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國家와 宗敎의 關係에 관한 硏究 - S-Space - 서울대학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國家와 宗敎의 關係에 관한 硏究 - S-Space - 서울대학교"

Copied!
298
0
0

Teks penuh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 기준은 이미 대한민국 헌법 및 법률 체계에 내재해 있다. 이 문장은 헌법상 정교분리원칙과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에 있어서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문제의 제기

민국에서 정교분리와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은 그 의미와 대상이 해명되어야 하는 영 역이며, 그를 통해 종교의 자유 등 관계 기본권의 보장영역과 한계도 보다 분명히 드 러나게 된다. 이러한 국가들에서의 헌법학, 사회철학, 정 치철학의 문헌들과 논의들에서 이 문제는 (신학적, 철학적, 역사학적 의미가 아니라 규범학적 의미에서의) ‘세속주의’(secularism, Säkularismus) ‘세속성’(secularity, Säkularität), ‘세속국가’(secular state, säkulares Staat(-swesen)) 라든가 또는 ‘국가의 중립 성’(neutrality of state, Neutralität des Staates),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religious neutrality of state, religiöse Neutralität des Staates), ‘라이시떼’(laicity/laicism, Laizismus, laïcité , 프 랑스에서 연원한 엄격한 분리 방식의 세속주의, 비종교성) 등으로 다양하게 지칭되고 있다.

연구의 목적 및 배경

대한민국에서 단지 ‘정교분리’ 문제라고 부르는 것에 대하여 외국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는 것 은 아니다. 가장 포괄적인 제시방법으로는 ‘국가와 종교(state and religion, Staat und Religion)’가 있으나 이 또한 ‘국가와 교회(즉 종교단체)’, ‘정치와 종교’ ‘정치와 교회. 즉 종교단체)’ 등등으로 다양한 뉘앙스의 변종적 표현을 수반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

정교분리’라는 용어의 통상적 용법은 두 집단으로서의 ‘국가’와 ‘종교’의 분리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명제를 밝혀낸 후 이어서 대한민국 헌법상의 국가와 종교의 관계에서의 중 립성의 의의를 구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배경

나아가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 개념에 대해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제2장 헌법 원칙으로서의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

독일 정교관계의 역사적 형성

이 결정적인 속성으로 자리잡게 된다. 시적으로 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석을 필요로 하는 개념이다.

종교개혁 이후 양대 교회의 긴장과 평화

그 결과 독일은 중세 이래의 제국교회체제가 해체되고 지역별 국가교회제도가 수립되었으며, 이 제도는 제국 내에서 종파별 팽팽 한 긴장관계의 지리적 영토적 경계선이 최종 확정되는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에 의 해 완전히 자리를 잡게 된다. 이때에 국가가 교회재산을 환속하는 과정에서 그 재산이 부담하던 책임도 동시에 인수한다는 법리에 따라 국가가 교회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는 의무를 지게 된 다.19) 이로써 교회에 대한 국가의 재정지원 의무가 생겨났고, 이것은 독일국가교회법 의 독특한 특징이 되었다.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의 영향

바이마르헌법 제137조 제1항은 국가교회의 존재를 부정한다. 이러한 바이마르헌법의 국가와 교회의 관계를 규정한 조항 등은 제2차 세계대전 후.

종교적 중립성의 독일사적 의미

을 국내와 국외에서 기대할 수 있었던 기독교만이 새로운 국가의 출발에 암묵적이고 가치적인 국민적 구심점의 요소로 삼을 수 있었던 것이다.26) 이는 국가의 중립성 원 칙이 종교를 공적 영역에서 밀어내는 것이 아닌 단지 종교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 한 타협의 수단으로 생겨난 개념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있는 것이다.29) 이러한 의미에서 전반적으로 볼 때, 독일은 배제적 중립성 중시형의 국가라기보다는 포함적 중립성 중시형의 국가로, 경성 세속주의 유형의 국가라기보다 는 연성 세속주의 유형의 국가로 분류할 수가 있는 것이다.

