforms in Eastern Europe and the Soviet Union ((London: Westview Press, 1988); H. Conert, Die Ökonomie des unmöglichen Sozialismus (Münster: Westfälisches Dampfboot, 1990); J. Adam, Economic Reforms in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since the 1960s
▲ 스탈린적 고전체제
-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경제. 매우 세부적인 계획명령체계
- 경제는 수직위계에 따라 부문별로 관리된다.
- 국가는 지방정부, 기업의 모든 경제 잉여를 중앙에 집중 후, 재분배한다. - 사례: 1950년대 모든 사회주의 국가, 북한, 불가리아, 루마
니아 등에서는 대부분의 시기
▲ 부분개혁체제
- 기본방향: 집권적 계획체제의 기본구조 내에서 국영기업의 경 영상의 자율성을 확대함으로써 효율성을 증대한다.
- 연합기업소의 설치: 중앙정부와 말단 기업간에 중간관리단위 로서 업종별 또는 지역단위로 대형종합기업인 연합기업소를 만들고 의사결정 및 재정상의 권위와 자율권을 부여한다.
- 계획경제를 전제로 효율성‧채산성 중시: 계획명령체계를 단순 화하고 채산성을 중시하는 방향에서 수정한다. 국영기업 경영 에서 ‘상대적 자율성’이 높아진다. 국가 계획 달성을 전제로 판 매량과 이윤을 강조하며, 이윤의 일부를 기업과 노동자에 대한 보너스로 사용한다. 기업의 고정자산 및 유동자금 사용에 대한 재정 통제를 강화함으로써, 화폐와 금융의 역할이 상승한다
(London: Macmillan Press, 1989); D. Nohlen ed., Sozialistische Systeme (München: R.Piper, 1986); A. Zimbalist, H.Sherman and S.Brown, Comparing Economic Systems (New York: H.B.J, Pub., 1989); 폴 그레고리, 로버트 스튜어트, 「러시아소련독립국가연합의 구조 와 전망」 (서울: 열린책들, 1992); 박광작, “동독의 「신경제체계」(1963∼
1971)와 북한의 「경제관리개선조치」(2002)의 비교연구,” 「KDI 북한경제리뷰」 2003년 3월; 권율, “베트남의 개혁‧개방모델의 특징과 시사점”(2004).
(‘사회주의적 화폐금융관계의 활용’론).
- 표준적 사례: 동독(1963-1970), 소련(1965-1970), 폴란드 (1973-1982).
- 보수적 사례: 소련‧동유럽에서 1960년대의 전향적 개혁은 1970년대에 후퇴하는데, 1970년대 말 보다 보수적 형태로 정착했다. 소련(1979-1986), 동독(1979-1989), 체코슬로 바키아(1979-1989), 북한(1984-1985).
- 전향적 사례: 기본개념은 부분개혁체제에 속하나 부분적으로 기업의 계획외 생산을 허용함으로써, 계획체계의 포괄범위를 부분적으로 축소했다. 중국(1979-1984), 베트남 (1980-1982), 북한(2002.7-)
▲ 사회주의 상품경제(시장사회주의)
- 기본원칙: 국가의 기업에 대한 지령성 계획을 폐기한다. 국가 는 경제적 간접적 수단을 통해 국영기업의 경영방향에 영향을 준다. 국영기업으로 이루어진 시장경제라고 할 수 있다.
- 국가와 기업의 경영상의 분리추진: 국영기업 지배인은 기업내 부 종업원 선거에 의해 선출되거나, 국영기업의 경영 도급에 관한 경쟁 입찰 과정을 통해 채용된다. 기업재정이 국가재정 으로부터 분리되어, 기업은 완전한 독립채산단위로 변화한다.
- 사경제의 극적인 팽창: 국영기업이 근간을 이루지만, 비국영 기업, 사기업 등이 발전하여 국영 기업과 경쟁한다.
- 시장제도의 초기 발전단계: 소유권 및 계약 등에 대한 법체 계, 자본시장과 상업 금융 체계가 발생하지만, 미숙하다. 정
부, 기업 등의 행위와 기능은 시장경제와 유사하지만, 정부는 거시경제 운영 능력, 기업 및 노동자는 시장경제 적응 능력이 미숙하다.
- 사례: 헝가리(1968-1987), 폴란드(1982-1989), 중국 (1984-1992), 소련 (1987-1991), 베트남 (1986-1991), 나진선봉경제무역지대(1997.6-),
▲ 사회주의 시장경제
- 기본 원칙: 국영기업을 민영화시킴으로써 국가와 기업을 완전히 분리 한다.
- 시장제도의 성숙 단계: 주식 시장, 상업은행 제도, 소유권에 대한 법적 규정과 보호의 명확화 등 시장경제 제도가 성숙단계 에 접어들며, 이를 기초로 국가의 거시경제정책이 시행된다.
