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 미국 NPS 빛공해 관리 정책

1.2. 소음 측정 결과

1.2.1. 소음지역

집단시설지구

◾집단시설지구 소음 샘플링 지점은 증심사 지구를 선정하였음

◾증심사 지구의 소음측정 결과는 원효사집단시설지구에 적용하였음

◾증심사지구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8월 3일부터 8월 9일까지 7일이었음

◾집단시설지구의 7일간 소음 측정 결과 상업지의 특성상 주간에 높은 소음이 지속적으로 유 발되고 있었고 야간에 소음량이 줄어드는 패턴이 일정하게 나타나고 있었음

◾특히 새벽 04시부터 소음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밤 12시까지 지속된 이후에 줄어드는 패턴 일 나타내었음

◾주간에는 55dB 내외의 소음이 발생하고 있었고, 야간에는 40dB내외의 소음이 발생하고 있 었음

◾증심사 집단시설지구는 무등산국립공원의 주진입공간으로 많은 식당과 아웃도어 매장이 입 지해 있으면서 버스 차고지까지 있기 때문에 주간 소음량이 지속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됨

공원마을

◾공원마을 소음 샘플링 지점은 도원마을을 선정하였음

◾도원마을의 소음측정 결과는 들국화마을, 용연마을, 화암마을, 배재마을, 평촌마을에 적용하 였음

Ⅳ 연구결과

Ⅳ 연구결과

54

◾증심사지구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7월 26일부터 8월 1일까지 7일이었음

◾공원마을의 7일간 소음 측정 결과 주간에 높은 소음이 간헐적으로 유발되고 있었고, 야간에 는 비교적 적막한 상황을 유지하는 패턴이 지속되었음

◾특히 새벽 05시부터 전후부터 소음량이 증가하여 밤 10~11시경까지 지속된 이후에 조용 해지는 패턴을 나타내었음

◾주간에는 45~55dB 내외의 소음이 발생하고 있었고, 야간에는 40dB이하의 소음이 발생하 고 있었음

◾공원마을의 경우 통과도로의 통행량이 많지 않아 기본적으로 배경소음이 없는 상황에서 주 민들의 차량, 오토바이, 농기계 등의 사용, 마을센터의 확성기 이용, 주민들 소리, 기타 소리 가 발생할 경우 소음량이 점적으로 높아지는 패턴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공원 내 도로

◾공원 내 도로 소음 샘플링 지점은 화암마을을 지나는 2차선 도로를 선정하였음

◾공원 내 도로 소음측정 결과는 공원내부를 지나는 도로에 적용하였음

◾공원 내 도로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8월 3일부터 8월 9일까지 7일이었음

◾공원 내 도로의 7일간 소음 측정 결과 밤 12시부터 새벽 04시를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높 은 소음이 유발되고 있었음

◾특히, 주간에 50~60dB의 소음과 80~90dB의 소음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었는데 이는 화 암마을을 통과하는 도로의 특성상 마을에서 나는 소음과 차랑이 지나가면서 나는 높은 소음 이 서로 다른 패턴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음

공원 외 도로

◾공원 외 도로 소음 샘플링 지점은 너릿재 터널 입구를 선정하였음

◾너릿재 터널 입구 소음측정 결과는 22, 29번 지방도와 공원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하는 도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55

로들에 대해서 적용하였음. 공원의 동측 외곽에 남북으로 지나는 887번 도로는 적용하지 않았으며 추후 도로별 소음 조사를 실시하여 반영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음

◾공원 외 도로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7월 26일부터 7월 30일까지 5일이었음

◾공원 외 도로의 5일간 소음 측정 결과 일주기 교통량에 따라 일정한 패턴이 나타나고 있었 음. 출근시간대인 오전 07~09시까지가 가장 높은 소음을 나타내고 있었고 이후 주간에 높 은 소음을 유지하다가 밤 12시부터 04시까지 가장 낮은 소음을 나타내고 있었음

◾주간에는 50~70dB 내외의 소음이 발생하고 있었고, 야간에는 40~50dB내외의 소음이 발 생하고 있었으나 야간의 차량 이동으로 간헐적으로 높은 소음이 나타나고 있었음

그림 19. 무등산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증심사 지구) 소음 측정 그래프

그림 20. 무등산국립공원 공원마을(도원마을) 소음 측정 그래프

Ⅳ 연구결과

56

그림 21. 무등산국립공원 공원 내부 도로(화암마을 도로) 소음 측정 그래프

그림 22. 무등산국립공원 공원 외곽 도로(너릿재 터널 입구) 소음 측정 그래프

임도

◾임도의 소음 샘플링 지점은 원효분소를 지나 장불재로 가는 임도 구간 중 전망대가 설치되 어 있는 곳이었음

◾임도의 소음측정 결과는 원효분소~장불재까지의 구간과 군부대로 가는 진입로에 적용하였 음

◾임도의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7월 26일부터 7월 31일까지 5일이었음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57

