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양인프라 : 항만시설

Dalam dokumen 2016중남미 해양 편람 (Halaman 84-89)

<표 Ⅰ-2> 칠레의 항만인프라 및 해양운송 체계

2016년 현재 칠레 전체 항구의 개수는 36개로 이 중에 11개는 국가 운영(공공, 법령 No. 19,542), 나머지 25개는 허가제를 통해 운영되는 사적 항구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석유 및 천연가스

를 에너지로 보유 및 생산하지 못하는 칠레의 경우 유조선 혹은 천연가스 액화선박을 통한 해상 운송 시스템은 상당히 중요하다.

Ⅱ. 해양거버넌스 및 해양관련 주요 기관

세계 10위권의 수산대국으로서 칠레는 연어 양식부분에서는 노르웨이와 경쟁하는 유일한

국가로 성장하였으며, 1990년부터 세계 어획량의 4.0 ~ 8.5%를 점유하고 있고 어획량의 90%

이상은 멸치, 고등어, 정어리, 삼치 등이다. 통, 트롤 어선 등에 의한 어획 활동이 주가 되고, 줄, 어망, 덫 등의 전통적 방식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칠레는 어업 규제 정책을 강화해 수산자원 고갈에 대비하여 어종별 어획시기가 어획가능크 기를 규제하고 있으며 산업형 어업활동을 위해서는 희망자 신분이 칠레인 또는 칠레에 거주하 는 외국인이어야 하며, 환경영향평가 및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여 허가를 결정하고 있다. 점차 양식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1984 ~ 2004년까지 연평균 42%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양 식업 지원을 위해 다양한 투자 인센티브 제공, 해외시장 확대위한 자유무역정책 강화, 기술개 발, 제품 수입규제 폐지 등 과감한 육성정책을 시행해 오고 있으며 연어를 비롯한 송어, 어패 류, 기타 해조류까지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2006년 기준 연어 및 송어류 비중이 전체의 80%

차지할 정도로 단일 어종에 대한 집중도가 높다는 특징을 보인다. 양식업 등록국에 등록된 양 식장은 2013년 기준으로 총 3,521곳이며, 운영하고 있는 양식장은 2,329곳에 달할 정도로 발전 해 있으며 해수면 양식이 주로 이루어지지만 내수면 양식도 점차 발전 추세에 있다. 수산가공 품 중에서 어류가공품이 2006년 기준으로 전체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93%는 칠레 연근해 산이고 나머지는 공해산이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품목은 어분 및 냉동제품으로 약 67%를 차지하고 있다.

1. 해양관련 정부기관

1) 국가수산청 : SERNAPESCA

농림수산식품 교육문화정보원의 2014년 조사에 의하면, 현재 칠레에는 33곳의 어장이 존재 하나 이 중 5곳은 해양과학 지식 부족으로 정보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이며, 8만 명의 어민들이 여전히 전통 어업방식을 이용해 어업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칠레 수산청(Sernapesca; Servicio Nacional de Pesca)은 전통방식의 칠레 어업의 현대화와 같 은 제도적 개선을 통해 생산품의 부가가치를 증가시키고 수산업 분야 체계적인 과학 지식을 지닌 연구기관으로 거듭나고 있는데 수산청은 이를 리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전통

방식으로 어업을 하는 어부들과 영세 중소기업들을 위한 어업행위 구역 설정, 그리고 이들의 연금 및 노동위생 같은 사회적 제도를 개선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38)

<그림 Ⅱ-1> SERNAPESCA 홈페이지

출처: https://www.sernapesca.cl

<그림 Ⅱ-2> 칠레 SERNAPESCA 조직도

출처: https://www.sernapesca.cl/transparencia/organizacion_201407.png

38) EPIS World Trade & Policy Research, 2014년 칠레 농업 현황, 이상훈, 해외조사 2014-10(2014.7.23.) https://www.

epis.or.kr/attachment/download.do;jsessionid=CA6727F6D293FF8C382F9D37665ACC23?forceDown=true&seq=19759

<표 Ⅱ-1> 칠레 수산업 분야 행정시스템

관할 수준 관할 기관 기관의 역할과 기능

국 가 경제부

국 가 어업청(subsecretary) (입법역할)

수산업과 양식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개발과 규범의 적용을 통해 경제사회적 이익을 현재 및 미래 세대에 게 부여하는 역할 수행. 5존(zone) 수산업위원회를 관할함

국 가 국가어업위원회

국가어업위원회는 아래와 같은 수산업 관련된 국내 기관 이해 당사자들의 참여로 구성:

- 어업청장

- 칠레 해군 기상청장(DIRECTEMAT)*

- 수산업진흥연구소(IFOP) 상임이사

- 국가수산부 장관

- 상원의 3/5 제정에 의해 대통령에 의해 지명된 7인의 대표 4개의 매크로 존(zone)을 대표하는 기업의 대표, 1인의 소규 모 선주 대표, 1인의 각 조직들에 의해 지명된 양식업 대표, 노조에 의해 지명된 기업노조 부문 대표, 4개의 매크로 존 (zone)을 대표하는 전통 소규모 어업 부문 대표 등이 참여

존(zone, 1개 이상의 지역 혹은 광역 존)

5개 지역 어업위원회(I존 & II존 (이끼께, Iquique); II존 & IV존(코 낌보, Coquimbo); V존에서 IX존 (탈까우아노, Talcahuano); X존 &

XI존(푸에르토 몬트, Puerto Montt); XII존(푼타 아레나스,

Punta Arenas)

