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 I. 부사 I
2.2.1. 전환
외국 논저에서 ‘전환’이란 술어는 자주 보인다. ‘전환’이란 용어는 Sweet (1891:38)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7). 그는 『A New English Gramm ar: logical and historical』에서 이 현상을 기술하였다. 그에 따르면 영어 그리고 다른 많은 언어에서 단어를 전환, 즉 변경과 첨가 없이 다른 품사에 소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단어가 필수 굴절변화를 하는 것도 가능하 다8). 그는 전환된 단어에 대한 검토를 제안하며 전환된 단어가 새로운 품사 의 모든 형식 특성(굴절변화 등)을 취함을 보였다. 예컨대 ‘he took a walk’
란 문장에서 ‘walk’가 명사로 전환된 증거로 부정관사 ‘a’ 그리고 복수형 ‘s’
를 쉽게 취할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그러나 그에 따라 가끔씩 어떤 단어가 어느 품사에 해당되는지 의심스러워진다는 사실도 밝혔다. 단어의 형식 특성 이 덜 유표적이면 단어가 어느 품사에 소속된 것인지 결정하기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불변화사는 격변화되는 단어보다 구분이 더 어려우며 부사와 접속 사의 구별도 어렵다. 언어는 굴절적이면 굴적일수록 품사의 구별이 더 쉽다9).
7) 김영석(1998:221)을 재인용. 필자는 Sweet(1966)의 출판본을 사용한다.
8) Sweet(1966:38): ‘But in English, as in many other languages, we can often convert a word, that is, make it into another part of speech without any modification or addition, except, of course, the necessary change of inflection’.
9) Sweet(1966:38): ‘It is sometimes doubtful what part of speech a word belongs to.
The less mark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a word, the more difficult it is to
전환종류 의미 관계 용례
동사⟶명사
상태(state) desire, dismay, doubt, love, smell, taste, want 사건/행동
(event/activity)
attempt, fall, hit, laugh, release, search, swim
V의 대상(object of V) answer, bet, catch, find
V의 주제(subject of V) bore, cheat, coach V의 도구(instrument of
V) cover, wrap, wrench 다음으로 영어의 ‘전환’ 현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문법서로 자주 인용 되는 Quirk et. al.(1972)의 『A Grammar of Contemporary English』를 살 펴보기로 한다.
Quirk et. al.(1972)에서는 ‘전환’이란 파생 과정이며 접사의 첨가 없이 다 른 품사로 변화시키거나 전환된 것이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동사인 ‘releas e’는 ‘They released him’과 같은 문장에서는 분명한 동사로 작동하지만, 문 장 ‘They ordered his release’에서는 명사로 기능한다. 이 관계는 동사인
‘acquit(They acquitted him)’과 명사인 ‘acquittal(They ordered his acq uittal)’과 유사하다10). 그는 명사, 동사, 형용사 사이의 전환 관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아래 표에 이 관계가 제시되어 있다.
[표:10] 영어의 전환 유형
settle what part of speech it belongs to. Hence particles offer more difficulty than declinable words, as we see in the difficulty of distinguishing between adverbs and conjunctions. Hence also the more inflectional a language is, the easier the discrimination of the parts of speech is’.
10) Quirk et. al.(1972:1009): ‘Conversion is the derivational process whereby an item is adapted or converted to a new word-class without the addition of an affix.
For example, the verb release (as in The released him) corresponds to a noun release (as in They ordered his release), and this relationship may be seen as parallel to that between the verb acquit (as in They acquitted him) and the noun acquittal (as in They ordered his acquittal):
verb deverbal noun SUFFIXATION: acquit⟶ acquittal CONVERSION: release⟶ release
V-ing의 방식(manner of
V) walk, throw, lie V의 장소(place of V) divide, retreat, rise 형용사⟶명사 고정된 ‘형용사+명사’구에
서 명사가 생략되다
daily(newspaper), comic(actor), roast(beef)
명사⟶동사
N에/위에 놓다 (to put in/on N)
bottle, corner, catalogue, floor, garage
N에게 주다, 공급하다 (to give N, to provide with N)
commission, grease, mask, plaster
N을 빼앗다 (to deprive
of N) core, gut, peel, skin N으로...하다 (with N) brake, elbow, finger N처럼 행동하다
(to be/act as N) father, nurse, parrot N으로 바꾸다/만들다
(to make/change into N)
cash, cripple, group N으로 보내다/가다
(to send/go by N)
mail, ship, telegraph bicycle, boat, canoe 형용사⟶동사 타동사 (to make ADJ) calm, dirty, humble
자동사 (to become ADJ) dry, empty, narrow
명사⟶형용사 명사가 서술어 위치에 나타날 때
a brick garage~The garage is brick reproduction furniture~This furniture is reproduction
위의 [표:10]을 보면 영어에서의 품사 전환은 단어에 적용되어 단어형성법 층위에서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영어의 경우에 명사, 동사, 형용사 사이 에서의 전환 유형을 동사⟶명사, 형용사⟶명사, 명사⟶동사, 형용사⟶동사, 명 사⟶형용사로 갈라볼 수 있다. Quirk et al.(1972)에서는 품사 전환을 파생 과정으로 보고 있고 의미 관계를 고려하여 방향성을 부여하고 있다. 생산성이
(13) a. 물질 명사⟶가산 명사
명사 범주
-N의 항목(A unit of N): two coffees, two cheeses -N의 종류(A kind of N): Some paints are more lasting than others.
