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현상학적 연구방법은 A. Giorgi, P. Colaizzi, A. van Kaam, C. Mustakas 를 비롯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어 왔다. 이들이 개발한 각각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는 절차적 공통점이 있다. 먼저, 자료 수집을 위해 연구 대상자와 면담을 진행하거나 기술문을 작성한다. 그리고 수집된 연

구 자료 분석과정을 거쳐 연구보고서를 작성한다는 점이다(Creswell, 2013). Giorgi의 연구방법은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을 자세하게 파악하는 데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경험에 따른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들의 주관적 경험에 초점을 두는 Giorgi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관점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다양 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분석 방법 중에서 Giorgi(1994)의 분석방법을 활 용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은 연구 자료에 대한 기술을 중 시하고, 기술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연구 대상자의 개별적인 삶 속에 서 경험의 의미와 본질 구조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둔다. Giorgi 현상학적 연구 방법은 연구 자료에 대한 기술을 중시하고 기술에 대한 심층 분석 을 통해 연구 대상자의 개별적인 삶 속에서 경험의 의미와 본질 구조를 밝히는데 초점을 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몸을 관리하는 남성들의 몸 관리행동의 동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몸에 대한 의식과 개인의 경험을 논 의하고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을 고려할 때 이 방법이 적합하다고 보았다.

Giorgi(1994)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 계는 연구 대상자가 진술한 전체 내용에 대한 총체적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한 전체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는 것이다. 이는 자료 속에 들어 있는 단어를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구 대상자가 경험한 상황의 흐 름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연구 자료가 1~2페이지 이내일 때는 한 번만 읽어도 충분하나, 15장 이상인 경우에는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읽어야 한다. 진술내용의 텍스트 를 읽음으로써 파악된 일반적인 인식은 다음 단계의 분석을 위한 토대의 역할을 한다.

두 번째 단계는 진술내용의 의미 단위를 구분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연구 대상자의 면담 내용을 정리한 기술문을 작성하고 이 안에 들어있는 의미 단위를 구분한다. 이를 위해 부분적 의미들로 구성되어 있는 기술 문의 전체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부분적 의미 단위를 구별 한다. 이 때

연구자가 기술문 전체를 한 번에 분석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분석가능 한 단위로 나누고 진행하는 것이 옳다. 연구자는 하나의 의미단위에서 새로운 의미단위로 이행하는 지점을 정확히 파악해야한다. 연구자가 동 일한 자료를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분석될 수 있기 때문에, 의미단위는 자료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 아닌 연구 자와의 관계에서 규정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와 같이 의미 단위 분석 에 있어 작위적 관점을 배제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는 현상에 초점을 맞 추어 ‘의미 단위’를 구분 짓겠다는 구제적인 목적을 가지고 의미 단위를 구분한다. 이렇게 분리된 의미 단위는 최종적인 것은 아니며, 문제가 있 을 경우 수정이 가능하다.

세 번째 단계는 앞서 의미 단위를 구분한 진술을 대표적인 학문적 용 어로 변형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들의 면담 내용은 개인이 실재로 활 용하는 어휘들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이 내용을 요약할 수 있는 학문 적 용어로의 변형이 필요하다. 이러한 변형은 진술들의 구체적인 표현을 철저하게 살펴봄으로써 일반적인 범주로 이루어지는데, 합의된 학문적 용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현상학적 관점에 의해 개발된 상식의 일상 언어를 활용하여도 된다.

네 번째 단계는 변형된 의미단위를 구조로 통합 하는 것이다. 연구자 는 진술문의 얽혀있는 의미에 따라 관련된 구성 요소들을 재편성하고, 실재 경험의 유형을 정확하게 설명해주도록 배열한다. 또한 변형된 의미 단위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개인이 경험한 사건의 심리학적인 구조를 일관 적인 기술로 통합한다. 통합과정은 일관적인 기술로 통합하기 위해 변형 된 모든 의미 단위가 고려되어야하는데, 변형된 의미 단위의 모든 의미 가 일관적인 기술 내용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이 외에 Giorgi는 연구자가 가져야할 현상학적 방법의 핵심을 세 가 지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본인의 경험에 대하여 괄호치기(bracketing) 를 해야 하며 둘째, 존재론적 단언을 유보해야 하며 셋째, 사자지지 않는 특성인 본질(essence)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기술할 때 에는 일관적인 언어를 사용해 경험의 지향적인 대상을 설명해야 한다.

제 2 절 질적 연구의 구성

본 절에서는 본 연구에서 선택한 연구 대상 및 인터뷰 문항의 구성, 연구 수집 및 분석 방법과 같은 본 연구의 구성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