프랑스 정교관계의 역사적 형성

  • 대혁명과 정교관계
  • 대혁명후기의 정교관계
  • 드레퓌스 사건과 정교관계
  • 종교적 중립성의 프랑스사적 의미

이러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프랑스 대혁명 앞에 이르기까지 프랑스는 가톨릭 문 화가 다른 이웃들보다도 더 뚜렷한 국가였다.32) 이후 종교전쟁과 과거 식민지 인구 유입 등의 여러 역사적 변화를 거쳐 현재 프랑스의 종교는 “여섯 개의 거대한 종교. 와 정교협약(Concordat)을 협상하고 맺으며 종교의 평화를 복구시켰다.. Article)들로 보충된다.

미국 정교관계의 역사적 형성

미국 정교관계의 시원적 기초

그러나 Massachusetts 지역의 청교도들과 달리 Rhode Island 州를 세 운 재침례파(Anabaptits), 퀘이커(Quakers) 교도들은 청교도들과 신앙과 실천을 달리하 고 있었고, 헌법을 기초한 사상가들은 대부분 Locke와 같은 이신론자들(理神論者, 自 然神論者, deists)이었다. 그들은 Locke의「관용에 관한 서한」45)에 있는 “No man can, if he would, conform his faith to the dictates of another.”을 미합중국 헌법의 수정헌법 제1조(The first amendment)에 새겨 놓았다. 이러한 맥락에 의거해 그의 정교분리 사상 이 구체적으로 미국의 헌법정신으로 채택되었던 것이고, 그래서 미국사회, 특히 학교 에서 그 원칙이 적용되게 되었다.

미국 사상가들과 정교분리

방해받으면 진리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46) 그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Jefferson은 특히 교회의 전제를 정치적 독재보다 더 경계하였다. 메사추세츠주의 Elbridge Gerry 선생이 말하기를, 그것 은 “법에 의하여 어떤 종교적 교리(doctrine)도 입법되지 않는다”라고 하면 더 이해 되기 쉽다고 했다.

종교적 중립성의 미국사적 의미

현재까지 본래 서구국가에서 발전되어온 정교관계의 규범으로서 국가의 종교적 중 립성을 역사적으로 개괄적으로 고찰해보았다. 이하에서는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을 이론적으로 심도있게 고찰과 분석한 뒤, 그 후에 독일, 프랑스, 미국의 세 나라는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에 대해 어떤 공통적인 이해가 있는지, 그리고 세부적인 면은 어떻게 달라지는 지 알아보도록 한다.

이러한 의 미에서 전반적으로 볼 때, 미국은 포함적 중립성 중시형의 국가라기보다는 배제적 중 립성 중시형의 국가로 분류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독일, 프랑스, 미국의 세 나라는 국가가 종교로부터 분리되는 데에 있어서는 그 흐름의 공통성을 갖고 있었지만, 세부적인 면 은 다르게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의의

다만 근래에는 그에 반해 포함적 중립성을 중시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 견해들도 점점 세력을 얻고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점은 본고의 제4장에서 보게 될 것이다. 국가의 중립성은 전 절에서 본 바와 같이 현상적으로도 국가의 역사적 배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드러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론적으로도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는 개념이다.

헌법상의 표현

예컨대 이러한 점을 미리 간파한 미국 연방대법원에서는 일 찍이, 토머스 제퍼슨 및 제임스 메디슨 이후 자주 활용된 ‘분리(의 벽)’이라는 표현을 대체하여 근래에는 “중립성”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판례법리와 학계의 논의를 매우 정교하게 발전시켜왔던 것이었고,59) 프랑스의 학계·입법, 사법기관은 laïcité를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 그 자체이거나 중립성을 내포하는 것으로 보면서60) 약 백년에 걸친 논 의를 진전시켜왔던 것이다.61). 그렇다면, ‘중립성(中立性, neutrality of state, Neutralität des Staates)’ 개념은 어떠한 가, 어떤 이유에서 ‘분리’ 개념보다 법리 발달에 유리한가, 그리고 ‘중립성’ 개념과.

