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목 차

I. 서 론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기초교양교육에서 MOOC를 활성화하기 위한 교수법 개발을 목적 ※ 사업비 일부는 재학생 졸업 시까지 폐지학과 교육과정 유지 및 교원 신분 보장

등에 의무 활용

ㅇ (학사운영) 인문학적 소양 교육 강화, 융복합 교육과정 활성화 및 창조경제혁신센 터와 연계한 지역산업 특화 교육과정·현장실습 확대

□ 대학의 인문역량 강화

ㅇ (대학 인문역량 지원) 각 대학이 자율적으로 수립한 인문학 발전 계획의 집중지원 을 통해 창조경제와 창의인재 양성의 기반이 되는 인문학 육성

※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CORE :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을 통해 연간 600억 원 지원

ㅇ (인문 교육과정 다양화) 기초학문으로서 인문학 육성 및 인문기반 융복합 교육 과 정 등 사회수요를 반영한 인문학 교육과정 마련

※ 기초학문심화, 글로벌 지역학, 인문기반 융합전공, 기초교양대학 모델 등

- 참여 대학은 전 계열 학생 대상 인문교육 실시, 학생 선택권 확대, 각 대학의 특성 을 반영한 다양한 인문학 교육과정 개설 출처 : 교육부

으로 하였다. MOOC의 발달과 함께 이에 적합한 교수법이 부재한 상황에서 나온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양적인 연구, 전문가 협의를 병행하 였고 [그림 Ⅰ-1]과 같다.

교수법 개발을 위해 국내외 관련 문헌을 조사하였다. 문헌은 첫째, MOOC에 관한 연구 결과물을 조사하였다. MOOC를 소개하는 연구, MOOC의 활용성을 탐색하는 연구는 물론 교육부, 평가원 등 여러 기관들의 연구 결과 보고서를 참조하였다.

둘째, 교수법 관련 연구 결과물을 조사하였다. 교수법에 대한 이론적인 배 경을 연구한 텍스트를 참고하였다. MOOC를 활용하는 개개 수업에서 시도해 본 수업 모형들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교과목의 성격은 다양하지만 수업 모형이라는 공통분모가 있으므로 참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강좌에 관한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연구 결과물을 조사하였다. 기초 교양교육을 위해 개설되는 강좌들을 알아야 MOOC의 활용 방안을 도출할 수 있고, MOOC나 KMOOC의 강좌와도 비교해 볼 수 있다.

다양한 설문 조사 결과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교수자와 학습자의 수요도 조 사, MOOC를 활용하여 학습하지 않는 학습자들에게 MOOC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MOOC를 활용한 교수법으로 학습한 학습자들에게 선호 도와 교육적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진의 소속 교수학습센터에서는 매 학기 MOOC과 관련된 수업 모형 개 발을 시도하고 있다. 2015년도 20명, 2016년도 14명이 MOOC 활용법을 시도하 고 있는 바 MOOC에 관한 한 전문가이다. 교수학습센터 담당자의 고견을 들 어 보았다. 기초교양교육의 전문가의 의견은 대면과 메일을 통해 수렴하였다.

교육공학 전공자, 교육정책 담당자 등 전문가의 논평을 통해 수정 보완함으로 써 연구의 보편성과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