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소리경관 세부유형 시간대별 변화

2. 소리경관

2.3. 소리경관 세부 유형

2.3.2. 소리경관 세부유형 시간대별 변화

Ⅳ 연구결과

100

구분

생물소리 (Biophony)

무생물소리 (Geophony)

인위적 소리 (Anthrophony)

Bird Insect Mammal Frog Wind Rain Thunder Human Car Plane Music Machin 낙타봉

(대조구) 0.41 0.17 0.11 - 0.49 0.00 - 0.04 - 0.07 0.02 0.00 비율(%) 31.12 12.83 8.38 - 37.30 0.20 - 3.32 - 5.45 1.33 0.07 표 20. 무등산국립공원 낙타봉(대조구) 소리경관 세부 유형 현황

그림 57. 무등산국립공원 낙타봉(대조구) 소리경관 세부 유형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101

◾무생물소리 중 바람은 고지대 특성상 24시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었고, 일부 비와 천둥 가 나타났음

◾인위적 소리 중 사람 소리는 04시부터 19시까지 정규분포를 이루며 발생하고 있었음. 장불 재를 탐방하는 사람들의 탐방패턴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음. 즉, 장불재의 탐방객은 소 수의 탐방객이 새벽 04시부터 도착하기 시작하여 12시부터 15시까지 가장 많은 사람들이 머무르다가 이후 하산하는 패턴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됨.

◾장불재 기계음은 통신탑으로부터 24시간 유발되고 있었음. 자동차 소리는 06시부터 20시까 지 나타나고 있었으나 주로 07시경과 10시부터 16시에 집중되어 있었음

◾비행기 소리는 07시부터 20시까지 나타나고 있었으며 주로 10시부터 18시까지 발생하였음

시간대 생물소리(Biophony) 무생물소리(Geophony) 인위적소리(Anthrophony)

Bird Mammal Insect Frog Wind Rain Thunder Human Car Music Plane Machin

0 - 1 13 - 30 - - - 48

1 - 1 12 - 29 - - - 48

2 - 1 11 - 30 - - - 48

3 - 2 10 - 31 - - - 47

4 1 2 10 - 29 - - 1 - - - 48

5 11 2 7 - 31 - - 2 - - - 48

6 16 2 4 - 29 - - 5 1 1 - 48

7 23 3 5 - 30 - - 14 9 1 1 48

8 25 4 7 - 33 - - 23 2 - 1 48

9 21 3 8 - 32 - - 28 2 - 1 48

10 21 1 11 - 32 - - 36 6 2 9 48

11 23 - 10 - 28 - - 39 5 1 7 47

12 14 - 10 - 26 - 1 46 5 3 5 48

13 24 - 9 - 25 1 - 45 6 1 4 48

14 18 - 13 - 26 1 - 42 5 2 6 48

15 13 1 11 - 25 1 1 44 5 2 4 48

16 13 1 13 - 27 1 - 32 7 - 7 48

17 7 1 11 - 31 - - 17 1 2 7 48

18 11 3 15 - 29 - - 3 - - 4 47

19 8 3 13 - 28 - - 2 1 - - 48

20 2 2 13 - 31 - - - 1 - 1 48

21 - 7 13 - 29 - - - 48

22 - 2 12 - 30 1 - - - 48

23 - - 11 - 32 - - - 48

합계 251 42 252 - 703 5 2 379 56 15 57 1149

표 21.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 소리경관 세부유형 시간대별 현황

Ⅳ 연구결과

102

그림 58.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 시간대별 생물소리 현황

그림 59.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 시간대별 무생물소리 현황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103

그림 60.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 시간대별 인위적소리 현황

천왕봉(군부대)

◾천왕봉의 소리경관 세부유형별 24시간 변화를 분석하였음

◾생물소리 중 야생조류 소리는 01시부터 22시까지 주간에 주로 나타나고 있어 야행성 조류 의 소리가 포함되어 있었음. 야생조류는 주로 04시부터 19시에 집중되어 있어 주간에 활발 히 나타났음. 곤충류 소리는 24시간 나타나고 있었으나 일정한 패턴을 나타내지는 않음. 포 유류와 양서류 소리는 적은 빈도로 간헐적으로 나타났으며, 양서류는 주로 주간에 포유류는 주로 야간에 나타났음

◾무생물소리 중 바람 소리는 24시간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나 국지적 미기후 특성 상 주간에 약하고 야간에 강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음. 비 소리는 야간에 간헐적으로 나타났음

◾인위적 소리 중 사람 소리는 24시간 나타나고 있었고, 주로 06시부터 19시에 집중되어 있 었으며 야간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음. 이는 군부대 특성상 군부대 주간활동과 야간 경계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됨. 자동차 소리 또한 24시간 발생하고 있었고 주간에 집중되어 있었음.