분리 개념과 중립성 개념의 관계

분리’ 개념은 서로 어떤 관련성을 지니지는 않는가라는 질문이 나오게 된다. 이러한 세부명제들에 대한 보다 자세한 고찰은 아래의 중립성 개념에 대한 기원과 이론적 분석 항목을 볼 때 함께 행해질 것이다.

중립성과 배타적/포함적 범주

립의 두 함의에 대해서 논하였다.67) 미국에서는 대표적으로 그리너월트(Greenawalt)가. 이란 다음과 같다.. ⅰ) 국민들과 공무원들은 자신들이 가장 믿을 수 있고 분명하다고 여기는 이해의 근거들이라면 무엇에든 의지할 수 있다는 것.

중립성과 국가간/국가내 범주

모두가 중립성을 주장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현대 국가에서 사법부가 과거보다 더욱 권력을 뚜렷이 갖게 되 면서 더 확연히 관찰되게 된다.73) 이는 특히 위헌법률심사권의 등장과 확립에 관련될 것이다.

중립성과 개인/공동체 범주

자유주의 국가와 중립성

그러나 중립칙의 체계적 설명은 60년대까지에도 잘 제시되지 않았고 J. Rawls와 그 외의 학자들이 자유주의 이론의 기반으로서 중립칙을 재언급하고 재평가한 1970-80년 대 이후에야 잘 제시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80) 특정한 적용상황에서의 중립성 판단은 널리 수용되었던 반면, 보편적 적용을 염두에 둔 자유주의적 중립성의 개념은 공동체주의와 완전주의의 비판적 반응을 대하게 되기도 하였다. Rawls, Political Liberalism (New York: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Expanded Edition (New York:Columbia Unive rsity Press, 2005) ; Bruce Ackerman, Social Justice in a Liberal State (New Haven and Londo n : Yale University Press, 1980) ; Ronald Dworkin, A Matter of Principle (Cambridge, Massac husetts and London :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 Charles Larmore, Patterns of Moral Co mplexity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에서 볼 때 논란은 지난 십여 년쯤 전에 진정되었다.81).

이성과 신앙의 인식론적 차이

자유와 소유를 해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였다. 자연법은 신이 인간행동의 법으로 주 신 천부권이라는 것이다.

세속언어와 종교언어의 차이

그 이유는 그 법은 서로의 안전을 위해서 신이 준 선물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Locke의 인식론에 이어, 후대의 자유주의자들 또한 구체적 인 인식론적 설명은 다소 상이한 점이 있지만, 위와 유사한 결론으로서 여하간 애초 에 이성과 신앙은 구분된다는 견해는 공통적으로 가지게 된다.

공적 영역에서의 논증과 종교적 논증의 차이

근대 입헌민주주의 국가라는 의사결정체제는 공적 이성. 그리고 이러한 정치적 공동체에서, 그리고 특히 근 래에 들어 다원주의화가 된 공동체에서 정치적 영역에서의 합의는 가능한 것인가라는 문제에 답하기 위해 이러한 공동체에서도 모든 시민들이 공유할 수 있는 이성으로서 의 공적 이성의 개념은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하겠다.84).

공적 이성과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

다만 이러한 승화 가능성에 대해서, 즉 종교적 논증도 공적 이성에 의한 논증을 다시 거칠 경우 공적 결정의 기반으로 승화될 수 있는가라는 점은 좀 더 깊은 논의를 요한다. 성되는 종교적 문화, 정치적 문화는 유기적 조성으로 형성되어야 할 영역이다.

중립성에 대한 담론

이하에서는 중립칙이 파생적인 원칙이라는 사실을 당연시할 것이다. 그들의 ‘선의 개념(conception of the good)’에 대한 (논쟁의 여지가 있는) 가치판단을 근거로 국민들을 차별하는 국가행위는 부당하게 비중립적이다.

자유주의적 견해에서의 중립성

정의론」에서는 중립성은 먼저 차별금지. non-discrimination)임을 논한다.93) 정의의 원칙은 다목적인 ‘사회적 기본재’의 분배를. 공유된 이유로서의 중립성은 국 가가 시민들에게, 그리고 시민들에 대해서 말하는 방법에 적용된다.101).

