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 학업적응의 정의와 측정

Darwin(1859)에 의해 적응이라는 개념이 사용된 이후 다양한 연구에서 심 리적 적응, 행동적 적응, 학교적응, 사회적 적응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적응은 정확하게 개념화되기보다는 우산개념(umbrella concept)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넓은 의미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어져 왔 다(Clinciu & Cazan, 2014). 학교적응은 심리적 상관이 있는 변인들이나 가 설적 구성 요인들에 의해 설명되어져 왔기 때문에 개념을 정의하고 측정하 기 어렵다(Missall, 2003). 그렇지만 학교적응은 학업 과정에 있는 아동 및 청소년에게 중요한 문제이며, 학업문제와 관련된 적응은 학교생활 전반에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치는 요인이므로 국내외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들은 매 우 활발히 이루어져왔다. 학교적응에 관한 국외 연구들은 유아부터 초기 청 소년(Baker, 2006; Birch & Ladd, 1997; Missall, 2003; Shields, Dickstein, Seifer, Giusti, Dodge, & Spritz, 2001)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았으며 내용은 주로 교사-학생 관계 또는 친구 관계(예: Nansel, Haynie,

& Simonsmorton, 2003; Wentzel, Barry, & Caldwell, 2004)와 학교 적응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그리고 학업적응을 중점적으로 본 연구들은 대학생 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았다(예: Clinciu & Cazan, 2014; Gerdes &

Mallinckrodt, 1994; Rice, Leever, Christopher, & porter, 2006).

학업적응은 학교적응 혹은 학교생활적응의 일부이며(김아영, 2002; 김용 래, 2000; 문은식, 2002; 이규미, 2005; Baker & Siryk, 1999), 심리적 적 응 및 학교에 대한 인식과 함께 학교적응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Roeser & Eccles, 1998). 대체로 학업적응은 따로 연구되어지기보다는 학 교적응 안에서 같이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학교적응 관련 연구들을

통해 학업적응에 대한 정의와 측정 도구를 살펴보았다. 김용래(2000)는 학 교적응을 “학습자가 학교수업, 학교생활, 학교 내의 친구와의 관계, 교사 와의 관계, 학교환경 등에서 유발하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일련의 노력”

이라 정의하였다. 문승태(2004)는 학교적응을 “학교의 수업과정과 상황에 서 지적, 정의적, 심리 운동적 발달을 위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성선진(2010)도 위의 연구에서의 정의를 기초로 하여 학교생활 적응을 “학생 개인이 모든 학교환경으로부터 유발되는 스트레스나 문제 상 황에 융통성 있고 유연하게 대처하고, 자신의 욕구 충족과 성장을 위해 자 신과 학교 환경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킴으로서, 학교 환경과 개인 사이에 조 화로운 균형을 이루어 나가는 상호작용 능력”이라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 러한 개념 정의에는 학업적 적응이 포함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김용래, 문승태, 성선진은 스트레스와 대처의 관점에서 학교적응을 정의하였다.

학업적응은 학교적응 중에서도 학업과 관련한 요구들에 대해 얼마나 성공 적으로 대처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도를 의미한다(Baker & Siryk, 1984). 여 러 학업적 요구, 수업 참여, 학업 노력과 관련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이러한 적응 정도는 달라진다. 문은식(2002)은 학교생활적응 의 구성개념의 하위요인으로 학업적, 사회적, 정의적 적응행동을 제안하였 다. 이 중 학업적 적응행동은 1) 수업참여도(얼마나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 여하고 있는가), 2) 학습노력(학습을 위해 얼마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 3) 학습행동통제(학교학습을 방해하는 개인 내, 외적 요인을 얼마나 잘 통제하고 있는가), 4) 학습지속성(학교학습을 얼마나 주의 집중해서 지 속적으로 잘 하고 있는가)과 관련된 적응행동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학업적응에 관한 초기의 연구들은 학업적 능력을 학업적응의 중요 요인으 로 간주하였으며(Pantages & Creedon, 1978), 학업적응 정도를 학업성취도 를 활용하여 평가하기도 하였다(이정은, 조미형, 2007; 이해리, 2009;

