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 미국 NPS 빛공해 관리 정책

1.2. 소음 측정 결과

1.2.2. 자연지역

Ⅳ 연구결과

60

그림 25.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시설지(장불재 통신탑) 소음 측정 그래프

그림 26.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시설지(중봉 통신탑) 소음 측정 그래프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61

◾평두메습지는 통과교통이 없으며 주변에 인위적 시설물이 많지 않기 때문에 무등산국립공원 의 자연지역 소음현황을 파악하기에 적지로 판단됨

◾평두메습지의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8월 3일부터 8월 6일까지 4일이었음

◾평두메습지의 4일간 소음 측정 결과 주야간 모두 50dB이하의 약한 소음만이 측정되었으며 특정한 패턴을 나타내지 않았음

◾간헐적으로 다소 높은 양의 소음이 발생하기는 하는데 이는 이 지역에 서식하는 야생조류, 포유류 등 동물들의 소리와 국지적 미기후에 의한 바람소리, 이 지역에서 경작을 위해 이동 하는 사람들의 소리로 판단됨

계곡부(만연사 오감만족길)

◾만연사 오감만족길은 화순에서 진입하는 계곡부에 조성한 탐방로로 많은 탐방객이 이용하는 지역임

◾만연사 오감만족길의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7월 26일부터 8월 2일까지 8일이었음

◾만연사 오감만족길의 8일간 소음 측정 결과 오전 05시부터 오후 20시까지 소음이 발생하 고 있으며 야간에는 적막한 상황을 유지하고 패턴이 일정하게 나타나고 있었음

◾이 지역은 도시화지역과는 거리가 떨어져 있어 도시로부터의 배경소음이 유입되지 않는 가 운데 탐방로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소리에 의해 소음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됨

◾소음의 양은 주간에는 40~50dB 내외의 소음이 발생하고 있으며 야간에는 40dB이하의 소 음량이 높지 않았음

◾이 지역은 계곡부의 산림 내부이기 때문에 국지적으로 바람의 영향이 적어 바람에 의한 소 음의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됨

계곡부(무동제 계곡)

◾무동제 계곡은 무등산국립공원 동부 사면의 대표적인 계곡으로 담양군과 화순군의 경계를 이루는 계곡임

Ⅳ 연구결과

62

◾무동제 계곡의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8월 4일부터 8월 9일까지 6일이었음

◾무동제 계곡의 6일간 소음 측정 결과 전반적으로 소음량이 높지 않으나 주간에 야간보다 높은 소음이 발생하고 있는 패턴을 나타내고 있었음

◾무동제 계곡의 6일간 소음 측정 결과 오전 05시부터 오후 20시까지 주간동안이 야간보다 다소 높은 소음이 발생하고 있으나 날짜별 패턴이 명확하지는 않았음

◾이 지역은 탐방객 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여기서 나타나는 소음은 주로 야생조류, 곤충류 등 야생동물에 의한 소리와 이곳의 탐방로로 진입하는 탐방객들의 소리가 일부 포함되어 나 타나는 것으로 판단됨

◾소음의 양은 주간에는 40~50dB 내외의 소음이 발생하고 있으며 야간에는 40dB 내외의 소음이 발생하면서 야간에도 간헐적으로 높은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음

계곡부(사봉실 계곡)

◾사봉실 계곡은 무등산국립공원 북동부의 저삼봉, 북산, 상로봉에 의해 위요되어 있는 계곡임

◾사봉실 계곡의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8월 4일부터 8월 6일까지 3일이었음

◾사봉실 계곡의 3일간 소음 측정 결과 전반적으로 매우 조용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남

◾이 지역은 산림에 의해 둘러쌓여 있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이 적고, 탐방객의 수가 많지 않 으며, 주변에 소음원이 거의 없기 때문에 여기서 나타난 소음량은 야생동물에 의한 소리가 대부분일 것으로 판단됨

◾이 지역은 새벽 04시부터 저녁 20시까지 주간이 야간보다 다소 높은 소음이 간헐적으로 발 생되고 있는데 이는 태양의 일주기 패턴에 의해 야생조류와 곤충류 등 야생동물이 주간에 주로 소리를 내기 때문으로 판단됨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63

그림 27. 무등산국립공원 습지(평두메 습지) 소음 측정 그래프

그림 28. 무등산국립공원 계곡부(만연사 오감만족길) 소음 측정 그래프

그림 29. 무등산국립공원 계곡부(무동제 계곡) 소음 측정 그래프

Ⅳ 연구결과

64

그림 30. 무등산국립공원 계곡부(무동제 계곡) 소음 측정 그래프

고지대 봉우리(낙타봉)

◾고지대 봉우리 중 낙타봉은 해발 930m로 장불재에서 동쪽으로 1.1km, 천왕봉(군부대)에서 남쪽으로 1.6km 떨어져 있는 비시설지 자연 봉우리임

◾낙타봉의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6월 17일부터 7월 9일까지 23일이었음

◾낙타봉의 23일간 소음 측정 결과 인위적 소음에 의한 패턴은 나타나고 있지 않으며 바람에 의한 영향에 의해 소음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되었음

고지대 봉우리(신선대)

◾고지대 봉우리 중 신선대은 해발 770m로 천왕봉(군부대)에서 북동쪽으로 2.2km 떨어져 있 는 비시설지 자연 봉우리임

◾신선대의 소음측정 기간은 2016년 5월 20일부터 6월 11일까지 22일이었음

◾낙타봉의 22일간 소음 측정 결과 일정한 패턴은 나타나고 있지 않으며 바람에 의한 영향에 의해 소음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되었음

◾단, 이 지역은 다른 봉우리보다 고도가 낮으며 탐방객들이 즐겨찾는 구간으로 주간에 간헐 적으로 탐방객에 의한 소음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됨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65

그림 31.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봉우리(낙타봉) 소음 측정 그래프

그림 32.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봉우리(신선대) 소음 측정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