반론들

적어도 Rawls는 이렇게 되기를 희망한다.100) 이렇게 되면 자유주의는 포괄적인 교리들과 경쟁하지 않는다. 합 리적인 시민들이라면 의견의 불일치를 볼 기본적 신념과 삶의 방식을 서로 비교하는 가치 판단에 근거해서 차별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한다. ii) 두 번째 기준은 공유된 이유로서의 중립성이다.

중립성에 대한 재옹호

요컨대 비판자들은, 자유주의자들은 그들의 이론이 다수의 ‘종파적(sectarian) 교리 들’ 간의 갈등에서 자신만은 공정한 결정권자라고 스스로를 옹호해서는 안 되고, 오 히려 자신이 진리라고 주장하는 논란이 많은 관점 중 하나라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결론적으로 지적하는 것이다.106) 만일 그렇다면, ‘정당성 원칙’과 공유된 근거로서의 중립성은 둘 다 폐기되거나 수정되어야 한다는 결론인 것이다. 그밖에도 중립성 비판이라는 측면에서 그 취지를 같이 하는 여러 학자들이 있다.112) 그리고 롤스적 자유주의자로 알려진 그리너월트도 이에 만약 중립성 개념들이 실질적 으로 유용해야 한다면, 그것들은 (단순히 진공을 배경으로 한 개념이 아니라) 어떤 일 련의 “배경 신념들(background beliefs)”로 채워지기도 한다는 것 또한 사실이라고 인정 하는 입장이다.113).

법적 성격과 유형

아니면 각 국가의 문화 등에 따라 조금씩 변형되어 운영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것은 국가의 중립성의 양면성과 각각 어떤 관계를 맺는가.

정교분리 내지 세속주의의 법적 성격

국민은 국가와 종교가 분리 된 것을 전제로 하여 종교의 자유를 향유하기 때문에 정교분리원칙에 어긋나는 국가 또는 종교단체의 행위에 대하여 정교분리를 전제로 하는 자유나 권리가 침해되었음을 주장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 종교단체, 개인이 정교분리원칙에 위반하는 행위를 한 것이 정교분리를 전제로 하는 개인의 권리나 자유를 직접 침해한 경우에는 정교분리 원칙의 위반을 이유로 국가 또는 종교단체 또는 개인에 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청구 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정교분리 내지 세속주의의 국가별 유형

정교 분리의 원칙은 구체적으로, 종교의 정치 개입 제한도 그 내용으로 포함한다는 견해가 있으나 이 문제는 별도로 후술한다. 정교분리와 헌법에서의 세속주의 (1) 정교분리 관련 용어와 용법.

정교분리와 헌법에서의 세속주의

Zucca에 따르면, 철학적인 의미에서의 세속주의는 보통 “종교와 국가의 관계에 대. 헌법에서의 세속주의의 이론적 요소 1.

헌법에서의 세속주의의 이론적 요소

그리고 본질적 이유 중 하나로서 이론적으로 고찰해 볼 때에는 바로 Rawls가 발전 시킨 개념인 공적 이성(public reason)의 작동을 정치적 공동체 내에서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결론적으로 헌정 국가에서의 정교분리란 바로 이런 시민성의 침훼를 방지하기 위한 것에 다름 아니다.

세속주의의 요소에 대한 기존의 견해들

이러한 의미에서, ‘교회와 국가의 분리’는 ‘비세속적인 단체(body)는 세속적 인 권력 을 행사 하지 못하며, 심지어 주권자의 결단으로도(not even by the grace of the . sovereign) 그렇게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속적인 기관은 비세속적인 단체에 대해서도 교회로서의(ecclesiastical) 권력을 행사할 수 없다(교회의 자율성 또는 비간섭의 원리)는 것이다.127).

