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I. 서 론
2. 제언
하이브리드 교수법을 적용해 본 결과 현재의 고등교육 커리큘럼에서 MOOC 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MOOC 강좌가 양질의 강좌이기는 하지만 완벽하지 않고, 우리의 실정에 맞지 않은 면이 있기 때문에 우리의 교육 과정 에 따라, 우리 학습자들의 성향을 고려하여 취사 편집할 필요가 있다. 실험적 이지만 하이브리드 교수법으로 MOOC의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하이브리드 교수법이라는 실험적 교수법을 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한다.
첫째, 하이브리드 교수법은 교수자에게 수업 이전에 온라인을 통한 학습, 수업 중의 강의와 학습자중심 활동, 수업 후의 무형식학습까지 다양한 활동을 필요로 한다. 교수자는 전체 수업에 대해 다양한 역할을 해야 하고, 수업 중 의 활동에 대한 과정 평가도 실시해야 한다. 특히 교양과목은 학습자의 성향 이나 전공이 다양하여 동일한 형태의 학습을 이끌기 쉽지 않다. 이는 교수자 한 명에게 과도한 역할을 부여하는 일이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교수법이 이루 어지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시수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어야 한다. 교수자가 해 야 하는 책임 시수가 줄어들면 수업 한 과목에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여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교는 교수자의 과중함 부담을 분산시키기 위해 필 요한 존재이다.
둘째, 교수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 오늘날 대다수의 학습자 들은 기술적으로 고도화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디지털 네이티브라고 불 릴 만큼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수하다. 하지만 디지털 네이티브에게 지식을 가 르치는 교수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최하위이다. 교수자들 중 디지털 에 대해 문외한이거나 더 이상의 재교육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교수자들의 디지털 수준에 비해 학습자들의 수준은 나날이 상향되고 있 기 때문에 이로 인한 소통 부족은 나타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교수자의 디지 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괴리는 학습 효과 저하는 물론, 더 나아가 교수자에 대한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진다. 학습자들이 디지
털 리터러시 기술을 갖추어 빠르게 변화하는 업무 환경에 임하도록 훈련시켜 야 하는 교수자들이 학습자의 능력보다 떨어진다는 것은 교수자 자체의 역량 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교수자들은 나이나 전공이라는 한계를 넘 어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수준을 향상시키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교수 자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디지털 리터러시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혁신적 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하이브리드 교수법을 위해서는‘스마트러닝실’이 필요하다. 교육 환 경은 점차 이동성, 유연성, 다양한 디바이스 가용성을 필요로 하는 프로젝트 기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설계되고 있다. 교육기관들은 웹 컨퍼런 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온라인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스마트러닝 실’구축을 위해 무선 대역폭을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 대형 디스플레이와 스 크린이 디지털 프로젝트를 위한 협업과 무형식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설치되 고 있다. 고등교육이 전통적인 강의 중심의 수업에서 체험 기반의 시나리오로 변화함에 따라 대학의 강의실은 유기적인 상호작용과 학제 간 문제해결을 촉 진하는 최근의 사회 환경을 반영해서 재구성되고 있다.
오레곤 주립대학(Oregon State University)의 새로운 Learning Innovation Center는 대규모 강의에서도 교수가 모든 학생들과 근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 록 ‘원형’ 교실을 구성한다. 건물 중앙에 교실을 배치하여 수업 간 흐름을 개선시켰으며, 무형식학습 공간을 추가하여 학생과 교수가 교실 밖에서 협력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유사하게 싱가포르의 난양 기술대학(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은 새로운 Learning Hub 건물을 지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곳은 다양한 전공의 학생과 교수가 함께 만나 교류할 수 있도록 중앙 에 놓인 강단을 바라보는 코너가 없는 교실의 클러스터 형식이 특징이다. 이 처럼 기존의 사각형의 강의실, 전체 학생이 칠판을 바라보도록 계단식으로 배 치되어 있는 대형 강의실은 학습자중심 활동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학습활동에 적합하고, 기계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교수자와 학 습자,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한 ‘스마트러닝실’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과학 기술과 교육이 접목되는 현실에 학습자, 교수자, 고등교육기관을 가능 한 한 빨리, 최적의 상태로 적응시키는 것이 고등교육이 지향하는 바다. 과학 기술의 발전 속도에 맞추어 교육 환경도 따라가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과 학 기술의 발전과 이를 운용하는 교수자와 학습자, 고등교육기관이 따라가지
못한다면 국가적 퇴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학습자들의 감소와 기술적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현실에서 고등교육이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끊임 없이 발전을 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한다.
참고문헌
[1] 교육부(2015.2.3.). “한국형MOOC 추진 방향” 교육부 보도자료; 교육부 (2015.4.16). 한국형 MOOC 선정평가 결과. 교육부 보도자료.
[2] 구본혁(2015). “MOOC를 활용한 플립 러닝의 효과성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6-18; 최진숙(2014). “온라인 교육문화혁명 : MOOC”, 글로 벌문화콘텐츠 14, 179-198.
[3] 김경, 김동식(2004). “웹기반 학습에서 학습자료 유형과 학습내용 제시 시 기가 인지부하, 효과성 및 효율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20.4, 111-145.
[4] 김광수 외(2016). “고등교육 교수학습자료 공유‧유통 및 품질관리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6-7.
[5] 김양희(2015).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운 영 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 47, 328; 방진하 외(2014). “플립드 러닝 (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의미와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 탐색”, 한국교 원교육연구, 31.4, 300-301.
