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V.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본 연구는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의미부여중재가 중학생의 스트레스대처전략과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의 1개 중학교에서 3학년을 대상으로 모집되었다. 중학교 3학년 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3학년은 학업스트레스와 공부압박감을 많이 경험하는 시기이다(임성택, 주동범, 이금주, 2010). 학교급간 학업 스트레스 비교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초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은 학업 스트레스 수준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김정현, 김성벽, 정인경(2014)의 연구에 따르면 중학교 1, 2학년에 비해 3학년의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시기의 학생들 중 학업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한 스트레스대처전략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학생들은 학업적응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은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이차적인 재해석을 할 수 있는 인지적 수준을 갖추었으며(McLean & Breen, 2009),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전반적인 삶의 의미나 목적과 같은 전반적 의미에 대한 인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김택호, 2004). 따라서 중학교 3학년은 충분히 사건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고 부여할 수 있는 나이이므로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에 활용된 학생은 실험집단 53명, 통제집단 45명이었다.

처음에 수집된 사례수는 모두 143명이었으나, 사후검사에 참여하지 않거나 중재 시에 결석, 조퇴한 학생과 의미부여중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모집한 사례수 143명 실험집단 138명

통제집단 50명

제외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5명 제외

-사후 검사 미참여 -중재 시 결석 및 조퇴 자료수집 완료된

사례수 130명 실험집단 85명 통제집단 45명

제외 실험집단 32명 제외 전문가 평정 점수 평균

2점 미만

실험집단 53명

통제집단 45명

<표 3> 연구 참여자 선정 및 제외

않았다고 평정된 학생을 제외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의미부여에 대한 평정은 중재나 개입을 실시한 여러 선행 연구들에서와 같이 개입이 연구자의 의도에 맞게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점검하여 의미부여중재의 정확한 효과를 보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평정 과정에서 제외된 32명의 학생 중 한 회라도 중재에 참여하지 않거나 결석으로 인해 참여하지 못한 학생은 총 9명이었다. 전체 학급을 대상으로 개입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만약 중간에 연구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 중재지를 엎어 놓도록 하였다. 이런 경우 연구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거절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보았으며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나머지 23명은 두 평정자가 JPIQ 문항으로 평정한 결과 2점 미만이라고 평가되어 제외되었다.

이 학생들은 자신이 경험한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은 썼지만 이점을 찾거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였다. 글쓰기는 높은 동기가 필요한 활동이기 때문에 중도에 참여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Park(2010)는 의미부여노력과 의미가 부여된 상태(meaning-made)를 구분함으로써 의미부여의 효과에 대한 비일관적인 연구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의미가 부여되었다고 판단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중학생들은 학급을 단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정되었다. 본 방식은 이미 구성되어 있는 학급을 단위로 하여 집단에 배정하기 때문에 준실험설계방식에 해당하며 실험의 내적 타당도를 저해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통제집단의 경우 실험집단이 중재를 받는 동안 그 어떠한 활동도 하지 않기 때문에 한 학급 내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공존할 경우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분석에 포함된 연구 참여자의 분포와 인구통계학적 정보는 아래 <표 4>와 같다.

<표 4>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실험집단 통제집단 합계

남성 27 (50.9) 23 (51.1) 50 (100) 여성 26 (49.1) 22 (48.9) 48 (100) 합계(%) 53 (100) 45 (100) 98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