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전공 및 교양교육 중요도 분석

IV.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기업 수요조사

2. 산업계 수요조사 및 연구

2.2 산업계 수요조사 결과

2.2.3 전공 및 교양교육 중요도 분석

전공과 교양교육 중요도 설문조사는 1점에 가까울수록 전공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 로 측정하였고 5점에 가까울수록 교양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는 <표2-30>과 같이 평균 2.72로 전공교육을 교양교육보다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2-30> 전공 및 교양교육 중요도

평균 표준편차

전공 vs 교양 2.72 1.21678

업종별 특성을 고려하여 전공과 교양교육 중 어느 것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지 확인하기 위 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10가지 업종에 따른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표 2-31>, <표2-32>과 같다. 제조업 2.28, 유통업 2.88, 금융업 2.75, IT 2.46으로 전공교육을 중요 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방송업 4.40, 교육업 4.33, 의료업 4.00으로 교양교육을 중 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표2-31>업종에 따른 전공 및 교양교육 중요도 기술통계

업종별 응답 수 평균 표준 편차

전공 vs 교양

제조업 61 2.28 1.16

유통업 24 2.88 1.04

금융업 32 2.75 1.24

IT 13 2.46 1.33

건설업 3 3.00 1.00

운수업 4 3.50 0.57

방송업 5 4.40 0.55

외국계기업 21 3.52 1.078 총계 167 3.20 .915 글로벌 트렌드

학습 능력

국내기업 146 3.48 .881

.016 .987 외국계기업 21 3.48 .873

총계 167 3.48 .877 융복합적 사고

능력

국내기업 146 3.16 .900

-.154 .878 외국계기업 21 3.19 1.030

총계 167 3.16 .914

<표2-32> 업종에 따른 전공 및 교양교육 중요도 변량분석

변량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 제곱 F 유의확률

전공 vs 교양

그룹 사이 41.835 9 4.648 3.579 .000 그룹 내 203.937 157 1.299

총계 245.772 166

기업유형(기업규모, 민간/공기업, 국내외기업)에 따른 전공 및 교양교육 중요도에 차이가 있 는지 확인하기 위해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정(t-test)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표2-33>

과 같다.

먼저 기업규모에 따라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상시근로자 300이상인 기업과 미만인 기업 모 두 전공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 지 않았다.

다음으로 민간/공기업으로 기업을 나누어 비교한 결과, 민간기업 2.65로 전공교육을 더 중요 하게 여겼다. 반면, 공기업 3.43으로 교양교육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국내외기업에 따른 전공 및 교양교육의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모두 전공교육을 교양교육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기업유형 구분 응답 수 평균 표준 편차 t 유의확률

기업규모 300이상 113 2.6460 1.21685

-1.116 .267 300미만 54 2.8704 1.21386

민간/공기업 민간기업 153 2.65 1.19

-2.311 .022

공기업 14 3.43 1.28

국내외기업

국내기업 146 2.73 1.22

.400 .690 외국계기

업 21 2.62 1.24

<표2-33> 기업유형(기업규모, 민간/공기업, 국내외기업)에 따른 전공 및 교양교육 중요도

직급에 따른 전공 및 교양교육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 (ANOVA)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표2-34>, <표2-35>와 같다. ‘부장급 이상’, ‘차 장급’, ‘과장급’, ‘대리급 이하’ 모두가 전공교육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서비스업 21 3.05 1.12

