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관측 및 연구 관련 콜롬비아보고서(Capt. Julian Reyna Moreno)에 의하면25) 콜롬비아는 해양 연구 관련 광범위한 인프라, 플랫폼, 장비 및 실험실을 사용하고 있는 해양청(DIMAR)에
24) Colciencias로부터의 출처: http://www.colciencias.gov.co/programas_estrategias 참고(2016. 4월 6일 방문).
25) The Future of Operational Oceanography & the Present Status of Sustained Ocean Observations and Services in Caribbean and Latin American Countries(Group III; March 2013 Rio de Janeiro, Brazil 국제해양포럼 자료집), pp. 71-78 인용됨.
의해 국가에서 개발된 일반적인 방법으로 주요한 해양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는 해양 및 수로와 관련한 연구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해양환경, 연안환경 관리와 태평양 및 카리브 해 의 기타 해양과학을 보호하는 카리브 해 수로 담당 해양연구센터(CIOH)와 태평양 수로 담당 해양연구센터(CCCP)가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들로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기관들은 다른 연구 단체들과 함께 업무를 진행하며, 환경과 해양 모니터링 네트워크 에 참여하는 콜롬비아 과학기술 국가시스템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그들은 지역 및 국제기구에 해양연구, 탐사 및 개발과 관련하여 전문적인 해양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노력들은 세계 해양관측 시스템(GOOS), 카리브 해를 위한 IOCARIBEGOOS, 태평양을 위한 GRASP 동맹과 같은 다른 지역 연합 및 국제 해양 프로그램 기구와 제휴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해양청 (DIMAR)은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콜롬비아 태평양과 카리브 해안에 속하는 콜롬비아 관할권 내의 표본 설비(sampling grids)를 제안하기 위하여, 대학들과 초청 기관들을 포함한 해양청의 다른 연구 단체들과 함께 해양 및 수로 선박 안에 매년 크루즈를 운행하고 있다.
가. 해양관측 및 지역 서비스의 역사적 배경
콜롬비아 해양청(DIMAR)은 콜롬비아 해양기관으로서 그 역할을 준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6년에 해양 매개 변수 및 기상 측량 시스템(SMPOMM)을 설립하였다. 이 시스템은 바다에
서의 인간 생명 보호와 국가의 해양과학 연구를 이끌어나가기 위해 설립되었고, 일부 한계점을 지니고는 있지만 계속해서 발전해 나가며 운영 중에 있다.
1975년 카리브 해 수로 및 해양연구센터(CIOH)가 전면에 등장하면서 다양한 지역기구 및 국제기구가 참여하게 되었고 콜롬비아 해양 지식과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한 지역 및 국제기구들의 예로, 미국 해군해양사무소(NAVOCEANO), 남동태평양위원회(CPPS), 미국해 양대기관리처(NOAA), 정부 부처간 해양위원회(COI), 국제수로기구(OHI), 마이애미 대학교, 하 버드 대학교, 콜롬비아 기상청(IDEAM), 태평양 오염관리센터, 그리고 최근에는 태평양 수로 및 해양연구센터(CCCP) 등과 협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지역 대학들도 참여하고 있다: Jorge Tadeo Lozano 대학교, 국립대 학교, “Almirante Padilla” 해군사관학교, Javeriana 대학교, Valle 대학교, Los Andes 대학교,
Santander 산업대학교 등이다.
콜롬비아 태평양 분지에 대한 연구(스페인어로 COPC라 한다)는 많은 단계의 연구를 거쳐 왔다. 콜롬비아 태평양 분지에 대한 연구(COPC)의 일환으로 수행된 첫 번째 연구 중 하나는
1941년 ASKOY 탐사였다. 분지 순환 패턴을 기술하기 위한 이 첫 번째 시도는 예를 들면 탐사
를 하는 동안 수행된, 콜롬비아 해류라고 명명된 것의 발견과 같은 것이었다(Wooster, 1959).
이 탐사는 1963년부터 1965년까지 이루어진 일명 “콜롬비아 엘니뇨 참치 증대 해양학(The
Augmented Colombian El Niño Tuna Oceanography; ACENTO)”으로 알려진 탐사의 일환이었다.