◾임도의 5일간 소음 측정 결과 주간에 간헐적으로 임도를 이용하는 차량의 소음과 고지대에 서 부는 바람에 의한 영향으로 인한 소음이 혼재되어 있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음

◾임도를 이용하는 차량에 의한 소음은 주로 8시 전후로 피크를 형성하고 있었고 서서히 줄 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군부대와 통신탑으로 출근하는 차량에 의한 소음으로 판 단되었음

◾야간에는 바람에 의한 산곡풍으로 인해 소음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음

◾차량 소음의 경우 50~60dB의 범위에서 나타나고 있었음

고지대 시설지(천왕봉: 군부대)

◾고지대 시설지에 해당하는 천왕봉은 군부대에 의한 소음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 음계를 설치하였음

◾소음의 측정 목적이 고지대 시설지에 의한 주변의 생태적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에 군부대 내부가 아닌 군부대 경계와 접해있는 외부의 암반에 군부대를 바라보도록 장비를 설 치하였음

◾천왕봉(군부대)의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5월 20일부터 6월 11일까지 22일이었음

◾천왕봉(군부대)의 22일간 소음 측정 결과 국립공원 고지대임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군부대 활동으로 인해 주간에 소음이 증가하고 야간에 소음이 줄어드는 패턴이 일정하게 나타나고 있었음

◾주간 소음량은 오전 06경 전후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오후 17경 전후까지 지속되었고 야간 에는 조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간헐적으로 소음이 발생하고 있었음

◾고지대 특성상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소음이 높게 측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음

◾주목할만한 부분은 평일에 비해 휴일(5월 21~22일, 28~29일, 6월 4~6일)에는 소음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Ⅳ 연구결과

58

◾이는 평일에는 휴일에는 군부대 업무 특성상 최소근무만을 하기 때문에 차량이용 및 확성이 사용이 적고, 유동병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소음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판단됨

◾결론적으로 천왕봉 일대의 소음은 군부대 활동에 의해 유발되고 있으며, 향후 군부대를 이 전할 경우 소음원이 제거되어 조용한 자연상태로 복원될 것으로 판단됨

고지대 시설지(장불재: 통신탑)

◾고지대 시설지 중 장불재는 대규모 통신탑에 의한 소음 영향 측정을 위해 조사를 실시함

◾소음계는 장불재에 입지하고 있는 공원관리시설의 처마 밑에 통신탑을 바라보도록 설치

◾장불재(통신탑)의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6월 17일부터 7월 9일까지 23일이었음

◾장불재(통신탑)의 23일간 소음 측정 결과 다른 지점에 비해 매우 높은 양의 소음이 발생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통신탑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소음, 탐방거점으로서 장불재를 이용하는 탐방객과 탐방시설에서 나오는 소음, 고지대 고개의 특성상 강한 바람에 의한 소음 3가지가 복합적으 로 나타난 결과로 판단됨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주야간 구분 없이 바람에 의한 영향만으로 높은 소음이 나타나고 있었고, 바람의 영향이 적은 날은 야간에 비해 주간에 다소 높은 소음이 나타나고 있었음

고지대 시설지(중봉: 통신탑)

◾고지대 시설지 중 중봉은 소규모 통신탑에 의한 소음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조사를 실시하 였음

◾중봉 통신탑은 경계펜스 인근의 바닥에 철봉을 설치하고 통신탑을 바라보도록 소음계를 설 치하였음

◾중봉(통신탑)의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5월 20일부터 6월 11일까지 22일이었음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59

◾중봉(통신탑)의 22일간 측정 결과 본 대상지는 주로 야간에 소음이 높게 측정되는 패턴을 나타내었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은 지속적으로 높은 소음을 나타내고 있었음

◾이는 대규모 산림의 국지적 미기후 특성상 야간에 바람이 강해지기 때문에 주간보다 야간에 소음 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광역적으로 바람이 강한 날은 국지 미기후와 관계없이 강한 바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본 대상지는 통신탑의 규모가 작고 통신탑에서 나오는 소음이 크지 않으며, 탐방객이 주로 다니는 탐방로가 아니기 때문에 인위적 소음의 영향은 적은 것으로 판단됨

그림 23. 무등산국립공원 임도 소음 측정 그래프

그림 24.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시설지(천왕봉 군부대) 소음 측정 그래프

Ⅳ 연구결과

60

그림 25.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시설지(장불재 통신탑) 소음 측정 그래프

그림 26.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시설지(중봉 통신탑) 소음 측정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