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한적인 소재와 디테일 활용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형태적 특성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소재의 특 성은 그 형태 및 이미지 전달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 참 여자들은 소재 면에서 있어서는 몸에 밀착하는 정도를 구분하는 신축성 정도를 가장 크게 의식하고 있었다. 소재의 경우 디자인의 컨셉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패턴이나 텍스처를 통한 디테일과 같은 특성 또한 주목 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 참여자들은 색상의 제한적 선 호와 같은 맥락으로 패턴, 디테일 트리밍과 같은 특성도 제한적으로 사 용된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을 선호하고 있었다. 특히, 의복의 세부적인 형을 이루는 디테일과 자수, 레이스 등과 같은 장식적 디테일에 대해서 는 불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연구 참여자들이 바디 컨셔스 패션스타일을 구현하기 위하여 의복을 구입할 때 실루엣뿐만 아

니라 색상, 패턴, 디테일이 선택 및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기준으로 중요 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색상 및 패턴과 디테일은 의복의 외관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색상 및 패턴 디테일이 다양하게 표현된 디자인은 의복과 몸의 상호관계 에 있어 시각적 집중도를 분리할 가능성이 높다. 즉, 본 연구 참여자들이 몸의 실루엣 특징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태도와 연관 지어 볼 때, 몸을 드러냄에 있어서도 색과 디테일을 제한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몸의 실루엣 구현에 집중하고자 하는 욕구가 작용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그림 5-9]에서 보이는 것처럼 단일 색상의 바디컨 셔스 티셔츠를 가장 선호하고 있었고, 패턴이 있는 경우에도 텍스처 효 과로 보여주는 디테일을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아래 진술과 같이 디자 인이 무난해야 몸을 가시화 하는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의 특성을 더욱 도드라지게 잘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즉, 소재의 디테일이 강조되게 되면 실루엣과의 요소가 서로 충돌할 수 있어 소재의 특성을 강조하기 보다는 실루엣을 지배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더불어 바디컨 셔스 웨어의 소재는 실루엣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가를 중심 으로 선택 및 활용이 되고 있었다.

셔츠가 몸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아이템이라 가장 좋아요. 디자인이 무난

해야 몸을 잘 드러낼 수 있는 것 같아서 그리고 단정해 보여서 긍정적 으로 생각해요.”

(S, 27세)

뭔가 색이 화려한 것도 그렇지만 레이스나 화려한 디테일은 매치가 안 된다고 해야하나? 남자여자 공평해지려면 그런 인식을 버려야 하는데 수십년간 쌓여온 인식이잖아요. 그에 반면에 슬림한 옷을 입고 체형을 드러내는 것에는 많이 관대해져서 그런지 그런거에 익숙해져서 화려한 디 테일은 피하게 된거 같아요.”

(E, 27세)

타이트한 옷인데 두 개정도 풀어 입는 다 던지 하면 이것저것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으면 오히려 꼴불견이라고 생각해요

(B, 30세)

[그림 5-9] Q, 27세. 엠보 티셔츠 [그림 5-10] N, 34세. 니트

의복의 소재 문양은 소재의 조형요소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데 이 러한 패턴은 구조적인 직물에서의 실의 특성에 따라 변형도 가능하지만 프린트 날염을 통해 문양을 응용하여 표현된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의 대부분의 진술들은 무늬 없이 실루엣을 강조한 스타일을 선호한다고 밝히고 있었지만, 과감하게 무늬가 도드라지는 스 타일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그 무늬에 있어서 색상 또 는 그래픽이 화려하게 조합된 스타일 보다는 [그림 5-11]에서 보이는 것 처럼 스트라이프 또는 기하학 패턴을 활용한 티셔츠, 니트류의 조직에 의한 패턴를 선호하고 있었다. 이처럼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을 선택함 에 있어 소재패턴을 포인트로 활용하면서도 그 무늬나 디테일 면에서 튀 지 않으면서도 개인의 패션성을 드러내고자 하고 있었다.

몸이 딱 붙는 옷을 입을 때는 잘못하면 어좁(어깨가 좁아 보이는) 스타

일로 보일 수 있어서 스트라이프 같은 패턴이 있으면 좀 더 부피가 커 보인다고 해야 하나? 오히려 그런 게 나아 보이는 거 같더라고요.”

(S, 27세)

[그림 5-11] 선호 패턴의 예

하의의 경우 [그림 5-12]과 같이 스키니 진을 선호하는 경우에는 데 님 소재나 기본 슬림핏 슬렉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면/합성 소재를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특히 하의의 경우 패턴이나 화려한 트리밍 보다는 기 본에 충실한 디자인을 선택하고 있었고, 대부분의 인터뷰 참여자들은 화 려하게 표현하는 패션스타일 활용에 대해 다소 소극적인 성격을 띠고 있 고 실루엣 부각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림 5-12] Z4, 24세, 데님 소재 청바지 [그림 5-13] F, 26세, 면/합성 소재 슬렉스

종합적으로, 본 연구 참여자들의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선택 및 활 용경향은 몸에 잘 맞게 재단된 핏감 있는 의복은 대부분 선호하고 있었 으나, 신축성 소재의 바디컨셔스 스타일에 대한 몸의 밀착정도에 따라 선호도에 차이를 보였다. 특히 신축성 소재를 통해 하체의 외형적 형태

