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Copied!
162
0
0

Teks penuh

무등산국립공원 동부사무소장 귀하. 조승익(무등산국립공원 동부사무소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무등산국립공원의 빛공해 현황 분석 및 빛공해 시범지도 구축 무등산국립공원 고랭지식물의 미기후현황 분석.

그림  1.  연구의  목적
그림 1.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

시간적 범위

공간적 범위

내용적 범위

조사분석방법

  • 소음지도
  • 소리경관
  • 빛공해지도
  • 미기후
  • 국립공원 소음에 의한 이용 측면 영향
  • 국립공원 소음에 의한 보전 측면 영향

국립공원의 소음이 이용에 미치는 영향. 국립공원 소음보존 효과.

그림  2.  무등산국립공원  소음지도  작성을  위한  소음  샘플링  위치도
그림 2. 무등산국립공원 소음지도 작성을 위한 소음 샘플링 위치도

소리경관(Soundscape)에 관한 연구

디자인 관점에서 소리풍경을 연구한 사례로 Kim et al.(2006)은 환경 친화적인 요소로서 풍경에 어울리는 소리의 선택을 보고하였고, Cho(2010)는 색상과 소리풍경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Lee(2012)는 공간디자인에서 소리풍경(soundscape)의 개념과 특성을 제시하였고, 임(2015)은 소리풍경 특성을 활용한 환경조각의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림  9.  Soundscape  개념도
그림 9. Soundscape 개념도

빛공해에 의한 생태계 영향

소리풍경과 관련된 국내 연구는 크게 디자인적 관점과 경관적 특징을 대변하는 관점으로 나눌 수 있다. 메인주 아카디아 국립공원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0%가 국립공원에서 밤하늘을 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이미 밤의 낮은 조명 강도가 생식 생리학의 타이밍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에 우리는 야생조류의 울음소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립공원 빛공해에 의한 영향 종합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에 대규모 시설이 위치하여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Ⅱ. 이론적 고려 사항. Ⅱ 현황 조사 및 분석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 입지로 인한 생태계 영향 Ⅲ 해외 관련 정책

그림  2.  빛공해에  의한  환경  영향  종합
그림 2. 빛공해에 의한 환경 영향 종합

미국 NPS 소음 관리의 법적 근거

따라서 국립공원 내 소음은 국립공원의 가치를 훼손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미국의 정책은 모든 미국인의 건강이나 복지를 손상시킬 수 있는 소음이 없는 환경을 만드는 것입니다…

미국 NPS 소리경관(Soundscape) 관리 정책

공원의 소리 풍경에 영향을 미치는 소음을 모니터링합니다. 공원의 소리 풍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소음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합니다.

미국 NPS 비행기 소음(Overflights) 관리 정책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국내 각 국립공원의 실제 항공기 소음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국립공원관리청은 국립공원 내 항공기 소음의 유형, 빈도 및 강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야 합니다.

그림  6.  미국  NPS  비행기  소음(Overflights)  관리  정책
그림 6. 미국 NPS 비행기 소음(Overflights) 관리 정책

미국 NPS 기계소음(Motorized Equipment) 관리 정책

음향 방해 ▸ 60dB 이상의 소음을 발생시키는 기계장비의 사용을 금지합니다. 스노모빌 78dB 이상의 소음을 발생시키는 스노모빌의 사용을 금지합니다.

미국 NPS Quiet Parks Programme

미국 NPS는 공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Quiet Parks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NSNSD는 Quiet Parks 프로그램을 통해 국립공원의 소음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공원 관리자에게 지침을 제공합니다.

그림  16.  미국  NPS  Quiet  Parks  Programme  절차도
그림 16. 미국 NPS Quiet Parks Programme 절차도

미국 NPS Noise map 작성 사례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 입지로 인한 생태계 영향 Ⅲ 대외정책. 미국 국립공원관리청(NPS)의 소음 지도 사례 연구.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 입지로 인한 생태계 영향 Ⅲ 대외정책.

그림  17.  미국  NPS(National  Park  Service)의  소음지도  직성사례
그림 17. 미국 NPS(National Park Service)의 소음지도 직성사례

미국 NPS 빛공해 관리 정책

소음 샘플링 지점 및 적용 대상지

소음 측정 결과

  • 소음지역
  • 자연지역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시설(장불재통신타워) 위치에서의 소음측정 그래프.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시설(중봉통신타워)의 소음측정 그래프. 무등산국립공원 계곡부(무동제계곡) 소음측정 그래프입니다.

그림  19.  무등산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증심사  지구)  소음  측정  그래프
그림 19. 무등산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증심사 지구) 소음 측정 그래프

평균 소음도 산출

무등산국립공원 고산봉(Camel Peak)에 대한 소음측정 그래프. 무등산국립공원 소음지도 실험설정을 위한 샘플링 지점 및 적용분야. 무등산국립공원 소음지도 예측 및 측정값입니다.

표  10.  무등산국립공원  소음지도  시범작성을  위한  샘플링  지점  및  적용대상지
표 10. 무등산국립공원 소음지도 시범작성을 위한 샘플링 지점 및 적용대상지

소음지도 시범 작성

  • 주간 소음지도
  • 야간 소음지도
  • 소음지도 시범 작성의 의의 및 활용방안

테스트 사운드맵 제작의 의미 및 활용방안. 해외 도시의 소음 매핑 및 정보 제공 사례. 국내 도시의 소음 매핑 및 정보 제공 사례.