-N의 사례(An instance of N)(추상 명사): a difficulty, small kindne sses
b. 가산 명사⟶물질 명사
-N이 양을 나타내는 표현 뒤에 나옴(N after expressions of amoun t): an inch of pencil, a few square feet of floor
c. 고유 명사⟶보통 명사
-N유형의 일원(A member of the class typified by N): a Jeremiah, Edinburgh is the Athens of the north
-N이란 사람, 장소(A person, place called N): There are several Cambridges in the world.
-N에 의해 만든어진 제품(A specimen of the product made by N):
a Rolls Royce d. 상태 명사⟶동작 명사
-명사들은 일반적으로 상태를 나타내지만 ‘be’동사와 함께 임시 활동을 나타낸다.
He is being a fool/nuisance/hero.
(14) a. 자동사⟶타동사
동사 범주
-V를 하게 하다(Cause to V): run the water, march the prisoners 타동사⟶자동사
-V-ed 되다(Can be V-ed): The clock winds up at the back, You r book reads well.
-V가 자기 자신을(To V oneself): Have you washed yet?
-V를 하다(To V someone/something): We have eaten already 제일 높은 유형은 동사⟶명사, 명사⟶동사의 유형이다.
전환의 개념을 같은 품사 안에서 변화가 생긴 것으로 확대할 수도 있다.
이것을 ‘change of secondary word-class’라고 한다. 이 과정은 생산성이 낮지만 충분히 일반적인 전환과 대응이 될 수 있다고 한다(Quirk 1972:101 5). 명사, 동사, 형용사 안에서 이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b. 자동사⟶강도
-현재 의미: He lay flat -결과 의미: He fell flat (15) a. 비교급이 아님⟶비교급 형 용
사 범주
-He is more English than the English b. 상태⟶동작
-He is just being friendly
위의 예를 통해서 같은 품사 안에 전환이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물질 명사⟶가산 명사, 가산 명사⟶물질 명사, 자동사⟶타동사로 등등 전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한국어에서의 구분이 영어에 비해 뚜렷하지 않아서 동사와 명사 전환이 생산적이지 않기 때문에 한국어에 서는 이러한 현상을 기술하기 어렵다.
다음으로 굴절어인 슬라브어에서 전환 현상을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 알 아보기로 한다. Manova(2011)에서는 전반적으로 슬라브어에 해당하는 언어 인 러시아어, 불가리아어 그리고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를 자세히 다루었다.
이 논의에 따르면 전환은 어근과 어간과 단어에 작용된다. 이에 따라 Manov a (2011)는 슬라브어에서 파생된 단어와 전환된 단어의 출력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 (PREF)-BASE-DSUFF-(TM)11)-(IFSUFF) (b) (PREF)-BASE-Ø-(TM)-(IFSUFF)
(a)의 경우에 파생된 단어의 출력이 PREF(접두사), BASE(어기), DSUFF (파생 접미사), TM(어간 형성 표지), IFSUFF(굴절 접미사)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어기와 파생 접미사가 있어야 파생된 단어라고 할 수가 있다. 반 면에 (b)의 경우 전환된 단어의 출력이 PREF(접두사), BASE(어기), Ø(제로),
11) TM은 Thematic Marker의 약어이며 굴절어에는 흔히 나타나는 개념이다. 한국어 번역은
‘어간 형성 표지’라 할 수 있다. Manova(2011:31) 참조.
과정 부류
품사 변경 전환
품사 유지
전환 형식 전환 통사적 전환
단어 기반 부류
형용사⟶명사 SC.
명사⟶명사 BG.
성(性) BG.R.SC.
상위언어적 용 법⟶명사 BG.R.SC.
명사⟶동사 BG.R.SC.
부정사⟶명사 R.SC.
형용사⟶동사 BG.SC
형용사⟶명사 BG.R.
명사⟶형용사 SC.
분사⟶형용사 BG.R.SC.
어간 기반 부류
동사⟶명사 BG.R.SC.
명사⟶명사 R.
TM(어간 형성 표지), IFSUFF(굴절 접미사)로 구성되어 있다. 전환된 단어는 기본적으로 BASE(어기)와 Ø(제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Ø(제로)가 있다는 것은 파생 접미사 자체가 없다는 뜻이며 영파생이 있다는 뜻이 아니다. 그래 서 슬라브어의 원형적 전환은 다음과 같은 성격을 갖는다. 첫째로 어기의 품 사의 전환이며 굴절 접사의 생략과 대치, 첨가가 허용된다. 둘째로 전환의 입 력과 출력이 의미적인 면에서 규칙적으로 관계된다. 셋째로 출력이 다른 굴절 패러다임에 소속되면서 통사적 변화를 나타낸다12). 이에 따라 전환은 파생적 과정이 되며 원형적 전환(품사 변경 전환)과 비원형적 전환(품사 유지 전환), 형식 전환과 통사적 전환으로 나눌 수 있다13). 슬라브어 전환 유형을 다음과 같이 아래 표로 표현할 수 있다.