존(zone) 수준에서 어업과 양식업 분야 이해 당사자들의 참 여를 독려하여 탈중앙화 방식으로 어업 활동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역할 수행을 위해 설립되었음. 자문역할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존(zone) 수준에서 어업규범 발전 역할을 수 행 중임

국 가 국가수산청

(Sernapesca; 행정역할)

- 어업양식업, 위생 그리고 환경규범에 대한 통제와 규제기 구이며 수생물학적 자원보호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활동들의 국제협약을 준수하는 역할과 기능을 수행

- 전통 어업, 선박의 등록 역할을 수행하며 13개의 지역 어업 위원회를 관할하며 전통영세어업 발전 기금의 집행 기관임

국 가 전통 영세어업 발전 기금(FFPA)

- 전통영세어업기금의 역할은 칠레 영세어업 당사자들의 일상적인 삶과 노동조건 개선 그리고 영세어업의 지속가 능한 발전을 증진시키는 것임

- 영세어업 인프라 발전, 영세어업자와 이들 그룹들을 대상 으로 한 어업 능력 배양과 기술원조, 영세어업자와 영세 어업 경작자들에 의해 수출되는 수생물 자원의 증식, 세어업 상품의 상업화와 상품 센터의 관리 운영 지원 등 의 역할을 수행함

- 지역 수준에서 다음과 같은 구성원들의 참여로 기능함:

수산업진흥연구소 상임이사, 축항(harbour works)국장, 국가기획협력부 대표, 어업청 대표, 영세어업 부문을 대 표하는 3인의 대표(특히 매크로 존 어업 지역) 존/지방/공동체 5개의 존 어업조직 기능은 위의 국가수산청과 동일하나 단지 존(zone) 수준에

서 활동과 임무 진행.

관할 수준 관할 기관 기관의 역할과 기능

지 역 13개의 지역 어업사무소 13개의 지역 어업사무소는 위의 국가수산청과 동일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regional) 수준에서 활동과 임무 수행

지방 그리고 공동체 어업 사무소

기능은 위의 국가수산청과 동일하나 단지 지방(Province) 혹은 공동체(Communal) 수준에서 활동과 임무 진행

지 역 (지역 어업위원회)

칠레 어업법은 지역 행정구를 인정하며 지역어업위원회를 두 어 어업 및 양식업 활동에 대한 다양한 활동을 이행하게 함.

지역 어업 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 문제들을 관찰하여 해결 책을 제시하거나 기술적인 보고서를 제출함. 구성은 의장으로 국가수산청의 지역 국장, 4개의 연구소 대표(대학이나 어업 활동 관련 연구소), 수산 기업 부문 대표, 노동 부문에서 4명의 대표(2명은 반드시 영세어업 부문에서 참여)

지 역 지역회의위원회:지역회의를 위한 어업위원회

지역회의위원회(CAR)는 지역회의어업위원회(CAR-Pesca) 로 다양한 영역에서 기금을 분배하는 역할을 함. 지역 관할구 산하에 있는 CAR들은 예를 들어 CAR-Pesca는 투자기금(e.g.

CORFO)운영과 분배와 관련된 국가수산청으로부터, 그리고

모든 부문의 조직으로부터 대표성을 가지며, 투자 상담 역할을 하기도 함.

다른 국가 기관

CORFO, Sercotec, Fosis, DOP(항구 업무), Conicyt 그리고 다양한 국제 기금들

다양한 기구(기관)들이 칠레 어업 활동 및 어업발전을 위한 기금과 금융 협조로 참여 중

출처: Gloria Gallardo Fernandés(2008), in http://journals.sfu.ca/coactionbks/index.php/Gallardo/article/viewArticle/

36/12139)

칠레의 해양거버넌스 시스템은 여타 다른 남미 이웃 국가들과 비교해서 가장 체계적으로 잘 조직되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방의 해양 이슈 혹은 수산 관련 종사자의 의견이 중앙이나 정책결정 과정에 많이 반영되는 특징을 가지고 네트워크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해 당 사자들 간의 유기적 조합(corporatism; 예를 들어 정부-기업-어민) 형태가 잘 발전하여 수산 개발, 양식업 발전 특히 해양수산 관련 국제협력시에 상호 정책 결정 과정 참여도가 높은 거버 넌스 시스템을 발전시켜 왔다.

39) ‘멸종의 바다에서 신뢰의 바다로(From Seascapes of extinction to seascapes of confidence)’ :부제:칠레 어업에서 영토 사용에 대한 권리(El Quisco(발파라이소) and Puerto(코낌보 지역) Oscuro), 글로리아 가야르도 페르난데스 (Gloria Gallardo Fernandés)의 저서는 오늘날 칠레의 지속가능한 해양발전(해양생태)에 대한 다양한 현안들을 잘 다루고 있다. 특히 해양보전 지역에 대한 칠레 사례 분석은 물론 어업의 문제들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관찰 해 내고 있다.

* 칠레 해군 기상청장(DIRECTEMAT에 대한 최신 정보는 아래 홈페이지 참고 할 것.

출처: http://meteoarmada.directemar.cl/prontus_meteo/site/edic/base/port/inicio.html#

* 칠레 해군 기상정보 서비스

<그림 Ⅱ-3> 칠레 국가수산청 관할 행정범위 및 규제 구조

출처: Gloria Gallardo Fernandés(2008), p.11.

Dalam dokumen 2016중남미 해양 편람 (Halaman 8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