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김정일 정권의 안정과 북·미관계의 두 가지 주요 변수가 모두 정치적 변수임을 고려할 때, 이러한 정치적 변수만으로 북한의 변화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큰 변화의 방향을 결정 하는 데 있어서는 대외, 대내 정치적 변수가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겠지 만 변화의 속도라든가 일정한 국면 속에서 전개될 수 있는 구체적인 상황에는 경제적, 사회문화적 변수가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두 가지 주요 변수 이외에도 워크숍에서 주요하게 거론되었던 다양한 변수들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네 가지 시나리 오 안에서 경제적 변수로 인한 다양한 시나리오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다. 각 시나리오별로 예상되는 변화에 관해 설명하는 부분에 있어서 도 정치적 변화 뿐만 아니라 경제적, 사회문화적 변화도 충분히 서술되 어야 보다 균형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워크숍의 한계는 북한 체제의 분야별 실태분석을 통해 부분적으로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시나리오 워크숍에서 논의된 북한체제의 안정성 평가와 별 도로 북한체제의 안정요인과 불안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워크숍 논의 내용을 보완하고자 한다. 본 내용은 북한내부 실태에 대한 분석을 바탕 으로 주로 체제내부 요인을 중심으로 북한의 안정요인과 불안정 요인을 평가하였다.

가. 안정 요인 (1) 폐쇄체제 유지

체제의 안정상태(stable state)는 물리학적으로 말하면 전체체계가

“부분들의 관계를 유지시키고, 쇠퇴해서 붕괴하지 않게 하기 위해 에너

지가 계속적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뜻한다.172하지만 체제안정은 체제 의 성격과 무관하게 일반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다. 즉, 체제와 환경과 의 관계 그리고 체제 자체의 변화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체제 안정상 태에 대한 정의를 단순히 내리기 어렵다. 따라서 체제 안정상태에 대한 평가는 일반적으로 개방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평형(平衡), 항상성(恒

常性), 정상상태(正常狀態) 등 세 가지 상태를 구분하여 논의한다.173

폐쇄체계에서 안정을 이루고 있는 경우, 평형(equilibrium)상태로 일 컫는다. 평형상태에서 체계는 환경과 거의 교류를 하지 않으며 고정된 구조를 유지한다.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를 방해하는 시련과 교란요인이 최소한으로 주어져야 한다. 외부환경과의 교류 및 체제의 구조적 변화가 없는 평형상태는 두 사람이 시소를 타고 있는 상태에 비유된다. 폐쇄체계를 전제로 하는 평형과 달리 항상성(homeostasis) 은 환경과 필요에 따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호작용을 하면서 동적(動 的)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항상성은 일정 수준의 개방체 계를 전제로 하지만 체계의 구조는 변화하지 않는다. 체제의 변화보다 일관성 유지에 비중을 두고 있는 항상성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긴장요인 이 최소한으로 주어져야 한다. 오토바이를 타고 달리는 운전자가 상황 에 따라 신체를 움직이며 균형을 유지하는 상황을 항상성 상태로 일컬

172 _ Ralph E. Anderson. Irl Carter, 장인협 외 공역,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체계

접근법을 중심으로󰡕 (서울: 집문당, 1994).

173 _ 최옥채 외 공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양서원, 2006), pp. 168~170.

을 수 있다. 한편, 정상상태(steady state)는 환경과 지속적으로 상호 작용하며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구조를 광범위하게 재구성하는 상태이 다.174 우리 몸의 세포나 살아있는 동물, 식물 등은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체제를 유지하고 구조를 성장시키는 정상상태 시스템이다. 정상상 태는 개방적이고 변화하며 안정을 유지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경제성장을 이루고 장기적인 안정을 보장받을 수 있는 시스템은 개방 상태에서 나타나는 정상상태 시스템 밖에 없다. 국제적으로 고립되어 폐쇄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북한체제는 안정상태 개념에 비추어 보면 비 정상(非正常)상태 시스템이다. 더욱이 탈냉전 이후 만성적인 경제위기 를 겪고 있는 북한은 외부의 경제지원으로 겨우 항상성을 유지하는 있는 불안정한 체제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주의가 계획경제의 근원 적인 결함으로 인해 정상적인 체제안정을 유지할 수 없다는 사실이 역사 적으로 증명된 현 시점에서 북한 지도층이 폐쇄체제를 고집하는 이유는 개방에 따른 불확실성 때문이다. 중국의 경우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함 으로서 경제성장과 체제안정을 동시에 달성하였다. 그러나 소련 및 동구 사회주의국가들은 개방정책을 실시하자 체제안정이 급속히 저하되어 공산정권이 붕괴되는 정치적 혼란을 경험하였다. 개방과 안정이 정비례 하여 발전하지 않는다는 것은 다음 J커브 곡선이 보여주고 있다.

브레머(Ian Bremmer)는 폐쇄적인 국가들이 개방정책을 추진하면서 직면하게 되는 정치적 리스크를 J커브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175 그는

174 _ steady state는 우리말로 안정상태로 번역되고도 있으나, 폐쇄체계의 안정상태와

구분하기 위해 여기서는 정상상태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준형, 󰡔시스템의 이해: 이론과 응용󰡕 (인천: 인하대학교 출판부, 2001), p. 219.

