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전공 기초와 글쓰기를 강조하는 교양 교육: 미국

목 차

2) 전공 기초와 글쓰기를 강조하는 교양 교육: 미국

이 항에서는 한국 교육의 모델이 되어 온 미국 교육에서 대학 교양 교육이 어떻 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황을 간략하게 검토해 보고자 한다. 세계적인 교육 명문인 아이비리그의 대학들 중 교양 교육에 특히 내실을 기해 온 하버드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를 예로 들어 교양 교육의 철학과 상(像)을 점검해 봄으로써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12)

10) 통칭 볼로냐 프로세스로 불리는 유럽연합의 고등 교육 제도 개편 과정에 대해서는 다음의 논문들을 참조. 박민아 · 이다혜 · 한지혜 공역,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볼로냐 프로세스(Bologna Process) - 2009 루벤 공동선언」, 대학교육 160집,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9, 80쪽; 이시우, 「볼로냐 프로세 스와 독일 대학법의 변화」, 유럽헌법연구 제 4호, 유럽헌법학회, 2008. 12, 239-240쪽.

11) 이시우, 위의 논문, 240쪽; 신옥주, 「EU의 대학교육통합과정인 볼로냐-프로세스 연구」, 유럽헌법연 구 제 3호, 유럽헌법학회, 2008.6, 152쪽; 이진희, 「유럽통합과 독일 대학교육 제도 개혁에 관한 연 구 – 볼로냐 프로세스 이후 교육 개혁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69집, 한국독일어문학회, 2015, 182-184쪽.

12) 미국의 명문 대학들 중에서 예일대학교의 경우에는 다른 대학들과는 달리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적으 로 적용되는 중핵 과정의 비중이 높지는 않은 편이다.

미국 대학 교육의 역사는 크게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19세기 이전으로, 영국에서 그리스/로마 고전을 기독교 관점으로 읽도록 훈련받은 영국 청교도들이 미국으로 건너와서 대학을 세우고 기독교적인 고전 교육을 중시했던 건국 이후의 시기이다.13) 두 번째 단계는 19세기 말까지로, “세속적 인문주의 (secular humanism)”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때는 아직 분화된 전공 개념이 없 었고, 예일대학교의 경우 다양한 인문주의적 고전이 공유되던 시기였다.14) 그러다 가 독일에서 19세기에 부상한 연구/전공 중심의 근대적 대학관이 19세기 말~20세 기 초 미국 대학에 영향을 미치면서 현재와 같은 연구/전공 중심의 대학 교육과정 이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요컨대 미국의 교양 교육은 ① 기독교적 고전 교육 ② 세속적 인문주의 교육 ③ 연구 중심 교육의 단계를 거치며 여러 종류의 교육관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다.16)

본 연구에서 사례로 참조하고 있는 하버드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펜실베이니 아 대학교의 교양 교육에서 나타나는 공통점은 모두 교양 교육에서‘전공 기초’

가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19세기 말 이후 시작된 독일 학계의 영향으로 정착된 분화된 전공 연구 중심의 교육관이 교양 교육에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보 여준다.

우선 하버드 대학교의 일반교양 과정(Program in General Education)을 살펴보면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 일반교양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17)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양 교육의 기치로 내건 것은‘삶의 방식에 대한 새 로운 해석(a new interpretation of Modus Vivendi)이다18). 즉, 하버드 대학교의 학 부 교양 과정은 과거를 현대적인 시선으로 재발견함으로써 고급한 지식을 습득하 는 것으로, 중세 유럽의 자유 학예 개념을 현대적으로 응용한 것이라 하겠다.

13) Anthony T. Kronman, Education’s End: Why Our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Given Up on the Meaning of Lif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007, 48쪽.

14) 위의 책, 53쪽.

15) 위의 책, 59-62쪽.

16) 크론만 교수는 예일대학교 법학대학원 교수로, 법학대학원 학장을 역임한 이후로 예일대학교에서 인 문 고전을 중심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에 계속해서 참여해 오고 있다. 그는 위에 인용한 교육의 목적

에서 대학 교육은 기본적으로 직업을 갖기 위한 수단이 아니며, 삶의 본질적인 의미를 발견하는 데에 토대를 두고 있다고 본다. 그리고 분화된 전공 연구를 넘어선 전인적인 학문 활동을 강조한다.

17) 하버드 대학교 일반교양 프로그램의 내용 및 현황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온라인에 게시하고 있는 일 반교양 관련 자료를 참조한 것이다. 자료의 웹 주소는 다음과 같다.

http://generaleducation.fas.harvard.edu/files/gened/files/gercfinalreport.pdf. (2016년 8월 21일 접 속)

18) 위의 글, 3쪽.

