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3. 빛공해에 의한 생태계 영향

1.5. 미국 NPS Quiet Parks Programme

Quiet Parks 프로그램 추진배경

◾국립공원에서는 HVAC 시스템, 관리용 차량, PA시스템, 잔디 깎는 기계, 나뭇잎 제거용 송 풍기, 관리용 비행기, 도로 포장 관리, 건설 장비 등의 이용을 통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음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Ⅲ.해외관련 정책

43

◾미국 NPS는 공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Quiet Parks 프로그램을 운 영하고 있음

◾2012년 NSNSD(National Sounds and Night Skies Division)는 국가 소음 프로그램 워크샵 을 개최

◾소음 통제 전문가와 공원 관리자는 공원 음향 자원을 보호하는 데 필요한 최상의 관리 기 법과 사용 가능한 기술을 파악하도록 초청

◾이 워크샵의 결과는 National Engineer of Technology (NAE) 보고서에 게시

Quiet Parks 프로그램 목적

◾Quiet Parks Programme은 공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원을 줄이기 위한 관리도구를 각 국립공 원에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Quiet Parks 프로그램 흐름

◾NSNSD는 Quiet Parks Program을 통해 국립공원의 소음을 줄위기 위한 지침을 공원관리자 에게 제공

1. 소음원을 확인

2. 소음이 공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3. 소음이 심한 장비 개조, 신규 장비 구매, 시끄러운 활동 자제 등의 관리를 통해 공원 소음을 줄임

4. 소음 감소 전략의 효과 측정

5. 현재 및 미래의 소음 감소 활동을 위한 계획 수립

◾Quiet Parks Program을 통해 소음 감소를 위해 노력한 공원은 Quiet Park 인증을 받을 수 있음

◾이 인증을 통해 각 국립공원은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을 부각시킬 수 있음

Ⅲ 해외 관련 정책

44

시사점 및 적용방향

◾미국 NPS의 Quiet Parks 프로그램은 국립공원의 소음 저감을 위해 국립공원관리청이 스스 로 만든 인증제도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개별 공원이 국립공원의 소음환경을 개선 하고 이러한 노력을 대내외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좋은 수단임

◾국립공원의 음환경은 탐방객이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한국의 국립공원은 이에 대한 실태파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한국의 국립공원은 대규모 도시나 마을이 공원과 입지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도로가 공원 내부를 관통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소음이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

◾따라서 야생동물의 안적정인 서식과 탐방객의 경험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립공원다운 음환경을 관리가 필수적이며 미국 NPS와 같은 Quiet Parks 인증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한다 면 소음관리 뿐만 아니라 탐방홍보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그림 16. 미국 NPS Quiet Parks Programme 절차도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Ⅲ.해외관련 정책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