세속주의의 여섯 가지 요소

평등권은 중립성에 조정과 변경을 (Moderation und Modification) 가하기 때문이다.130). 정치적 중립성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보장된다.”고 정하고 있는데 이 포섭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가 국내에서도 끊임없이 논의되어 왔다.

국가행위의 기준으로서의 세속주의의 요소

예를 들어 행정 기관의 경우 공무원들이 지켜야 할 훈령이나 행정규칙의 형태로 종교차별금지와 정 교분리원칙을 구체화한 지침을 만드는 것이 대표적이라 하겠다. 논점 : * 1국가 내에서도 양 중립성이 사안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가능한지 여부 및 그 선택의 기준이 무엇인지가 문제됨.

세속주의의 영역별 적용과 그 기준

사법기관의 행위의 경우에 이어, 입법기관의 입법행위와 행정기관의 행정행위에 대해 살펴보면, 중립성은 위와 같은 행위 및 유권해석의 기준이 되기도 하지만, 또한 그에 의거해서 그 기관들이 스스로 하위의 지침을 만들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 세속주의의 要素 및 그 모델론과 중립성의 양면성을 함께 고려 하여 체계론적으로 구명한 바는 다음과 같은 표로 압축 구성해 제시해 볼 수 있다.

행동영역 기준

표현의 침투 여부 정치적 표현, 종교적 표현. 내심의 단계” - 행위자 자신이 포괄적 교리 또는 정치적 관념을 내심으로만 보유하는 단계.

종합적 기준

사회에서의정치적 표현, 종교적 표현. 준국가영역에서의 정치적 표현, 종교 적 표현.

독일의 국교부인과 중립성

法源으로서의 헌법과 그 원리

특히 종교 적으로 지역이 분리된 독일 내에서는 베스트팔렌 평화조약이래 구축된 평화와 화해질 서라는 이런 사태의 기초(fundamentum in re)가 있었기 때문에 비로소 이런 다른 나라 들에서 현실화시킨 것처럼 정교분리적 내지 국교불설립적이라는, 이론적으로 국가를 생각하는 선택이 가능했다고 하는 것이 독일 학계의 일반적인 서술로 보인다. 국가와 교회 사이의 분리와 비의존성은 기본법적으로 국가와 교회의 기관적인 개입의 불허라 는 진중하고 직접적인 법적 처리라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설명된다144). 국가는 헌법을 통해 양쪽의 관련성이 있는 영역에 있어서 교회와 협력하는 문제를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헌 법의 다양한 지점에서 명시적으로 권한을 내려놓는다.145).

미국의 국교부인과 중립성

개관

그러나 그러한 서비스들의 제공을 부정하는 일은 종교의 자유로운 행사를 훼손하는 일이 될 수 있다. 군종을 운영하는 것이 그러한 것에 해당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국교부인조항의 구체적 적용

국가의 행위가 ‘종교의 지지’에 이르는가?”라는 점에 대한 심사기준이다. 다만 Lemon 심사기준은 4번째 요소를 추가함으로서 이전 보다 좀 더 포함적 중립성의 측면도 가지게 되었다고 보여진다.

프랑스의 국교부인과 중립성

헌법적 근거

이는 주지하는 바대로 세계인권 선언에도 보장될 정도이고 거의 모든 근대입헌국가 헌법에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독일 기본법의 평등권조항, 프랑스 인권선언에서의 평등, 미국 헌법에서의 법 앞의 평 등 및, 우리헌법 제11조의 평등권 조항에서 이러한 원칙을 도출하는 명문의 헌법적 근처를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정치-종교 관계 및 중립성에 대한 각 국가의 헌법적 근거와 그 이해

이 원칙은 인종, 종교, 성별 등 개인이 가진 속성이나 가 치관에 따른 차별을 하지 않는다는 내용이기도 하다.

독일의 경우

이는 국가의 입장에서 보면 국가가 특정한 종교적 내용과 동일화되는 것을 헌법상 금지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분류는 국 가는 종교에 대하여 어느 정도 중립성 의무를 수행해야 하는가의 문제에 대한 고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프랑스의 경우

결국 프랑스에서의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은 현재는 “자유주의적” 라이시떼 개념과. 공화주의적” 라이시떼 개념간의 대립 속에서, 전자는 포함적 중립성의 모습으로, 후.

