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태평양 유역의 중남미 국가들에 대한 해양정보는 사실 완벽하지도 않을뿐더러 일관적 이지도 않다. 특히 연구 방법론이나 혹은 개별 국가들 간의 동일한 이슈라 할지라도 어떤 경우 에는 수치화나 비교를 하는 것이 쉽지 않다. 게다가 아직은 잘 정비되어 있지 않은 공공기관들 의 해양관련 공식문서에 접근하는 것도 한계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남미 지역의 해양연구에서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개별 국가들 혹은 지역 공동체 수준의 해양정 책들과 이들 국가들의 어업 및 양식업 관련 발전 정책들 그리고 오늘날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 고 있는 해양환경과 해양개발에 대한 지속가능한 발전 논의들은 이 지역의 해양을 좀 더 폭넓 게 이해하고 상호 발전 방향과 협력 선호도를 찾는 데에 상당히 중요한 작업이다.
요컨대, 중남미 해양편람을 통해 가장 명확하게 이해한 사항은 중남미 국가들이 기존의 해양 개발 중심에서 벗어나 이미 노출되기 시작한 다양한 해양 문제들을 인식하고 점차 예방하거나 혹은 환경과 연계해 복원하려는 정책 접근 방식들을 시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해양과학 과 기술발전이 개별 국가들의 경제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근본적으로 중남미지역 해양과 관련된 삶을 영위하는 모든 해양공동체들의 삶의 방식을 새롭게 연결하고 소통하는 수 단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주목한다. 기술향상을 촉진하기 위해서 지역의 국가들은 미래 해양 인재들을 위한 양질의 교육과 전문가 육성에 많은 투자를 할 준비가 되어 있다. 기술 및 혁신
은 경제발전을 유지하고 해양 관련 교육시스템 및 인프라개선을 제공하기 때문에 해양과학과 해양기술의 발전은 이 지역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위와 같은 중남미 지역의 해양 분야 정책 결정자들의 인식 전환은 물론 해양발전을 위한 지 역의 수요를 반영해 미래 한-중남미 국제해양협력 및 해양과학협력을 수행해야하는 미래 해 양과학자들이 이 지역을 대상으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생태계 관리 방식을 고려한 협력 이슈 개발은 중요하다. 해양 서식지 및 해양생태계의 파괴 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의 삶, 경제적 수준에 따른 중요한 사회적시스템, 예를 들어, 해양 도시, 해양과 밀접한 접근성을 보이는 농촌지역, 어업생산 활동, 해양인프라 등의 이슈들 에서 환경적 혹은 지속가능한 생태계 관리는 핵심 요소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개별 국가 들 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어업 생산량 증가에 목적을 두어 어업정책 혹은 해양연구의 관심 을 특수한 어종 연구들(예를 들어, 페루의 안쵸베타)에 두기보다는 해양생태계를 전체적으로 고려하는 생태적 관리 혹은 접근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수산자원이 자연환경과 또 는 어업활동이 자연, 사회, 경제적 환경과 어떻게 관련되어 상호 작용하는 지에 대한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오늘날 해양 과학적인 증거는 인류가 해양생태계 및 환경을 점차 악화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대안으로 제시된 해양보호구역은 비록 완벽한 해양환경 악화를 막는 수단은 아니지만 해양서식지 보호와 해양생물다양성 보호 그리고 인류의 복지를 위한 중요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중남미 해양보호구역에 관한 생태학적,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대한 미래 해양연구는 해양보존에 대한 목표가 얼마나 충족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 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해양생물 구성요소를 다루는 연구뿐만 아니라 사회적⋅경제적 요소를 모두 다루는 연구가 필요하다. CPPS나 OSPESCAS의 지원으로 중남미 해양공동체들은 개발과 보존이라는 지속가 능한 해양발전을 위해 기초적으로 필요한 다양한 해양정보 수집은 물론 더 많은 협력 메커니 즘을 발전시킬 수 있다. 특히 개별 국가 차원에서 감당하기 힘든 남동태평양 엘니뇨에 대한 대응 혹은 적응 전략 마련을 위해서는 이 지역 해양공동체들의 사회(주택, 보건, 교육), 인프라
(물과 위생, 에너지와 전기, 교통 및 통신, 도시 인프라), 경제(농업, 가축 및 수산, 산업, 무역
및 관광) 및 해당 부문과 하위 부문들에서 수많은 정보의 공유나 혹은 엘니뇨의 영향으로 인한 경제사회적 연구는 새로운 대응정책을 만들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이다. 특히 연구의 학문적 탄력성 고려는 더욱 절실하다.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엘니뇨와 라니냐의 영향에 대한 취약성과 해양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관련해 여전히 여타 학문 영역인 생물학적, 사회적, 기술 적, 문화적 변수에 대한 체계적인 비교는 아직 시기상조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예를 들어 해양편람 연구대상 국가들 중 칠레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해안생태계 중의 하나인 홍수림의 이의 생태계 복원 또는 에코 재활은
필요하고 시급하다. 실효성 있는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수자원과 산림 간의 관계 연구를 강화해 기존과 유사한 생태 조건 혹은 자연상태에 가까운 생태계 복원을 포함하는 작 업은 수행되어야 한다.