[표:11] 슬라브어(BG.R.SC)14) 전환 유형
12) Manova(2011:60): ‘Slavic prototypical conversion is (i) a word-class change of a base to/from which addition/substitution/ and deletion of inflectional affixes are allowed; (ii) the input and output of conversion being semantically related in a regular way (iii) belonging to different systems of paradigms; which implies (iv) a syntactic change’.
13) 원형적 전환(품사 변경 전환)-prototypical conversion(word-class changing conversio n), 비원형적 전환(품사 유지 전환)-non-prototypical conversion(word-class preservin g conversion), 형식 전환(formal conversion), 통사적 전환(syntactic conversion). (필 자 번역함)
14) BG-불가리아어, R-러시아어, SC-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명사⟶동사 BG.
어근 기반 부류
동사⟶명사 BG.R.SC.
명사⟶명사 R.
상(相) BG.R.SC.
명사⟶동사 BG.R.SC.
형용사⟶동사 R.
명사⟶형용사 BG.SC.
동사⟶형용사 R.
(16) 품사 변경 전환-단어 기반 부류 a. 형용사⟶명사
nèčist(dirty)⟶nȅčīst(dirt) (SC) rùmen(rosy)⟶rȕmēn(rosiness) (SC) b. 명사⟶동사
pečát(seal, stamp, press)⟶pečát-a-m(I print) (BG)
ál(pity, grief, sorrow)⟶ál-j-a(I pity, sorry for) (BG) c. 형용사⟶동사
tópăl(warm)⟶tópl-j-a(I warm) (BG) čist(clean)⟶číst-j-a(I clean) (BG) d. 명사⟶형용사
jèlen(deer)⟶jèlen-jī(related to a deer) (SC) bȉvo(buffalo)⟶bìvol-jī(related to an ox) (SC) (17) 품사 변경 전환-어간 기반 부류
a. 동사⟶명사
igr-á-t(to play)⟶igr-á(play) (R)
슬라브어 전환은 크게 품사 변경 전환, 품사 유지 전환, 형식 전환, 통사 적 전환으로 나누어지고, 각각 단어 기반 부류, 어간 기반 부류, 어근 기반 부류로 세분된다. 다음 예문15)을 통해서 전환을 보기로 하자.
15) 예문들은 Manova(2011)에서 추출하였다.
rabót-a-t(to work)⟶rabót-a(work) (R) b. 명사⟶동사
xuligán-stv-o(hooliganism)⟶xuligánstv-a-m(I behave like a hooliganism) (BG)
plagiát-stv-o(plagiarism)⟶plagiátstv-a-m(I plagiarize) (BG) (18) 품사 변경 전환-어근 기반 부류
a. 동사⟶명사
zov-á(I call)⟶zov(call, appeal) (BG) bég-a-t(to run)⟶beg(run) (R) b. 명사⟶동사
pár-a(steam)⟶pár-j-a(I steam) (BG) lopát-a(spade)⟶lopát-i-t(to spade) (R) c. 형용사⟶동사
slab-yj(weak,feeble)⟶slab-i-t(to purge) (R) stár-yj(old)⟶stár-i-t(to age) (R)
d. 명사⟶형용사
kráv-a(cow)⟶kráv-i(cow-) (BG) ríb-a(fish)⟶ríb-ja(fish-) (BG) e. 동사⟶형용사
ljub-ít(to love)⟶ljúb-yj(dear, loved) (R)
고립어인 영어의 경우에 품사 전환은 항상 단어 기반으로 실현되지만 슬라 브어의 경우에는 단어 기반 전환은 당연히 ‘X⟶X+굴절접미사’로 나타난다.
(16a)의 예문에서는 가장 투명한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의 단어 기반 전환을 볼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문들은 이 언어만의 특정적인 것이며, 예가 많지도 않다. 이러한 경우가 생산적이지 않은 이유는 모음의 길이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16b)의 명사⟶동사 전환은 불가리아어와 러시아어, 세르비아크 로아티아어에 나타나는데, ‘X⟶V(=X+어간 형성 표지+굴절 접미사v)’의 틀로 표현된다. 즉 ‘pečát’은 단어이고 ‘-a-’는 어간 형성 표지로 기능하며 ‘-m’은 1인칭 굴절 접미사이다. (16c)의 형용사⟶동사 전환은 단어 기반 부류 명사⟶
동사의 형태소 배열 틀과 유사한데, ‘tópăl’은 형용사이고 ‘-j-’이 어간 형성 표지이며 ‘-a’는 굴절 접미사이다. 마지막으로 품사 변경 전환 단어 기반 부 류에서 명사의 형용사화를 확인할 수 있다.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에는 형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