미국의 경우

엄격분리를 주장하는 견해(이하 엄격분리설 strict sepration)은 정부와 종교는 최대한 으로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하 수용설)는 사회에서의 종교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정부도 이를 수용할 것.

본 장의 결론

이 장에서는 공적 영역에 집중하여, 여러 맥락에서 국가의 중립성(state neutrality)에 관한 문제를 탐구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주에서는 종교수업이 필수과목으 로215) 운영되고 있다.

학교기도시간

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주에서는 종교수업이 필수과목으 로215) 운영되고 있다.

독일

그러나 2005년 연 방행정재판소가 이슬람 종교단체 연합기구를 종교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종교단체라고 인정함으로써 이슬람 종교수업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217). 만약 학생들이 비 자발적인 기도 참여나, 기도가 끝난 후에 교실에 들어갈 것을 강요받는다면, 종교의 자유에 있어 학생의 기본적인 권리는 침해될 것이다.”라고 판시하였다.

미국

Burger 대법관은 이 판결이 “종교에 대해 중립성이 아닌 혐오를 드러낸다”고 주장하였다. Rehnquist 대법원장은 반대의견에서 “James Madison은 수정헌법 제1조를 종교와 비 종교 사이에서 정부의 역할에 대해 중립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지 않았다”고 서술하 였다.

프랑스

나아가 또한 길거리에서도 기 도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프랑스의 라이시떼 내지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의 전모를 파악하는 매우 중요한 현재적 상황이므로 이후의 학교에서의 상징의 문제 및 공적 영역에서의 기도를 다룰 때 각각 언급하도록 한다.

종교적 상징

자신들의 중립성에 대한 이해를 구하면서 이 세 명의 반대의견의 재판관들은 교실 에 십자가를 전시하는 것에 대하여 이것이 “주의 세계관적, 종교적 중립성의 의무를 해치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검토하고 이러한 판결은 그 입법기관의 표명들에 순응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내용의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종교적인 의상

프랑스

에서 볼 때 논란은 지난 십여 년쯤 전에 진정되었다.81). 강제적 방법으로 사람 들의 삶을 보다 나아지게 만들려는 노력이 왜 도덕적으로 허용할 수 없는 것인지를 설명할 때 중립성의 원칙을 그 근거로 하는 것이다.

독일

정부는 마땅히 종교와 비종교 사이에서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최소한의 지적조차 표현하지 않았 다”245)고 하였다. 따라서 종교와 국가의 관계를 고려하여 학교에서의 머릿 수건 착용금지는 입법자가 결정하는 형태로 종교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이 다.325).

미국

그 후 1991년 EEOC v. READS, Inc. 사건에서 펜실베이니아 주 의상법은 다시 문제 가 되었다.354) READS Inc.(Remedial Educational and Diagnostic Services Inc.)는 필라델 피아 교육區(Philadelphia School District)와의 계약 하에 비(非)공립 학교 학생들에게 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기업이었으며, 이 사안은 공교육이라기보다 사교육 제공과 관련이 있었다. ARIN Intermediate Unit 28 재판에서의 결정에서 사교육 제공 자에 대한 또 다른 의복 규정은 서부 펜실베이니아 연방지방법원(The US District Court for the Western District of Pennsylvania)에 의해 헌법불합치 판정을 받았다.356).

소결

그러나 약 일주일당 삼일 정도로 그녀의 상의 안에 넣거나 하지 않고 그녀가 십자가를 계속 착용한 것에 관련된 사안이었다. 동 법원의 판결에서는 펜실베이니아 의복법이 수정헌법 제1조의 자유로운 행사 조항(Free Exercise Clause)을 위반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지는 않았지만, 그 법이 더 이상 수정헌법 제1조의 검열 을 통과하지 못할 것이라고 시사했다. 다시 말해서 위 판결은 현재까지의 법적 결정 들에 기초하여 볼 때, 위 펜실베이니아 의복법이 국교설립금지조항 위반여부에 대한 강화된 검토와 승인 조건을 통과할 가능성은 적다고 보았다.357).