Dubow, Tisak, Causey, Hryshko, & Reid, 1991). 그러나 최근에는 학업적응 이 인지적 학습능력 이상을 의미하며 동기, 정서, 행동적 측면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학업에 대한 동기와 학습 관련 행동, 환경적 만족감(Baker & Siryk, 1989), 목적의식, 시간 관리(Bowman, 1981) 와 지연 행동(Clinciu & Cazan, 2014), 학업 관련 정서(Clinciu & Cazan, 2014) 등이 학업적응을 정의하는 요소들로 포함되어 있다. 김용래(2000)는 적응은 정의적(자아개념, 불안, 학습동기, 통제 소재, 귀인성향, 태도, 흥 미), 인지적, 행동적 차원의 특성을 공유하는 복합적인 개념이라고 설명하 였다.

김용래(2000)가 개발하고 타당화한 초, 중, 고등학생용 학교적응척도는 학교환경적응, 학교교사적응, 학교수업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생활적응으 로 구성되어있다. 이 중 본 연구의 관심 종속변인인 학업적응과 관련 있는 요인은 학교수업적응이다. 본 척도는 학교적응에 대해 전체적으로 79.2%의 설명량을 가지며, 그 중 학교수업적응이 11%의 설명량을 가진다고 보고하였 다. 학교수업적응은 교과목 수업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지, 열심히 수업을 수강하는지, 스트레스 받지 않는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등과 같은 문항 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김용래의 척도는 학교적응 내에서 학교수업과 관 련된 학업적응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시험이나 과제, 혹은 부모와 교사, 친구, 자기 개념과 관련된 학업적응 내용에 대해서는 반영하 지 않았다. 곽수란(2012) 연구에서 활용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에서는 학업적응을 5가지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문항 내용은 ‘즐거운 마음으로 학 교 공부,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 수업시간 발표 및 호명, 학교 가는 것을 좋아함, 편안한 마음으로 수업’ 등을 포함하고 있다.

국내외의 대학생 학교적응 연구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는 척도는 SACQ(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Baker & Siryk, 1999)

이다. SACQ에서 학업적응은 신입생들이 대학 경험에서 교육적 요구를 축종 시키기 위한 대처를 얼마나 잘 하고 있는지에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SACQ의 학업적응 척도는 1) 동기화(교육적 목적에 대한 지각, 가치에 대한 판단과 같은 태도적 측면), 2) 적용(동기화가 학업 노력으로 전환되는 정 도, 학업 몰입과 관련된 행동적 측면), 3) 수행(학업적 노력의 효과성, 학 업성적 만족도, 공부시간 활용), 4) 학업적 환경(수강 과목 및 교수에 대한 만족 등 환경적 요인에 관한 만족 의미)의 네 개의 하위 척도로 이루어져 있다. 동기화 6문항, 적용 4문항, 수행 9문항, 학업적 환경 5문항이며 9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개발되었다.

Clinciu와 Cazan(2014)은 Clinciu(2014)의 SIQ(School Inadaption Questionnaire) 중 학업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수정하여 AAQ(Academic Adjustment Questionnaire)를 타당화하였다. 학업과 관련된 신경증적 증상 과 관련하여 14문항, 지연에 관한 19문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0과 1로 점수 를 매기는 자기보고식 측정도구이다. 본 척도는 높은 점수가 오히려 학업적 부적응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경증적 증상은 SACQ의 개인-정서적 적응과 상 관(-.46)을 보였으며, 지연은 학업적 적응과 상관(-.50)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Rice와 동료들(2006)의 연구에서는 Academic Integration Scale(Cabrera, Nora, & Castneda, 1993)을 활용하여 학업적응을 측정하였 다. 세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5점 리커르트 척도인 대학생을 위한 이 척도 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1) 나는 (교육기관 이름)에서 학 업적으로 내가 기대한만큼 수행을 잘 해왔다. 2) 나는 (교육기관)에서 수강 하는 나의 커리큘럼에 대해 만족한다. 3) 나는 나의 학업 경험에 대해 만족 한다. AIS는 대학생의 학업 성취와 학업 지속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Cabrera et al., 1993).

