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하이브리드 교수법의 장점

목 차

I. 서 론

5. 하이브리드 교수법의 장점

정보화 사회에서 지식의 축적 속도는 빠르고 축적량이 비약적으로 늘어난 다. 이제 지식은 독점하여 권력화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공유하여 인류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이 되었다. 지식의 개념에 대한 변화는 MOOC라는 대규모 온라인 공개강좌의 출현으로 대변된다. MOOC는 지식의 양이 아니라 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의 문제를 낳았다. 대학과 기관, 개인들이 제공하 는 수많은 MOOC 강좌들을 기초교양교육에서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고민으로 도출된 것이 하이브리드 교수법이다.

하이브리드 교수법과 블렌디드 러닝의 공통점은 모두 학습자들이 온라인에 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것이다. 차이점은 오프라인에서 수업의 주도권 주체에 있다. 하이브리드 교수법에서 오프라인 수업의 주도권이 강의식으로 할 때는 교수자에게,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할 때는 학습자에게 있다. 블렌디드 러닝에서는 수업의 주도권이 일관되게 교수자에게 있다. 하이브리드 교수법은 오프라인에서 교수자가 티칭과 가이던스의 역할을 동시에 강조하는 반면 블 렌디드 러닝은 교수자가 티칭보다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 을 강조한다는 점이 다르다.

하이브리드 교수법과 플립 러닝과의 차이점은 오프라인에서 교수자의 역할 강화에 있다. 하이브리드 교수법에서는 플립 러닝과 달리 교수자의 강의를 중

요시하고, 학습자중심 활동에서도 교수자의 방향 제시와 개입을 강조한다. 온 라인으로 선행학습한 내용은 교수자의 전체 교육 내용의 일부분에 불과하므 로 교수자의 강의가 필수적이다. 또 학습자중심 활동에서 교수자의 전체 수업 설계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활동 방향이 교육 목표와 부합되지 않을 때, 소 수 학습자들 위주의 활동이 전개될 때 교수자가 활동에 개입한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활동을 안내하는 가이던스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기초학습, 학습자중심학습, 경험/성찰학습 세 단계로 이어지는 하이브리드 교수법의 장점은 다섯 가지이다.

첫째, 기초교양교육의 내실화가 가능하다.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기초교양 교육에서 기초학문의 학문적 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다양한 영역으로의 확 대를 강조하고 있다. MOOC를 활용하여 기초학습뿐 아니라 경험과 창의적인 단계까지 확대시키는 하이브리드 교수법은 기초교양교육에서 포괄적이고도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둘째, 융복합 교과목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21세기는 깊지만 좁은 영역 의 지식을 가진 인재가 아니라 학문적 경계를 초월하는 인재를 원한다. 전공 과 비전공을 넘나드는 지식과 기술을 수용하고 응용하는 능력을 가진 인재의 필요성은 융복합 교육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게 만든다. 하이브리드 교수법 은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기초학습 단계에서부터 경험/성찰하는 단계까지 MOOC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교수법은 융복합적 사고 력 향상과 창의적 인식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학문의 실용성 증대가 가능하다. MOOC를 활용하여 하이브리드 교수 법을 적용한 결과 과학 기술 교과목 뿐 아니라 인문학 교과목에서도 경험/성 찰학습이 가능하였다. 이 교수법은 단순한 지식 차원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 니라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 지식을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적용하는 능력 을 육성할 수 있다.

넷째, 학습자에게 자기주도학습을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기초학습에서 MOOC를 활용하는 법을 인지한 학습자는 학습자중심학습에서 습득한 지식에 대한 다양한 심화학습 단계를 거친다. 또 이를 경험이나 성찰과 연결하는 방 안을 MOOC를 통해 찾아보고 학습한다. 이 모든 과정을 거친 학습자는 자신 이 알아야 할 분야, 알고 싶은 분야가 생겼을 때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기초학습 단계, 학습자중심학습 단계, 경험/성찰학습 단계를 통해 새로 운 분야를 개척하는 방법을 알게 되는 것이다.

다섯째,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 지털 정보를 찾고 이해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 하는 능력이자 인지적, 기술적 스킬을 모두 겸비한 능력을 말한다.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MOOC를 활용하는 교수학습법을 경험하면서 디지털 도구와 정보 에 대한 이해력이 높아지면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자연스럽게 향상된다. 새로 운 교육 환경에 대한 적응은 실제로 경험해 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하기 때문 이다. 디지털 리터러시 증진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적 지원과 함께 교수자와 학습자의 긍정적 인식과 능동적 수용이 필요하다.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