- 사례: 헝가리(1987-1989), 중국(1992-), 베트남 (1992-현 재)
각 유형의 주요 특징, 해당 국가와 시기를 이해를 돕기 위해 단 순화시켜서 도표로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부분개혁체제로부터 사회주의 상품경제로의 이행은 질적 변화라 고 볼 수 있다. 고전체제와 부분개혁체제는 공히 지령성 계획경제이 지만, 사회주의 상품경제와 사회주의 시장경제는 공히 ‘(지령성) 계 획’없는 ‘사회주의경제’이기 때문이다. 사회주의 상품경제에 진입하 면, 국영기업의 행태는 시장경제의 사기업과 유사해지며, 일반 주민 의 일상생활 영위도 시장경제와 크게 다를 바 없다.
사회주의 시장경제는 중국과 베트남에서만 성숙단계에 접어들었 다. 이는 사회주의 경제와 시장경제의 과도기로 볼 수 있다. 이 단 계에서는 사회주의 경제의 근본원칙의 하나인 ‘생산수단의 국가소유’
원칙이 해체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구사회주의의 유산(공산당의 일당지배 및 경제구조와 습성 등)에 의해 특징지워진 시장경제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사회주의 개혁 경험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3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3) 첫째, 일반적으로 ‘사회주의 경제의 비효율성’을 제거하기위해 경제개혁을 실시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역사적 경험에서 볼 때, 개혁의 실행 여부와 경제적 성공 여부는 반 드시 연계되어 있지 않다. 중국에서는 경제개혁이 지속적 경제성장 과 연계되었다.
둘째, 경제개혁은 국가마다 상이한 시기에 상이한 심도와 폭으 로 진행되었는데, 공산당 정치적 지배가 공고한 나라일수록 경제개 혁은 진척되지 않았다(소련,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루마 니아). 공산주의 지배엘리트가 분열되어있고, 대내정치가 불안정했 던 나라일수록 개혁이 진척되었다.(폴란드, 헝가리, 중국)
셋째, 지구상에는 국가마다 다종다양한 ‘시장경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회주의 경제에서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이라고 할 때, 그것이 어떤 유형의 ‘시장경제’로의 이행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해야 한다. 동독과 체코처럼, 원래 고도로 발전한 공업국가였고 서유럽에 국경을 맞대고 있는 경우일수록 서방형의 안정된 시장경제를 조속히
3) 박형중, 「북한의 체제변화와 개혁‧개방론: 비교사회주의를 통해본 북한의 현재와 미래」(서울: 해남, 2004 근간예정) 참조.
유형 스탈린 고전체제
부분개혁
체제 사회주의상품경제 사회주의시장경제
계획과 시장
지시형 계획경제 계획과 시장의 혼합경제 시장주도 경제 초집중, 물량
중시
분권화, 채산성
중시
계획체계의 폐지와 시장제도의 성장
시장제도의 성숙, 거시경 제정책 능력 향상
정부와 기업의 관계
지령성 계획을 통한 직접 통제
경제적 수단을 통한 간접
통제 거시경제정책
정부와 기업 의 경영일체
화
기업경영의 상대적 자율성
정부와 기업의 경영분리 정부와 기업의 소유권 분리 기업
경영 목표
물량계획 달성
판매수입계획, 이윤계획달성
상업적 이윤증대와 국가요구 이행
시장수요 충족 및 이윤 극대화 국가-기업
-노동자간 수익배분
실적과 보수 연계 미미
기업 보유 이윤 증가, 이윤량 중
심 분배
소유주 국가에 상업적 이윤 을 상당부분 할애 후, 기업,
노동자 간에 분배
시장경제적 조세 및 임 금 체계 성립
중소
사경제 불허
소비재‧ 봉사업 부문 중소 상공업 허용
합법화 및 장려 사경제는 성장의 엔진
대외개방 폐쇄 경제 대외무역 확대
또는 특구설치 투자 개방 또는 특구 확대 세계경제 통합 농업 집단농장 집단농장
(부분)해체 장기 토지사용권 인정
소련 1965-1970
1979- 1987-1991
헝가리 1968-1987 1987-1989
폴란드 1973- 1982-1989
동독 1963-1970
1979-1989 체코슬로
바키아 1979-1989 1966-1969
중국 1979-1984 1984-1992 1992-현재
베트남 1980-1982 1986-1991 1992-현재
북한 1984-1985
2002.7-현재
1997.6- (나진선봉경제무역지대)
<표 1> 사회주의 개혁 단계와 내용, 국가별 해당 시기
*범례: 부분개혁체계에 관한 연도 표시 중, 이탤릭은 표준형, 정자체는 보수적 유 형, 밑줄은 전향적 유형을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