그리고 그 결과, 그 지역의 가장 중요한 일자리 중 두 가지가 창출되었다. 이 탐사는 아메리카 대륙 간 열대참치위원회(Comisión Interamericana del Atún Tropical; CIAT)와 콜롬비아 정부가 후원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국제 엘니뇨 프로젝트의 일부였으며 파나마부터 칠레 북쪽까지 남아메리카 서쪽 연안의 해역을 연구하는 것이 목표였다. 첫 번째 연구는 1965년부터 1966년까지 네 개의 크루즈에서 수행되었는데, 파나마 Bigth의 해양 상태를 기후변화 과정의 공간적, 시간적 변화 를 포함하여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설명하였다(Bennett, 1965, Forsbergh, 1969). 두 번 째 연구에서는 ACENTO의 4개의 크루즈로부터 지형 역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파나마의 분지 순환에 초점을 맞추었다(Stevenson, 1970).
해양청은 콜롬비아 태평양 분지인 콜롬비아 태평양 연안 지역과 섬 지역(Gorgona와 Mapelo 섬)에서 태평양 수로 및 해양연구센터(CCCP)를 중개로 하여 해양 기상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기록하기 위한 목적으로 1970년부터 매년 해양 크루즈를 운영하고 있다. 모든 크루즈는 태평 양 수로 및 해양연구센터(CCCP)의 과학 연구자들과 Valle대학교, Cauca대학교, 해양연안조사 연구소(INVEMAR) 등과 같은 대학교 혹은 연구소 직원들에 의해서 운영된다. 그리고 콜롬비 아 태평양에 대한 여러 학문 분야에 걸친 연구를 위해 서로 협력하며 일하고 있다.
남동쪽 태평양에서의 엘니뇨현상 재발이 중요한 사회경제적 효과를 가져 옴으로서 결과적
으로 1974년에는 남동태평양위원회(CPPS)로 구성된 국가들이 엘니뇨현상에 대한 지역 연구
(스페인어로는 ERFEN)를 실행하게 되었다. 이는 회원국에 소속된 연구 기관들의 참여, 그리고
남동태평양위원회(CPPS)의 조정 및 다른 국제기구의 지원을 통해 이루어졌다. 1980-90년대 에 이르는 기간 동안 지역의 모든 구성원들은 남동태평양위원회(CPPS)의 엘니뇨현상에 대한 지역 연구(ERFEN)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남동쪽 태평양 바다에 대한 지식 기여로서 많은 해양 크루즈를 운행하였다.
1994년 12월, 국제연합기구(UN)는 1998년을 국제 해양의 해로 승인하였다. 남동태평양위원
회(CPPS)는 이 국제적인 해를 축하하기 위한 회원국들의 기여를 통해 1998년 5월에 남동쪽 태평양 합동 지역 크루즈 운영을 편성하였다. 이 크루즈는 그 해가 되기 전까지는 남동쪽 태평 양 탐사에서는 볼 수 없었던 동시적인 가장 큰 탐사였고, 그것은 1997년-1998년 사이 엘니뇨 현상이 감소 단계에 있던 점을 참작하며 환경적이면서 개괄적인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해주 었다. 이 탐사는 1999년 5월에 두 번째 지역 크루즈와 함께 다시 한 번 수행되었는데, 4개국의 다섯 대의 해양 선박과 함께 에콰도르의 갈라파고스까지 도달하는 가장 큰 영역을 포함시키는 탐사였다. 1999년부터 현재까지 남동태평양위원회의 회원국들은 매년 그룹으로 지역 크루즈를 운영해오고 있다. 이들은 남동부 태평양의 기상 조건을 기록하기 위하여 서로 해양정보를 공유 하고 있다.