그림  33.  무등산국립공원  2D  야간  소음지도(22:00~06:00)
그림 33. 무등산국립공원 2D 야간 소음지도(22:00~06:00)

소리경관

소리경관 일주기 패턴

  • 장불재(통신탑)
  • 천왕봉(군부대)
  • 낙타봉(대조구)

통신탑에서 나오는 저주파 기계음이 24시간 계속해서 방출되기 때문이다. 장불재의 무생물의 소음은 고산풍의 영향으로 24시간 계속해서 나타났다.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의 원형 음향경관 패턴.

그림  40.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  소리경관  일주기  패턴
그림 40.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 소리경관 일주기 패턴

소리경관 계절주기 패턴

  • 장불재(통신탑)
  • 천왕봉(군부대)
  • 낙타봉(대조구)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 겨울 소리풍경 패턴. 무등산국립공원 천왕봉(군부대) 봄의 소리풍경 패턴. 무등산국립공원 천왕봉(군부대) 겨울 소리풍경 패턴.

그림  43.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  봄철  소리경관  패턴
그림 43.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 봄철 소리경관 패턴

소리경관 세부 유형

  • 대상지별 소리경관 세부 유형
  • 소리경관 세부유형 시간대별 변화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의 상세한 유형의 소리풍경. 시간대 생물학적 소리(Biophony) 무생물의 소리(Geophony) 인공적인 소리(Anthrophony).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의 시간대별 생체음 현황.

그림  55.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  소리경관  세부  유형
그림 55.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 소리경관 세부 유형

주요 소음원 발생 횟수

  • 차량 소음
  • 확성기 소음
  • 비행기 소음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스피커 소리 현황. 무등산국립공원 고고도 항공기 소음 현황. 무등산국립공원 고고도 항공기 소음 현황.

표  24.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차량  소음  발생  현황
표 24.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차량 소음 발생 현황

빛공해지도

  • 무등산국립공원 빛공해 유형
  • 국립공원별 빛공해 비교
  • 무등산국립공원 빛공해 현황
  • 빛공해 지도 시범 작성
    • 빛공해 등급 구분
    • 빛공해 지도 시범 작성 결과
    • 빛공해 시범 작성의 의의 및 활용방안

모든 국립공원과 무등산국립공원의 빛공해 비교. 국립공원 마을지구와 빛공해와의 관계. 무등산국립공원과 광주시 빛공해의 수평적 분포현황.

그림  70.  VIIRS  DNB를  이용한  한국  국립공원  야간  평균  밝기(Average  brightness  values)  현황도(2012년  10월)
그림 70. VIIRS DNB를 이용한 한국 국립공원 야간 평균 밝기(Average brightness values) 현황도(2012년 10월)

미기후 현황

온도

무등산국립공원(지왕봉, 장불재, 신선대)과 광주 북구의 월평균 기온 변화. 무등산국립공원(지왕봉, 장불재, 신선대)과 광주 북구의 평균 기온변화. 이러한 실험 결과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은 시설이 없는 지역에 비해 미기후 온도차를 보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  76.  무등산국립공원(지왕봉,  장불재,  신선대)  및  광주시  북구  월  평균온도  변화
그림 76. 무등산국립공원(지왕봉, 장불재, 신선대) 및 광주시 북구 월 평균온도 변화

풍속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 입지로 인한 생태계 영향 Ⅰ Ⅴ.

종합고찰

무등산국립공원 대규모 통신탑의 표면온도 분포. 장기적으로는 차량 및 관리 장비를 저소음 기계, 고고도 통신 타워로 교체합니다. 무등산국립공원 소음 및 음향경관 관리계획.

그림  78.  무등산국립공원  대규모  통신탑  표면  온도  분포
그림 78. 무등산국립공원 대규모 통신탑 표면 온도 분포

빛공해 관리방안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 입지로 인한 생태계 영향 Ⅰ Ⅴ. 무등산국립공원 빛공해 관리계획 수립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 입지로 인한 생태계 영향 Ⅰ Ⅴ.

정책제안

넷째, 공원사무소별 음향경관 및 빛공해 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추가(국립공원연구소)  공원별 천연자원 조사 시 음향경관 및 빛공해 항목을 추가 조사함. 한국국립공원의 소음 및 빛공해 관리를 위한 정책제언.

Gambar

표  2.  무등산국립공원  소음지도  시범작성을  위한  샘플링  지점  및  적용대상지
그림  2.  무등산국립공원  소음지도  작성을  위한  소음  샘플링  위치도
표  1.  소음이  야생동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헌고찰
그림  2.  빛공해에  의한  환경  영향  종합
+7

Referensi

Dokumen terkait

이러한 배경에서 본 조사는 고졸자의 취업을 비롯한 노동시장에서의 여건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고졸자의 취업 애로요인 , 나아가 고졸자 취업활성화를 위한 방안 등 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현 정부의 고졸자 취업에 대한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합니다.. 각 질문에 대해 전문가 여러분의 솔직한 의견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