[6] 김자미, 이원규, 김용(2014). 한국형 MOOC 연계를 위한 온라인강의 활성 화 방안, 교육부 정책연구보고서, 6.
[7] 김자미, 구양미, 이원규(2015). “영국의 FutureLearn과 프랑스 FUN이 K-MOOC에 주는 시사점과 전망”, 비교교육연구 25.4, 294.
[8] 김정주, 김재현(2007). “주요국의 평생학습 통계지표 비교분석 - EUROSTAT와 NCES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7.4, 129-152.
[9] 김지선(2014). “글쓰기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고찰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을 통한 피드백 중심 수업개발-”, 인문연구 72, 560.
[10] 김한별(2006). “무형식학습의 이해 - 대학생들의 일상 경험에 대한 내러 티브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2.2, 25-43.
[11] 김호권(1996). 완전학습이론의 발전, 문음사, 91-140.
[12] 나일주 편저(2015), 글로벌 학습 시대 묵스의 이해, 학지사, 17, 34, 37-38, 91.
[13] 류수영(2013). “경영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사례연구”, 교육공 학연구 29.1, 103-131.
[14] 박삼열(2012). “토론식 수업에서의 교수자 전략”, 교양교육연구 6.4, 237-262.
[15] 박숙희, 염명숙(2007).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학지사, 95-100.
[16] 박신향(2016). “PBL 수업과 강의식 수업 비교를 통한 수업 방식 선호 연 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495-515; 신재한(2011).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태영출판사, 126-128; 박숙희, 염명숙(2007). 교수-학습과 교육 공학, 학지사, 95-100; 유구종, 강병재(2005).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창지 사, 114-116.
[17] 배예선, 전우천(2014). “온라인 공개 강좌 MOOC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8.12, 3007-3008.
[18] 서승일(2016). “MOOCs 수료자의 학습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서울대 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교육학과, 24-52.
[19] 성은모, 오헌석, 김윤영(2013), “대학교육에서 산업형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 탐구”, 교육방법연구 25.3, 544-545.
[20] 손동현(2009). “융복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교양교육연구 3.1, 25.
[21] 손동현(2009).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교양교육연구 3.2, 15-16; 홍병선(2012). “대학교육의 현실과 사회적 요구”, 교양교육 연구 6.2, 271-275; 이희용(2011). “융복합 교육 시대에 기초교양교육의 내실화와 제역할 모색”, 교양논총 4, 68-69.
[22] 신재한(2011).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태영출판사, 126-128; 박숙희, 염명 숙(2007).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학지사, 95-100; 유구종, 강병재(2005).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창지사, 114-116.
[16] 이상수(2012). “네트워크 사회 도래에 따른 새로운 교육의 방향”, 교사교육연구 51.2, 286-287.
[23] 양단희(2015).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의 근원적인 문제점 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6.6, 294-295.
[24] 양단희(2015).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의 근원적인 문제점 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6.6, 294; 최진숙(2014).
“온라인 교육문화혁명 : MOOC”, 글로벌문화콘텐츠 14, 188-189.
[25] 유구종, 강병재(2005).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창지사, 114-115.
[26] 유기웅, 정종원(2015). “우리나라 4년제 대학 교양교육 현황 분석 연
구”, 교육문제연구 28.2, 69-70; 정종원, 유기웅(2015). “교양기초교육 영역분류에 따른 국내 대학의 현황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1.3, 5-27; 신행자(2013).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 성취를 위한 대 학 교양교육과정 체제 연구”, 교양교육연구 7.5, 480.
[27] 이광현, 홍지영(2009).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지방교육경영 14, 42-59.
[28] 이명숙 외(2016). “2015년 고등교육 이러닝 현황조사 결과 보고서”, 한 국교육학술정보원, 45-51.
[29] 이민경 외(2016). 플립 러닝 이해와 실제, 교육과학사, 27-30; 이종연, 박 상훈, 강혜진, 박성열(2014).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환경에 관 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9, 313-323; 이정민, 노지예, 정연 화(2016). “플립드러닝 성과를 예측하는 요인 규명”, 정보교육학회논문 지 20.1, 57-68.
[30] 이용숙(2012). “대학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디자인의 새로운 접근 방법 개발 연구 -원인연쇄분석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4.4, 729-770.
[31] 이은정, 김용(2012). “아시아지역의 공개교육자원 활용현황 분석”, 인터 넷정보학회논문지 13.6, 41-43; 김자미, 구양미, 이원규(2015). “영국의 FutureLearn과 프랑스 FUN이 K-MOOC에 주는 시사점과 전망”, 비교교 육연구 25.4, 296.
[32] 이종연, 박상훈, 강혜진, 박성열(2014).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 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9, 313-323; 박승배 (2014). “Salman Khan의 학교교육 혁신안에 대한 교육과정학적 분석”, 교육과정연구 32.3, 1-20.
[33] 장상현(2014). K-MOOC 플랫폼 개발 전략. 2014 온라인 평생 학습지원체 제구축을 위한 이슈페이퍼.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서승일(2016). “MOOCs 수료자의 학습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교 육학과, 19-20.
[34] 장선영(2013). “고등교육에서 이러닝 공개교육자료의 현 사용 실태를 통 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 KOCW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5.1, 292-293.
[35] 정민승(2015). “인문교양학습자의 문화맥락 분석을 위한 시론”, 교육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