나. 지역 해양관측 시스템의 일반 정보
1) 주요 해양기관과 진행 중인 연구들
현재 해양청은 바다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장비들을 가지고 있다:
a. 파랑계(Wave Meter) 방향 부표(Directional Buoys)
이러한 부표들은 최대 파고, 유의 파고, 평균 파고와 파향, 우세한 파랑 주기, 평균 주기와 바다 표면 온도 등을 모니터링 한다. 그 정보들은 국제 해사 위성기구(Inmarst)의 위성 장치에 의해 매 시간마다 전송된다. 콜롬비아는 카리브 해에 4개 태평양에 4개씩 총 8개의 지역에 위 성을 소유하고 있다. 그 지역들은 다음과 같다:
• Solano만 서쪽
• Buenaventura 남서쪽
• Gorgona 북서쪽
• Tumaco 북서쪽
• Urabá만
• Bocas de Ceniza
• Cabo de la Vela-Bolívar 항구
• Providencia섬 동쪽
b. 자동 위성 기상 관측소(Automatic Satellite Meteorological Stations-스페인어로는 EMAS라고 한다)와 해수면 관측소
이들 관측소들은 공기 온도, 상대 습도, 대기압, 침전, 해수면, 바람의 속도와 방향을 모니터 링 한다. 그리고 위성을 통해 매 10분-15분마다 GOES를 통해 모니터링한 정보를 전송한다.
콜롬비아의 경우 6개를 소유하고 있는데(카리브 해에 3개, 태평양에 3개) 그것들은 다음의 지 역들에 있다:
• Buenaventura
• Malpelo섬
• Tumaco
• Santa Marta
• San Andrés
• Cartagena
c. 물리적 매개 변수를 모니터링하는 해안 관측소
콜롬비아 태평양과 카리브 해에는 해양청이 소유한 해양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엘니뇨와 같이 콜롬비아 해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큰 규모의 해양 및 기상 현상이 일어나기 전에 조기 예방 방법을 생성하는 해안시스템이 있다. 해일, 태풍 등의 경우에는 파도 높이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1999년부터 해안 관측소의 모니터링은 Tumaco만에서 근접한 곳에서 표면 70미 터 아래까지 측정한다. 측정은 격주로 이루어지고 물기둥에서 온도와 염분 데이터뿐만 아니라 화학적 샘플을 1, 10, 20, 30미터 부근에서 각각 수집한다. 이 모니터링은 네 개의 해안 관측소 로 연장되어 Buenaventura만에서 표면 500미터 아래까지 온도와 염분 데이터를 수집한다.
<표 Ⅳ-1> 콜롬비아 해양기상 측정
해양 매개 변수 및 해양 기상 측정 시스템 (스페인어 : SMPOMM)
서비스 위 치 결과물 시각화
파도 지향성 부표
카리브 해 4개, 태평양 4개
시스템에 의해 측정되는 실시간 데이터 무료 웹페이지에 제공
http://www.cioh.org.co/meteorol ogia/ObMaritimasIndex.php 자동 위성
기상관측소
카리브 해 3개, 태평양 3개
시스템에 의해 측정되는 실시간 데이터 무료 웹페이지에 제공
http://www.cioh.org.co/meteorol ogia/ObCosteras1.php 해수면 측정
관측소
카리브 해 3개,
태평양 3개 수집된 측정치 분석 – 웹 서비스는 아직 제공되지 않음
해양 및 기상 예측 시스템 (SPOA)
서비스 측정 지표(resolution) 결과물 시각화
파도 예측
지역: 0,109°-120시간까지 매 시간마다
지역: 0.009°-120시간까지 매 30분
분석 및 권고-웹페이지에서 무료
http://www.cioh.org.co/meteorol ogia/PreCaAltamar.php http://www.cioh.org.co/meteorol
ogia/CaribWan.php
http://www.cioh.org.co/meteorol ogia/PreCaMaritima.php
강수 예측
지역: 6km-120시간까지
매 시간마다
지역: 1km-120시간까지
매 시간마다
분석 및 권고-웹페이지에서 무료 http://www.cioh.org.co/meteorol ogia/wrf.php
바람 속도 및 방향 예측
지역: 6km-120시간까지
매 시간마다
지역: 1km-120시간까지
매 시간마다
분석 및 권고-웹페이지에서 무료
http://www.cioh.org.co/meteorol ogia/wrf.php?t=vypds http://www.cioh.org.co/meteorol
ogia/vientos.php 해수면 예측 120시간까지 매 시간마다
주요 항구에 높은 해수면과 낮은 해수면에 대한 정보 제공-웹페이 지에서 무료
http://www.cioh.org.co/meteorol ogia/mareas.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