독일과 프랑스의 비교

반면 독일에 서는 ‘중립성’이 국가 통합 과정에서의 국가 정체성이라는 것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 것은 아니다. 자유주의 헌정국가의 요청에 따라 (종교적) 중립성을 엄격히 해석하는 것을 추구하는 판결을 내더라도, 결국 정치영역에서는 그것을 뒤엎는 입법적 조치들을 추구하는 주 목할 만한 경향이 현재까지 보였다.

독일, 프랑스에 대비한 미국의 특징

엄격분리를 주장하는 입장의 요지는 정부와 종교는 최대한으로 분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연방대법관들 중에서 이 입장을 지지하는 이들은, 미국시민들이 매우 종교적인 경 향이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서설 : 종교적 전시와 공적 장소의 문제

반대로 독일에서는 아직 크리스마스 장식 게시가 종교에 관한 국가중립성 문제로 이슈화될 만한 사안이 아니지만, 학문적으로는 그러한 문제의식이 제기되고 있다.390) 지방자치단체가 크리스마스에 트리 설치와 점등을 해도 되는지 여부는 여러 헌법 조 항에서 밝히고 있는 국가중립성에 위배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가 스스로의 종교적 상징을 갖는가, 혹은 일부 집단의 이익을 대변하는 종교적 메시 지를 국가 차원에서 수용하는가의 여부도 국가중립성에 관한 흥미로운 문제다.392) 이 상황은 공공부문에서의 사적인 종교 메시지 표출과는 반드시 분리되어야 하며, 그렇 게 함으로써 개인의 종교적 자유 문제로부터 보호된다.

사법기관 내부의 종교적 상징

다음 사례들은 그러한 상황에 서 국가중립성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보여준다. 비슷한 문맥에서 독일과 미국의 법 원은 공적으로 종교적 메시지를 표출하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왔다.

독일 - 법정내 십자가 판결(연방헌법재판소)

종교 사이의 국가의 중립성’ 원칙이다.396) Souter 대법관은 배심원들을 위해 중립성 원칙을 자세히 설명했다. 덧붙여, 역사적 증거를 탄핵하려는 주장에 반대하면서, 다수의견은 “헌법제정자들이 종교 승인 성명의 중립성을 포함한 종교 문제에서의 국가의 중립성을 요구할 것을 의 도했다는 것을 지지하는 증거 또한 있다”고 주장하였다.

입법기관에서의 기도와 종교적 상징들

그리고 다수의견은 “중립성 원칙은 단지 종교조항의 수용을 자극하는 주된 관심 중 하나에 응답하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 다만, 여기에 관련된 Rehnquist 대법원장과 Thomas 대법관의 반대에 동의한 Scalia 대법관은 중립성의 역할 문제를 제기했다.407) 그의 관점에서 “어떤 것도 사회의 신에 대한 믿음의 정부 확인이 법원 스스로 그렇다고 말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위헌이라 는 법원의 주장에 맞설 수 없다.”.

독일 - 의회내 십자가 판결(헤센주행정법원)

위 판결 중 Stevens 의 반대의견에서는, “이 중립성 원칙에 대한 보다 넓은 이해를 인정하는 것이 우리의 사례의 경우가 된다”는 점이 언급되었다. 대법관은 Ginsburg, Stevens 대법관의 반대의견에 동의하면서, “수정 제1조의 종교에 관한 규정이 종교에 대한 정부의 완전한 중립까지를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 더라도, 국교부인조항은 중립성을 일반적 기준으로 요구하고 있다”며 중립성 원칙을 옹호했다.