◾음악소리는 확성기 사용에 의한 것으로 06시부터 21시까지 기상나팔, 노래, 업무전달과 같

Ⅳ 연구결과

104

은 내용이 확성기를 통해 확산되고 있었음

◾예초기와 같은 기계음은 06시부터 19시까지 발생하고 있었고, 비행기는 주로 주간에 외부 로부터 유입되었고 기계음

시간대 생물소리(Biophony) 무생물소리(Geophony) 인위적소리(Anthrophony)

Bird Mammal Insect Frog Wind Rain Human Car Music Plane Machin

0 - 1 8 - 22 1 2 1 - - -

1 2 - 6 - 19 2 - - - - -

2 3 2 8 - 18 2 1 1 - - -

3 3 2 9 1 17 1 1 - - - -

4 16 - 11 - 18 - 2 2 - 1 -

5 30 - 7 - 14 - - - -

6 31 - 3 - 12 - 5 2 3 2 1

7 34 - 4 1 15 - 7 6 1 2 -

8 37 - 2 - 16 - 8 12 10 4 5

9 28 - 24 - 14 - 9 6 3 10 2

10 33 - 9 - 11 - 10 6 - 13 4

11 34 - 7 1 11 - 4 6 3 6 2

12 38 1 5 1 15 - 4 5 3 2 4

13 35 - 9 - 16 - 5 1 1 5 2

14 33 1 9 - 14 - 7 6 4 5 5

15 36 - 3 - 15 - 6 5 3 9 2

16 30 - 5 - 15 - 3 4 2 6 1

17 28 - 6 - 18 1 3 3 5 4 2

18 19 - 3 - 18 - 6 2 1 3 -

19 14 - 10 1 20 - 6 2 - - 2

20 3 1 9 - 23 1 1 - - 1 -

21 - - 14 - 20 1 7 1 4 - -

22 1 - 11 - 21 1 4 1 - - -

23 - 1 12 - 20 - 2 1 - - -

합계 488 9 194 5 402 10 103 73 43 73 32

표 22. 무등산국립공원 천왕봉(군부대) 소리경관 세부유형 시간대별 현황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105

그림 61. 무등산국립공원 천왕봉(군부대) 시간대별 생물소리 현황

그림 62. 무등산국립공원 천왕봉(군부대) 시간대별 무생물소리 현황

Ⅳ 연구결과

106

그림 63. 무등산국립공원 천왕봉(군부대) 시간대별 인위적소리 현황

낙타봉(대조구)

◾낙타봉의 소리경관 세부유형별 24시간 변화를 분석하였음

◾생물소리 중 야생조류 소리는 24시간 발생하고 있어 야행성 조류를 포함한 조류 종 다양성 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고, 주로 주간에 활발히 조류 울음이 나타났음. 곤충류 소리는 24 시간 나타나고 있었으나 일정한 패턴을 나타내지는 않음. 포유류 소리는 24시간 나타나고 있었는데 주로 오후와 야간 시간대에 집중되어 있었음

◾무생물소리 중 바람 소리는 24시간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나 국지적 미기후 특성 상 주간에 약하고 야간에 강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음

◾인위적 소리 중 사람 소리는 08시부터 16시까지만 나타났고, 12시부터 14시경이 가장 높 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어 낙타봉의 탐방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음. 음악소리는 탐방패턴과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탐방객에 의한 음악소리가 아닌 군부대 확성기의 영향권임을 확 인할 수 있었음. 비행기 소리는 07시부터 23시까지 나타나고 있었고 오전과 오후에 각각 1 차례씩 피크를 형성하고 있었음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107

시간대

생물소리 (Biophony)

무생물소리 (Geophony)

인위적소리 (Anthrophony)

Bird Mammal Insect Frog Wind Rain Human Car Music Plane Machin

0 - 4 10 - 25 - - - 1 - -

1 2 4 6 - 27 - - - -

2 1 5 4 - 27 1 - - - - -

3 4 1 10 - 30 - - - -

4 9 2 9 - 31 - - - -

5 19 2 4 - 31 - - - -

6 33 6 5 - 31 - - - -

7 34 - 4 - 28 - - - - 3 -

8 34 6 7 - 26 - 1 - 1 5 -

9 33 2 10 - 23 - 2 - 1 7 1

10 35 3 11 - 18 - 6 - - 12 -

11 34 1 14 - 19 - 3 - 3 4 -

12 32 6 13 - 19 - 11 - 1 5 -

13 31 6 9 - 15 - 13 - 2 4 -

14 33 5 12 - 19 - 10 - 1 9 -

15 30 10 13 - 22 - 3 - 1 9 -

16 30 10 6 - 17 - 1 - 1 9 -

17 27 4 8 - 19 1 - - 3 5 -

18 24 7 9 - 22 - - - 1 3 -

19 14 9 7 - 20 - - - 1 3 -

20 3 8 5 - 20 0 - - - 1 -

21 4 12 5 - 23 - - - 2 1 -

22 - 11 5 - 25 1 - - 1 1 -

23 2 2 7 - 24 - - - - 1 -

합계 468 126 193 - 561 3 50 - 20 82 1

표23. 무등산국립공원 낙타봉(대조구) 소리경관 세부유형 시간대별 현황

Ⅳ 연구결과

108

그림 64. 무등산국립공원 낙타봉(대조구) 시간대별 생물소리 현황

그림 65. 무등산국립공원 낙타봉(대조구) 시간대별 무생물소리 현황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109

그림 66. 무등산국립공원 낙타봉(대조구) 시간대별 인위적소리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