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 미국 NPS 빛공해 관리 정책

1.3. 평균 소음도 산출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65

그림 31.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봉우리(낙타봉) 소음 측정 그래프

그림 32.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봉우리(신선대) 소음 측정 그래프

Ⅳ 연구결과

66

◾면음원의 음향파워레벨은 측정된 소음도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해당 면음원의 면적당 음향 파워레벨(

)로 입력하였음

◾무등산 국립공원의 지형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서 1:5000 수치지형도를 사용하였으며, 평면 소음지도의 계산 격자는 50m×50m

◾산지의 지면 흡음률은 0으로 가정하였고, 기타 전달감쇠와 관련된 영향인자는 ISO9613에 따라 적용

◾측정지역과 평균 소음도는 아래표와 같음. 1-1에서부터 1-8은 소음원의 대표지점에서 측정 한 소음도이며 소음원의 속성데이터로 사용하였고, 2-1에서부터 2-6은 소음지도 예측의 검 증을 위해서 측정된 소음도임

구분 번호 유형 샘플링지점 적용 대상지

평균 소음도 (dB(A))

주간 야간

소음 발생 지역

1-1 집단시설지구 증심사지구 증심사지구, 원효지구 56.36 64.02

1-2 공원마을 도원마을 도원마을, 들국화마을, 용연마을,

화암마을, 배재마을, 평촌마을 67.25 42.28 1-3 공원 내부 도로 화암마을 도로 화암마을 ~ 배재마을 구간 78.49 75.13 1-4 공원 외각 도로 너릿재 터널 입구 공원 외곽 도로 71.98 55.79

1-5 임도 임도 내 전망대 원효분소~장불재 및 천왕봉

구간 임도 70.48 49.74

1-6

고지대 시설지

천왕봉 군부대(천왕봉) 41.90 36.90

1-7 장불재 통신탑(장불재) 53.63 43.26

1-8 중봉 통신탑(중봉) 35.79 39.22

자연 지역

2-1 습지 평두메습지 평두메습지 45.75 46.26

2-2

계곡부

만연사 오감만족길 만연사 오감만족길 64.53 43.87

2-3 무동제 계곡 무동제 계곡 52.05 51.13

2-4 사봉실 계곡 사봉실 계곡 45.99 43.60

2-5 고지대 봉우리 신선봉 신선봉 40.06 35.78

2-6 낙타봉 낙타봉 48.47 33.47

표 10. 무등산국립공원 소음지도 시범작성을 위한 샘플링 지점 및 적용대상지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67

소음값의 예측값과 측정값 비교

◾예측값과 측정값은 아래표와 같음

◾예측치와 실측치의 오차가 작은 지점은 본 연구에 적용한 음원과 가까이 위치한 곳이며 적 용한 음원과 멀리 떨어진 지점은 오차가 크게 발생

◾오차가 크게 발생한 또 다른 이유로는 배경소음의 부재와 실측시에 고려하지 못한 소음의 삽입 등이 있음

◾본 연구는 소음지도 작성을 위한 시범사업 단계로 샘플링 개수가 적기 때문에 향후 정밀한 소음지도의 작성을 위해서는 대표 소음원에 대한 전수조사가 이루어져야 함

◾또한 오차범위를 줄이기 위해서 소음원이 없는 자연지역에 대해서도 소음 측정 개소수를 다 수 확보하여 보완을 진행해야 함

측정지점

주간(06:00~22:00) [dB(A)] 야간(22:00~06:00) [dB(A)]

실측 예측 오차(예-실) 실측 예측 오차(예-실)

2-1 45.75 49.20 3.45 46.26 49.20 2.94

2-2 64.54 24.30 -40.24 43.87 24.00 -19.87

2-3 52.05 32.00 -20.05 51.14 17.10 -34.04

2-4 45.99 25.50 -20.49 43.61 25.40 -19.21

2-5 40.07 41.10 1.03 35.78 39.60 3.82

2-6 48.47 34.90 -13.57 33.47 34.50 1.03

표 11. 무등산국립공원 소음지도 예측값과 실측값

Ⅳ 연구결과

68

1.4. 소음지도 시범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