영역 비고

전공 기초에

해당

일반교양 4과목

① 미학, 문화, 해석

② 역사, 사회, 개인

③ 과학, 사회 속의 기술

④ 윤리와 시민

* ①②③④의 과목 분류 표지가 붙은 일반교양 과목은 기초 전공/전공 입문

과정으로 정의됨

* 유럽 중세 대학 자유 학예 개념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

학부 전공 선택 (문과대, 공학 및

응용과학대) 핵심

교양에 해당

글쓰기 및 외국어 양적 추론 능력

<표1. 하버드 대학교의 일반교양 과정 (2016년 현재)>

하버드 대학교의 일반교양 커리큘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대학의 교양 교육 이 전공 기초 교육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이다. 인간의 삶에 대한 미학적이고 비평 적인 접근이라든가, 중세 시대 자유 학예의 천문이나 기하에 해당하는 과학 영역 에 대한 현대적인 접근이 모두 교양 교육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버드 대학 교의 교양 교육 보고서에서 교양교육은‘책의 앞면front-of-the-book’으로, 전공 과목은‘책의 뒷면back-of-the-book’으로 비유된다.19) 즉, 하버드 대학교의 일반 교양은 학생들이 이후에 선택하는 전공에 몰입할 수 있도록 기초를 쌓는 작업이 되어야 한다고 설명되어 있다. 교양교육이 대중으로서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 고 해서 교육 수준을 낮추거나 타협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프린스턴 대학교의 교양 과정에서도‘전공’의 문제는 중요하게 나타 난다. 이 대학의 경우에는 학생들 사이에 존재하는 전공의 차이를 교육에 반영한 다는 점이 독특하다. 프린스턴 대학교에서는 문과 학생들과 이과 학생들을 나누어 교양 교육을 두 가지 트랙으로 진행한다. 공학 및 응용과학 전공 학생들은 공학사

19) 위의 글, 7쪽.

문학사(A.B) 공학사(B.S.E)

전공 기초에

해당

영역 비고

영역 비고

① 인식론 및 인지 1과목

전통적인 인식론과 인지과학 이론

연구

② 윤리적 사유 및 도덕적 가치 1과목

윤리/도덕적인 화두들에 대한

연구

③ 역사 분석 1과

동시대와 과거의 차이에

대한 이해 ① 인식론 및 인지

② 윤리적 사유와 도덕적 가치

③ 역사 분석

④ 문학과 예술

⑤ 사회 분석

⑥ 양적 추론

좌와 동일

④ 문학과 예술 2과목

문학사, 예술사, 미학 연구를 통한 비평적 안목 고양

⑤ 사회 분석 2과

사회 제도 및 문화 규범에

대한 성찰

⑥ 양적 추론 1과

산술적, 계량적 화두들에 대한

대비

⑦ 과학과 기술 2과목(이 중 1과목 은 랩 기반의 실험 과목)

과학 이론 연구 및 실험실 연수를 통한 과제 해결 학습

인문/사회 계열에서 7과목 이상 이수

(단, 위의 영역 중에서 한 영역에

해당하는 과목을 이수해야 함)

(B.S.E) 학위를, 그 외의 다른 전공 학생들은 문학사(A.B) 학위를 수여받는다. 문학 사 예정 학생들은 모두 11과목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의 과목들을 필수적으로 이수 해야 한다. 공학사 예정 학생들은 7과목 정도를 이수하면 되므로 상대적으로 교양 교육에 대한 부담이 적다. 프린스턴 대학교의 두 가지 교양 교육 트랙을 도표로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핵심 교양에

해당

글쓰기 세미나

1과목 해당 없음

외국어

<표2. 프린스턴 대학교의 문학사/공학사 교양 과정 (2016년 현재)20)>

프린스턴 대학교 교양 과정의 두 가지 트랙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경향이 확인된다. 우선 교양 글쓰기는 공학사 과정의 학생들에게는 부과되지 않으며, 문 학사 과정의 학생들만 필수적으로 수강해야 한다. 외국어 역시 마찬가지다. 즉, 언 어 소통 능력과 관련된 두 가지 영역은 문학사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특화된 것이 다. 여기에서 언어 소통 능력이 인문사회과학의 근간임이 다시 한 번 확인된다.

다음으로 하버드 대학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양 중세의 자유 학예 7과를 재해 석한 7개의 교양 영역을 보면, 공학사 과정의 학생들은 과학기술 영역을 제외한 6 개의 영역 중 1개 영역만 선택하여 듣도록 되어 있다. 즉, 교양 과정 운영에 있어 서‘핵심 교양’이나‘필수 교양’의 개념이 희박하다. 반면 문학사 과정의 학생 들은 7개의 영역에서 모두 1~2 과목을 듣게 되어 있을뿐더러, 과학기술 영역에서 실험 실습 과목 또한 들어야 한다.

프린스턴 대학교의 경우 본고에서 살펴보고 있는 유럽 및 여타 미국 대학들과 비교해했을 때, 문학사 과정 학생들에게 실험 실습 과목을 필수적으로 이수하게 하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것은 자유 학예 7과의 과학적인 측면을 현대적으로 확장, 심화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①번 영역인 <인식론 및 인지과학>이나 ⑦번 영역인 <과학과 기술>은 모두 20세기 이후의 현대 분과 학문이 거둔 성과가 교양 교육에도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 즉, 이 경우에도 전공 분야 중심의 대학 교육관 이 드러난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교양 과정은 영역별 연구와 기초 연구로 나뉜 다. 한국의 교양 개념에 좀 더 가까운 것은 기초 연구 영역이 되겠고, 영역별 연구 영역은 하버드, 프린스턴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전공 기초에 가까운 것이다.

20) 프린스턴 대학교 교양 과정에 대한 논의는 프린스턴 대학교 웹사이트에 게시된 내용을 따른 것이다.

본 논의에서 참고한 프린스턴 대학교 웹페이지의 주소는 다음과 같다.

https://odoc.princeton.edu/curriculum/general-education-requirements#HA (2016년 8월 21일 접 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