다음의 <표 1>은 국내외에서 개발된 학업적응척도의 하위요인과 문항 예

시, 신뢰도, 척도 개발 대상을 정리한 것이다. 아래의 표에 보고된 신뢰도 는 각 연구에서 보고된 문항내적합치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 값이다.

<표 1> 국내외 학업적응 관련 척도 저자

(년도)

척도명

(대상) 하위요인(신뢰도) 문항 예시

김정남 (2013)

단축형 학교 적응 척도 (중, 고등학생)

학업(.86)

심리적안정성(.74) 사회관계영역 학교생활

학업 6문항(5점척도)

Ÿ 나는 공부하고 있는 어떤 내용이 어려울 때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 따로 시간을 내어 공 부한다

Ÿ 나는 수업 중 선생님의 말씀을 주의 깊게 듣 는다

Ÿ 나는 선생님이 내주신 어려운 과제를 잘 해 결할 수 있다

김택호, 김재환 (2004)

학교 적응 (중학생)

학업적응(.90) 사회적응

학교환경 및 일반 적응

학업적응 20문항(5점척도)

Ÿ 학습행동통제: 나는 공부가 지루하고 재미없 더라도 내가 해야 할 만큼은 다한다

Ÿ 수업참여: 나는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은 다 이해하고 지나간다

Ÿ 학습노력: 나는 시험일자가 발표되면 시험공 부를 열심히 한다

Ÿ 학습지속성: 나는 공부를 하고자 결심하면 곧 실천하는 편이다

이규미 (2005)

학교 적응 (중학생)

학교공부(.77) 학교친구 학교교사 학교생활

학교공부 8문항(5점척도)

Ÿ 학업유능감: 나는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대 부분 이해할 수 있다

Ÿ 학업가치: 학교공부는 내가 성숙된 인간으로 커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저자 (년도)

척도명

(대상) 하위요인(신뢰도) 문항 예시

한국 교육 종단 연구 (KELS)

학업 적응 (중학생)

학업적응

Ÿ 즐거운 마음으로 학교 공부 Ÿ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 Ÿ 수업시간 발표 및 호명 Ÿ 학교 가는 것을 좋아함 Ÿ 편안한 마음으로 수업

Baker

&

Siryk (1989)

SACQ :Student Adaptati on to College Questio nnaire (대학생)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

학업적응 24문항(9점척도)

Ÿ 동기화: 나는 대학에서 공부하는 것이 즐겁다 Ÿ 적용: 나는 공부를 밀리지 않고 잘 해나가고

있다

Ÿ 수행: 나는 나의 학업성적 수준에 만족하고 있다

Ÿ 학업적 환경: 나는 이번 학기에 수강하는 과 목들에 대해 만족한다

Clinciu

&

Cazan (2014)

AAQ :Acade

mic Adjustm

ent Questio

nnaire (대학생)

학업적응

학업적응 33문항(2점척도) Ÿ 신경증적 증상

Ÿ 지연

Cabrera, et al.

(1993)

AIS

:Acade mic Integrati

on Scale (대학생)

학업적응

학업적응 3문항(5점척도)

Ÿ 나는 (교육기관 이름)에서 학업적으로 내가 기대한만큼 수행을 잘 해왔다

Ÿ 나는 (교육기관)에서 수강하는 나의 커리큘럼 에 대해 만족한다.

Ÿ 나는 나의 학업 경험에 대해 만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