교육업 3 4.33 0.58

의료업 1 4.00 0.00

총계 167 2.72 1.22

<표2-34> 직급에 따른 전공 및 교양교육 중요도 기술통계

직급 응답 수 평균 표준 편차

전공 vs 교양

부장급이상 29 2.55 1.12

차장급 21 2.86 1.39

과장급 58 2.67 1.13

대리급이하 59 2.80 1.29

총계 167 2.72 1.21

<표2-35>직급에 따른 전공 및 교양교육 중요도 변량분석

변량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 제곱 F 유의확률

전공 vs 교양

그룹 사이 1.693 3 .564 .377 .770 그룹 내 244.079 163 1.497

총계 245.772 166

2.3 산업계 설문조사 소결론

핵심역량과 직무기초능력을 중심으로 한 기업 수요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다음 의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부분의 기업 인사 관계자들은 문항에 포함된 핵심역량과 직무기초능 력의 중요성을 고르게 평가하고 있다. 이는 정부차원에서 마련한 핵심역량과 직무기초능력 목록이 직무수행에 필요한 주요 능력을 효과적으로 포괄하고 있기 때문이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핵심역량과 직무기초능력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모두 중요도와 만족도 사이에 어느 정 도의 불일치가 발생했다. 기업의 입장에서 중요하다 생각하는 역량과 능력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 으로 낮은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특히 설문에서 신입사원의 역량과 능력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했 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결과는 기업이 대학교육이 직무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하지 못한다 고 생각하는 이유 중 하나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을 구분하여 활용한 설문에서도 주목할 만한 점이 도출된다. 우선 기업들은 여전히 대학의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이 선명하게 구분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이는 특정 역량의 경우 전공 수업과의 연관성을 대단히 높게 평가하는 다른 역량을 낮게 평가하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은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을 통해 강화되는 역량과 능력이 차별화 되는 것으로 인식 하고 있다. 다시 말해 전공교육은 특정한 역량이나 능력 한 두 가지를 집중적으로 강화화는 과정이 며 교양교육은 다양한 능력과 역량을 골고루 강화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기업 들이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재상으로 융복합형 인재를 제시하고 융복합형 능력과 역량을 중시한다 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지만 대학교육을 바라보는 시선은 크게 변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한편 업종에 따라 전공교육을 중시하는 정도와 교양교육을 중시하는 정도가 차이가 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2차 산업들은 여전히 전공을 통해 강화되는 역량과 능력에

가중치를 두고 있는데 반해 3차 산업들은 교양교육의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 이 확인된다. 이는 업종에 따라 반드시 갖추어야 할 역량과 능력 자체의 차별성으로 인해 발생한 결과가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목해야 할 점은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보강한 세 개의 직무기초능력들이 기업들 로부터 중요도와 만족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평가를 받은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능력 들도 새로운 시대의 인재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역량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대학 또한 기존에 제 시된 핵심역량이나 직무기초능력만을 활용하여 역량 강화 고민을 할 것이 아니라 새롭게 바뀌고 있는 경제적 상황에 따라 기업들이 어떤 인재를 원하고 있는지를 꼼꼼하게 따지고 살펴는 것이 필 요하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3. 2차 델파이 조사 및 연구

[그림IV-4] 2차 전문가 조사 방법 및 주요 내용

3.1. 2차 델파이 조사 설계

3.1.1 2차 델파이 표본

2차 델파이 조사 1차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의 목적은 1차 델파이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한 각 항목별 적절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인사 담당자들이 응답한 산업계 수요조사 결과에 대한 전문가의 해석 과 의견을 확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외부 전문가 명단은 다음과 같다. 총 10명의 인사담당자들이 2차 델파이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모두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3.1.2 2차 델파이 설문 구성

본 연구팀은 1차 델파이 조사와 산업계 수요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2차 델파이 조사 설문 을 구성했다. 설문은 4영역으로 총 17개 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전화를 통한 설문조사 안내 및 참여 확인 작업을 거친 후 이메일로 설문지를 발 송하고 회수하는 방식으로 11월 15일부터 11월 20일까지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10명의 전문 가 의견을 확보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 사용한 설문 문항은 다음과 같다.

Q1.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첨부 1>과 <다음>의 자료를 참고 하여 순위를 매기고 5점 척도로 중요도를 평가한 후 그 이유를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1 2 3 4 5

전혀 중요하지

않다 중요하지 않다 보통이다 중요하다 매우 중요하다

순번 성별 분류 소속 직급

1 남성 교육계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원장

2 남성 교육계 성균관대학교인재개발팀 팀장

3 남성 교육계 한국능률협회 전문강사

4 남성 교육계 한국능률협회 전문강사

5 남성 산업계 방송광고진흥공사인사팀 팀장

6 남성 산업계 Cre2tive컨설팅 대표

7 남성 산업계 ㈜진인사컴퍼니 대표

8 남성 산업계 삼성물산 고문

9 남성 산업계 더와이랩교육본부 본부장

10 남성 산업계 이우곤HR연구소 소장

이유 답변:

▶ ‘핵심역량’에 대한 1차 전문가 조사 결과를 ‘1차 전문가 조사 결과(순위)’로 표기하였 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시한 산업계 수요조사 결과를 ‘산업계 조사’로 표기하였다.

‘산업계 조사’에서 전공, 교양 전공&교양은 각 역량이 어느 분야에 더 적절한 것인지 비율 을 나타낸 것이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역량 별 중요도 순위 와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중요도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되었다. 또한 답변의 이유에 대해 서도 기술하도록 하였다.

Q2.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요구되는 ‘직무 기초능력’을 <첨부 2>와 <다음>을 참고하 여 순위를 매기고 5점 척도로 중요도를 평가한 후 그 이유를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1 2 3 4 5

전혀 중요하지

않다 중요하지 않다 보통이다 중요하다 매우 중요하다

번 핵심역량

1차 전문가 조사 결과

(순위)

산업계 조사 (n=167명, 비율%)

2차 전문가 조사 중요도

평가 전공 교양 전공&

교양 순위 1~5점 1 자기관리 역량 6 8.9% 14.0% 20.6%

2 지식정보 처리 역량 2 65.4% 3.1% 11.1%

3 창의적 사고 역량 1 15.4% 13.6% 23.7%

4 심미적 감성 역량 4 1.9% 31.9% 5.5%

5 의사소통 역량 3 5.6% 20.6% 22.5%

6 공동체 역량 5 2.8% 16.7%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