중남미 해양발전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상기했듯이 해양 혹은 어업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제들이 중남미 개별 국가의 정치사회 내에서 혹은 정책결정자들을 통해 우선적인 정 책선호도로 자리매김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이 지역에서 새로운 해양협력 현안으로 부상하 고 있는 공동 해양문제 해결 메커니즘, 예를 들어 기후변화 대응, 해양쓰레기, 해양산성화 공동 해결네트워크, 측정기술 발전과 정보공유에 집중하고 있는 지역차원의 중요한 국제해양협력 공동체(CPPS)와 개별국가 간 혹은 글로벌차원의 국제해양기구들과 이러한 지역을 대표하는 지역해양기구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은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이러한 일련의 흐름 속에서 한국 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기회는 더욱 풍성해지고 넓혀질 수 있다. 기본적으로 ‘한국-CPPS-페 루’를 연결하는 삼각협력 모델 사업 구상을 해보는 전략도 협력의 다각화 혹은 다양화 전략에 서 기대할만 하다.
참고문헌
본 중남미 해양편람의 1차 기초자료들은 대부분 Nikita Gaibor & Julián Reyna(2009), “Análisis de las Políticas e Investigaciones del Mar en Latinoamérica(Policy Analysis and Marine Research in Latin America)”, University of Rhode Island/Instituto Nacional de Pesca-Ecuador and Comisión Permanente del Pacífico Sur(CPPS) and KIOST(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연구자료(스페인어 버전)를 번역 인용해 활용하였다.
해양관측 해양과학기술 발전과 관련된 자료들은 2013년 3월 브라질의 리오 데 자네이로에서 개 최된 “The Future Of Operational Oceanography & The Present Status of Sustained Ocean Observations and Services in Caribbean and the Latin America Countries(그룹 III)” 국제 포럼 내용들 중에 중남미 대상 개별국가 내용들을 번역하거나 인용하였다.
관련 중남미 해양정책과 제도는 다양한 자료원을 통해 편람 형식으로 업그레이드해 작성되었다.
중남미 해양편람 대상국가 지역정보(경제 및 정세)는 한국수출입은행 『2016년 세계국가 편람』을 인용하여 업그레이드했다.
남미 태평양 지역 “해양환경보전과 해양쓰레기 문제 및 국제협력”은 UNEP의 지원을 받아 PERMANENT COMMISSION FOR THE SOUTH PACIFIC(CPPS 2007)에 의해 작성된 “MARINE LITTER IN THE SOUTHEAST PACIFIC REGION : A REVIEW OF THE PROBLEM”의 자료를 활용 하여 연구되었다.
소중한 1차 데이터와 자료를 제공해 준 기관들과 네트워크 그리고 중남미 해양과학연구자들에
게 감사를 전한다.
아래는 Nikita Gaibor & Julián Reyna(2015), “Análisis de las Políticas e Investigaciones del Mar en Latinoamérica(Policy Analysis and Marine Research in Latin America)”, University of Rhode Island/Instituto Nacional de Pesca-Ecuador and Comisión Permanente del Pacífico Sur(CPPS) and
KIOST(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인용한 1차 참고문헌 정보 업데이트이다.
Acero, R. y J. Tarazona. (1995). Informe Nacional de Perú. Presentado en la Reunión de expertos para el establecimiento de una Red Regional de Áreas Costeras y Marinas Protegidas en el Pacífico Sudeste. Panamá, 26-28 de Junio, 1995.
Acosta, T.H. y Dadon, J.R. (2008). Gestión de los espacios protegidos del litoral marítimo argentino.
Resúmenes III Congreso Nacional de Conservación de la Biodiversidad, Buenos Aires. 57 pp.
Acuerdo No.9 de octubre 2 de 2003, del INCODER, por el cual se establecen los requisitos y procedimientos para el otorgamiento de los permisos y patentes relacionados con el ejercicio de la actividad pesquera y acuícola) (2003).
Acuicultura en Centro América. (2014). http://www.centralamericadata.com/es/search?q1=content_es_l e:%22Acuicultura%22
Allen Robin. (2000). La Comisión Inter-Americana del Atún Tropical. Comisión Permanente del Pacifico Sur (CIAT).
Alvarado Barrientos, J. J., Fernández-García, C. y Nielsen-Muñoz, V. (2006). Arrecifes y comunidades coralinas. 51-67. En Nielsen –Muñoz, V. y Quesada –Alpízar, M. A. (Eds).
Ambientes Marino Costeros de Costa Rica. Comisión Interdisciplinaria Marino Costera de la Zona Económica Exclusiva de Costa Rica. Consrevación Internacional : San José, Costa Rica.
219pp.
América Central. http://es.wikipedia.org/wiki/Am%C3%A9rica_Central. Consulta realizada el 11 de noviembre, 2014.