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것에 대한 반감은 보수적인 문화적 규범의식에 의해 일상복으로 부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활용 경향에 있어서 실루 엣을 중심으로 색상, 소재의 요소에 있어 통일감을 갖도록 유지하기 위 해 색채와 소재를 제한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는 몸에 밀착하는 실 루엣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패션성의 흥미 위주보다는 색상과 소재가 단순함으로서 실루엣을 살리는 디자인을 선호하고 있었기 때문이 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인터뷰 참여자들은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의 활용에 있어 디자 인의 중요성 뿐만 아니라 의복의 실용적인 측면을 중시하고 있었다. 특 히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의 디자인에 있어 실용성은 생활 활동의 편리 를 위한 요소이며 기능에의 적합성을 의미하여 매우 중요한 선택 요소로 활용되고 있었다. 이는 몸 관리행동을 장기간 실천한 참여자들은 신체적 활동성이 높은 집단임과 동시에 근육 부피가 향상됨으로써 신체적 효용 성을 민감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 한국 사회의 바디컨셔스 실루엣에 대한 집단의 전통적인 태도와 인식이 점진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주요한 패션테마로 나타났고, 이에 따 라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본 연구 참여자들은 현대 시대가 요구하는 몸 관리행동을 수행하고 있고 몸에 관한 의식이 민감한 집단으로서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에 관 한 욕구가 강한 집단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불어, 한국 남성의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활용에 관한 인터뷰를 분석함에 있어 각 아이템을 설명하는 진술에 나타난 어휘들을 종합적으 로 정리한 결과, 본 연구 참여자들은 패션을 통해 몸을 드러내는 것에 있어서도 몸을 평면적으로 가시화 하는 신체적 의미보다는 다양한 차원 의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였다. [표 5-5]에서 확인할 수 있 듯이 연구 참여자들은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이 전달할 수 있는 신체적 의미를 표현한 어휘보다 사회적 의미와 개인의 내적 의미를 내재한 어휘 표현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수용 선호 그룹의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표 현 주요 어휘를 정리한 내용은 아래 [표5-5]과 같다.

[표 5-5]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표현 주요 어휘 분석

상의 하의

슬림핏 상의 타이트 상의 슬림핏 하의 타이트 하의

건강한(3) 활동적인(5) 건강한(3)

편안한(3)

건강한(3) 편안한(2)

불편한(3)

답답한(2)

불편한(6)

답답한(2)

남성스러운(7)

고급스러운(3) 능력 있는(2)

남성스러운(8)

스포티한(2)

고급스러운(2) 유행하는(6)

여성스러운(2)

촌스러운(1)

촌스러운(3)

여성스러운(3)

힘들어 보이는(1)

세련된(11)

단정한(11)

멋있는(8) 매력 있는(6)

차분한(2)

자연스러운(2)

성숙한(1)

섹시한(5)

자유로운(4)

단순한(3) 탱탱한(3)

대담한(2)

세련된(8)

단정한(6)

차분한(4) 좋아하는(2)

자유로운(2)

무난한(2)

매끈한(1)

야한(1) 부담스러운(6)

어색한(1)

부담스러운(4)

뻣뻣한(2)

부담스러운(12)

싫어하는(3) 어색한(2)

야한(1)

경박한(1)

본 연구 참여자들에게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의 의미는 의복의 노출 방법, 기법에 따라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연구 대상자들 이 공통적으로 사용한 어휘들에는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이 몸의 외형적 실루엣을 드러냄으로서 ‘건강한’, ‘활동적인’, ‘강한’과 같이 신체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용어와 ‘능력 있는’, ‘남성스러운’과 같은 사회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용어, ‘멋있는’, ‘매력 있는’과 같이 개인의 내적 의미를 내 포한 용어 등을 활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실루엣의 정도 차에 따라 ‘불편 한’, ‘부담스러운’과 같이 신체적, 내적 불편함의 의미를 내포한 용어의 진술도 포함되어 있었다.

한국 남성의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발현은 신체적 의미 전달을 아예 배제하고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관리된 몸을 통해 ‘세련된’, ‘단정한’과 같은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는 욕구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몸을 드 러내는 실루엣을 통해 성적인 매력 어필과 같이 1차원적인 의미전달을 하고자 하는 욕구보다 의복의 실루엣 효과를 통해 관리가 잘 되어 있고 정돈된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패션 브랜드의 의복계획에 있어서도 의복의 디자인적 요소를 제한적으로 활용하고 실루엣에 있어서 는 다양한 체형 분석을 통해 사이즈 및 핏 정도의 구분이 더 세분화 되 어야 할 것이다.

신축성 소재로 몸을 드러내는 달라붙는 스키니 진이나 티셔츠와 같은 의복을 설명할 때는 보는 이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측면에서 비판적인 시 각을 보이기도 하였지만, 남성의 관리된 몸을 드러내고 자기 관리에 대 한 노력과 자기만족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기도 하는 양면적 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타이트 바디컨셔스 웨어를 설명함에 있 어 다수 발견된 ‘남성스러운’이라는 관점과 더불어 ‘섹시함’과 같은 어휘 도 더 이상 남성의 몸을 응시의 대상으로서 드러내는 것에 대해 부정적 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고 있었다.

한국 남성에게 있어 몸의 의미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바디컨 셔스 패션스타일에 대한 욕구가 높아진 만큼 패션업계에서도 이들의 수 요에 대응할 수 있는 의복 기획과 디자인 방향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