프랑스 - 공공장소에서 얼굴을 가리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2011년 법)을 중심으로

그 전의 태도와는 유사하면서 또 다른 어조로, 사르코지(Nicolas Sarkozy) 대통령이 2009년 6월 프랑스 내에서 종교적인 얼굴 베일은 “환영받지 못한다”고 발언한 직후, 프랑스 국회는 이 이슈에 대한 첫 질문을 하기 시작했다.435) 사르코지는 이 법이 얼 굴을 가리도록 강요받는 것에서부터 여성들을 보호하고 프랑스의 세속적인 가치들을 지지하기 위함”이라고 주장해왔다. Malaysian 이슬람 정당의 리더인 Nasharudin Mat Isa는 그 금지 법안이 세계의 이슬람 교도들을 화나게 했다고 말했지 만 그는 이것이 그 어떤 테러 행위를 촉진하지 않기를 원한다고 말하였다.. 448) 프랑스 헌법위원회(Conseil constitutionnel)의 결정.

공적 공간에서의 종교적 상징에 대한 논의

지금까지 본 것처럼 세 나라의 사법기관은 그들의 판결에서 국가의 중립성이라는 용어를 현저히 사용했 다. 추가로, 대비되는 점을 찾아보자면, 미국의 상황에서 일부 대법관들은 중립성은 “거 리를 좁힐 것(less distance)”로 이해하고 있는 점도 있는 반면, 독일의 상황에서는 대 체로 법원이 말하는 중립성은 “보다 멀어질 것(more distance)”을 의미한다는 것이었 다.

독일, 프랑스, 미국에서의 중립성 평가

교친화적(pro-religious) 중립성을 연장하여, 같은 위치에 있는 가톨릭 수녀들의 베일 착용이 허용되는 것처럼 공립학교에서 이슬람교도 교사들이 머릿수건을 착용하는 것 을 일반적으로 허용하는 것이었다. 정체성에 기반을 둔 독일의 국가정체성을 침식하게 될 것이 당연했다.452) 두 번째 선 택항은 프랑스식의 보다 엄격한 중립성에 기우는 방법이다.

향후 전망

이런 질문 을 던져본다면 이 글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답하고자 한다. 오늘날, 특히 유럽에서는 고전적인 민족-국가가 후퇴하는 만큼, 이러한 강한 보편주의 사조는 특정한 사람들에 의해 국가가 “소유된다”는 추정을 근 본적 전제로 하는 다문화주의적 대안이거나, 상황을 지나치게 단순화시켜 오히려 그 효용성이 흠결되는 정교“분리” 개념의 발달이라기보다는, 역사적으로는 자유주의적 토대를 갖고 있고 현재도 발전하고 있는 중립성 개념의 발달이 무엇보다도 유용하였 고 앞으로도 필요하다는 것을 뚜렷이 보여주는 징표라고 할 것이다.

본 장의 결론

은 국가가 중립적일 수 없어서라기보다는 국가의 중립성의 두 측면 중 어떤 점을 중 심으로 이해하는가에 대한 차이에 다름이 아니라고 할 것이다. 국의 현행 관련법령과 판례를 평가하고 유형화할 수 있음)의 증명이 필요하고, 이 증 명은 곧 대한민국 헌법 제20조 제2항의 의미를 구명한다는 기초적 목표 및 그와 관련 된 세부 목표의 달성과 직결된다. 국교가(또는 국가교회가) 존재하지 않는다’ ‘우 리 OO국은 세속국가다’ 등을 선언하는 문구가 그러한 세속성 조항이다.

해방전후 헌법 준비문서의 내용과 정치세력들의 국가-종교관계 구상

행정연구위원회의 헌법초안

그 밖의 헌법안

국회의 1948년 헌법제정

분리의 대상 : ‘정치’와 종교’

헌법 제20조 제2항의 ‘정치’의 개념

헌법 제20조 제2항의 ‘종교’의 의미

분리의 개념

용어와 표현의 문제 : 세속주의, 정교분리, 중립성

분리 개념과 중립성 개념의 관계

종합적 해석

헌법 제20조 제2항의 재이해

법원 및 헌법재판소 판례 검토

법령 검토 : 중립성을 구체화한 법령적 예

그 밖에 문제되는 사항들

입법영역과 사법영역에서의 전망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