ANDES (Agencia Publica de Noticias de Ecuador y Sudamérica). (2012). Miércoles, 31/10/2012 http://www.andes.info.ec/es/actualidad/8319.html
Asamblea Nacional de la República de Ecuador (2007). Artículo 4. Constitución República del Ecuador.
Asamblea Nacional de la República de Ecuador (2012). Proyecto Ley Orgánica de Pesca, Manglar, Acuacultura y Recolección. Artículo 55.
Asamblea Nacional de la República de Nicaragua. (2004). Ley de Pesca y Acuicultura. Ley No. 489, Aprobado el 26 de Noviembre del 2004. Publicado en La Gaceta No. 251 del 27 de Diciembre del 2004.
Barragán, J.M.; Dadon J.R.; Matteucci, S.D.; Morillo, J.H.; Baxendale, C. y Rodríguez, A. (2003).
“Preliminary Basis for an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for the Coastal Zone of Argentina”. Coastal Management, 31(1) : 55-77.
Barreto, Carlos., Gustavo A. Polo, & Beatriz Mancilla (2001). Análisis Biológico Pesquero y Económico de la Fauna Acompañante en la Pesquería de Arrastre Industrial Colombiana : Contribución Biológica y Económica para la Investigación y el Desarrollo en Recursos Pesqueros Colombianos y Estimación del Impacto de la Fauna Incidental en la Pesca de Arrastre del Camarón. En FAO (2001). Tropical shrimp fisheries and their impact on living resources : Latin America, Colombia.
Blackburn, M. 1966. Biological oceanography of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 summary of existing information. U.S. Fish and Wild. Serv. Special Scient. Report Fish No.540.
Bodero, A., & D. Robadue. (1995). Strategies for Managing Mangrove Ecosystems. In Eight Years in Ecuador : The Road to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Edited and translated by Donald Robadue Jr. Coastal Resources Center. University of Rhode Island : 41-69 p. Boschi, E.
1997. Las pesquerías de crustáceos decápodos en el litoral de la República Argentina. Invest.
Mar., Valparaíso, 25 : 19-40.
Bravo, J. y Ocampo, L. (1993). Mapa de humedales de Costa Rica. Escala 1:750 000. Universidad
Nacional.
Briceño-Berrú, José Enrique. (2012). Análisis de la Declaración de Santiago de 1952 y de la Convención de Lima de 1954. Agenda Internacional Año XIX, N° 30, 2012, pp.139-170 ISSN 1027-6750.
Bussing W., 1965. Familias de peces marinos costarricenses y de aguas contiguas. Publicado por Universidad de Costa Rica, Serie Ciencias Naturales volumen 6.San José, Costa Rica. 26 pp.
Bussing W & M López, 1993. Peces demersales y pelágicos costeros del Pacífico de Centro América Meridional. Publicación especial de la Revista Biología Tropical. San José, Costa Rica.
Cadena, Walter René & Camilo Andrés Devia. (2012). Conflictos de delimitación marítima y la Convemar.
Una mirada desde Colombia. Revista Prolegómenos-Derechos y Valores-pp.199-223, 2012-
IIBogotá, D.C. Colombia-Volumen XV-No.30-Julio-Diciembre 2012-ISSN 0121-182X CAF. 2000. Las lecciones aprendidas de El Niño : Memorias del fenómeno El Niño 1997-1998. Retos
y propuestas para la región andina. Vol. IV : Ecuador. ISBN 980-340-174-2.
Canales,C. y L. Ramorino.1991. Ponencia de Chile. Presentado en la Reunión de Expertos para el Establecimiento de una Red Regional de Áreas Costeras y Marinas Protegidas en el Pacífico Sud-este. Panamá, Abril, 1991.
Cantera-Kintz, J.R. (1993). Oceanografía. En : Leyva, P. (ed.). Colombia : Pacífico, Tomo I (pp.1-
23). Fondo para la Protección del Medio Ambiente FEN-Colombia. Santa Fe de Bogotá D.C., Colombia. 396p.
CCI. (2008). Informe final de 2007. Corporación Colombia Internacional. Bogotá D.C., Colombia.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 (2011). «Coastline» (HTML) (en inglés). www.cia.gov. Consultado el 3 de marzo de 2015.
Centroamérica. www.rae.es. Consultado el 8 de enero de 2015.
CEPAL (2004), Página electrónica de la Unidad de Transporte de la División de Recursos Naturales e Infraestructura, (www.eclac.cl/transporte).
CDB-Convenio Diversidad Biológica (1995). El Mandato de Yakarta. Decisión II/10 : Conservación y Utilización Sostenible de la Diversidad Biológica Marina y Costera.
Collier, W. L. (1978). Development problems and conflicts in the coastal zone of Sumatra : Swamps are For People.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n Resource Use and Management in the Coastal Zones of the Asian Humid Tropics, Bangkok : December 18-21, 1978.
CMCM. (1989). Lista borrador de Áreas Protegidas Marinas y Costeras en países del Sud-Este del Pacífico (Colombia, Chile, Ecuador, Panamá y Perú). Documento presentado por el Centro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