175 _ Ian Bremmer, The J Curve: A New Way to Understand Why Nations Rise

and Fall (New York: Simon & Schuster, 2006); 이언 브레머, 진영옥 옮김,

󰡔J 커브󰡕 (서울: 베리타스북스, 2007).

북한·쿠바·이라크 등 권위주의적이고 폐쇄적인 국가를 J 커브의 왼편에 위치시키고, 이란·사우디아라비아·러시아를 불안정으로 진행하는 국가, 남아프리카·유고슬라비아를 J커브의 최저점에 위치한 국가, 터키·이스 라엘·인도를 J커브의 오른편에 위치한 국가로 지적한다. 북한은 이중에 서도 가장 왼쪽 끝에 위치한 국가로 평가하고 있다. J커브 왼쪽에 위치 하는 국가들의 안정성은 정치지도자 개인에 의존하는 반면, J커브 오른 쪽에 위치하는 국가들의 안정성은 제도화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176

<그림 Ⅴ-2> J 커브

개 방 성

J커브 안정성 향상

출처: Ian Bremmer, The J Curve: A New Way to Understand Why Nations Rise and Fall (New York: Simon & Schuster, 2006), p. 21.

J커브에 비추어 보면 폐쇄체계의 평형 또는 항상성 상태에서 안정을 유지하고 있는 국가들이 개방체계의 정상상태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 해서는 불안정한 과도기를 필히 겪어야 한다. 사실 소련과 동구권의

176 _ 이언 브레머, 󰡔J 커브󰡕, pp. 12~13.

체제전환 사례는 개혁·개방을 실시하면 체제 불안정이 급격히 증가하 여 붕괴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폐쇄체제 속에서 안정을 유지하는데 익숙한 독재자들은 개방체계로 전환하는데 수반되는 정치 적 리스크를 감내하기 보다는 J커브의 왼쪽 곡선을 타고 올라가는 것 만이 정치·경제적 안정을 회복하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하는 타성에 젖 어있다.177 브레먼은 독재자들이 사회통제를 강화하며 폐쇄체제를 지 속하려는 이러한 타성은 좀처럼 깨뜨리기 쉽지 않다고 주장한다. 이러 한 논리에 비추어 보면, 북한정권도 체제 안정성을 항상성(恒常性) 상 태에서 유지하기 위해 개방의 속도와 범위를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2) 문화체계에 대한 믿음

만성적인 경제위기를 겪으며 사회적 일탈이 증대하고 있는 북한에서 아직까지 근본적인 체제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는데 파슨 스의 사이버네틱 위계 이론이 도움이 된다.178 파슨스는 행위체계가 거 시적인 차원에서 유기체, 인성(퍼스넬리티)체계, 사회체계, 문화체계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행위유기체 (behavioral organism)는 유기체가 물리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전시킨 생태학적 행동유형, 인성체계는 개인의 욕구성향이 사회화 과 정을 통해 형성된 정체성, 사회체계는 다수의 사람들 사이의 상호 의존 성, 문화체계는 이념·가치·신념과 기타 광범위한 상징적 유형 등과 관

177 _ 위의 책, pp. 22~28.

178 _ Talcott Parsons,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 (New York: McGraw, 1937);

조나단 터너, 정태환 외 공역, 󰡔현대 사회학 이론󰡕 (서울: 나남출판, 2002), pp. 61~

76.

련된 체계를 의미한다.179 네 가지 행위체계는 각기 적응(Adaptation), 목표달성(Goal-attainment), 통합(Integration), 잠재성(Latency)/유 형유지(pattern maintenance)라는 기능(AGLI)을 수행한다.

<표 Ⅴ-2> 통제의 사이버네틱 위계

ۻъۺşɠ ॱڦߕć ߕćսܵ˞ÂۆԜ঒ěć 잠재성(L) 문화체계

정보적 (사회억압적) 통제

에너지 조건

(경제 파탄) 통합(I) 사회체계

목표달성(G) 인성체계 적응(A) 유기체

출처: Talcott Parsons, Societies: Evolutionary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66), p. 28.

파슨스는 인공두뇌적 위계체계(cybernetic hierarchy) 원리를 이용 하여 행위체계 유형에 대해 기능적인 중요도에 따른 위계질서를 부여하 였다.180 인공두뇌적 위계질서 논리에 의하면, 위계질서 정점에는 고도 의 정보를 지닌 통제행위가 있고 밑바닥에는 원동력을 지닌 조건행위가 있다. 위계상의 각 하위체계는 바로 위의 체계에서의 행위에 필요한 에 너지 조건(energic conditions)를 제공한다. 파슨스는 문화체계를 가장 중시하는 한편, 물리적 환경과 관련된 유기체를 낮은 단계로 간주하는 정보적 통제의 서열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문화체계는 사회체계를, 사 회체계는 인성체계, 인성체계는 유기체를 각기 정보적으로 규제한다.

이러한 논리에 의하면, 이념에 의해 사회화된 주민들의 인성체계가 바

179 _ 田野崎 昭夫 編, 송정부 역 󰡔파스슨의 사회이론󰡕 (서울: 재동문화사, 1985), pp.

133~135.

180 _ J.H. 터너. 김진균 외 옮김, 󰡔사회학 이론의 구조󰡕 (서울: 한길사, 1989), pp. 5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