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 소리경관

2.1. 소리경관 일주기 패턴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77

Ⅳ 연구결과

78

2.1.1. 장불재(통신탑)

◾장불재의 1년간 소리경관을 분석하여 시간대별 일주기 발생패턴을 종합하였음

◾장불재의 인위적 소리는 오전 06시경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0~15시경까지 피크를 이루 고 오후 18시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음.

◾이는 06시경부터 탐방객들이 장불재에 도착하기 시작하고 이후 통신탑 관리자 출근차량, 공 원관리차량 등 다양한 활동이 주간에 장불재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판단됨

◾장불재 인위적 소리의 가장 큰 특징은 24시간 지속적으로 인위적 소리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임. 이는 통신탑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기계음이 24시간 지속적으로 나고 있기 때문임. 타 지역의 경우 야간에는 인위적 소리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장불재는 야간에도 지속 적으로 기계음이 나타나고 있어 생물 서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됨

◾장불재의 생물소리는 04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1시경 감소하였고, 08~18시 사이에 피 크를 형성하고 있었으나 발생빈도는 높지 않았음

◾장불재의 생물소리는 타 지역에 비해서 발생빈도가 높지 않은 것이 특징임. 이는 장불재 지 역이 대면적의 나지 및 초지를 이루고 있어 목본층이 발달해 있지 않기 때문에 야생조류와 같은 소리로 의사소통을 하는 동물들이 타 지역에 비해 빈도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됨

◾또 다른 가능성은 통신탑의 지속적인 저주파 기계음과 인간에 의한 다양한 활동들이 동물들 의 의사소통을 방해하여 서식처 질을 낮추었기 때문으로 추측할 수도 있으면 향후 이에 대 한 정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장불재의 무생물 소리는 고지대 바람의 영향으로 24시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었음

◾장불재는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중 가장 핵심적인 탐방공간으로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통 신탑 기계음과 다양한 차량 이동 소음은 국립공원의 자연을 체험하기 위해 방문한 탐방객들 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 또한 생태적으로 민감한 고지대에 서식하는 생물들에게도 서식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임.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한 관리대책 마련이 필요함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79

시간대 장불재

Biophony Geophony Anthrophony

0 0.07 0.21 0.20

1 0.07 0.20 0.20

2 0.06 0.21 0.20

3 0.06 0.22 0.20

4 0.07 0.20 0.20

5 0.10 0.22 0.21

6 0.11 0.20 0.23

7 0.16 0.21 0.30

8 0.19 0.23 0.31

9 0.17 0.22 0.33

10 0.17 0.22 0.42

11 0.17 0.19 0.41

12 0.13 0.19 0.45

13 0.17 0.18 0.43

14 0.16 0.19 0.43

15 0.13 0.19 0.43

16 0.14 0.19 0.39

17 0.10 0.22 0.31

18 0.15 0.20 0.23

19 0.13 0.19 0.21

20 0.09 0.22 0.21

21 0.10 0.20 0.20

22 0.07 0.22 0.20

23 0.06 0.22 0.20

표12.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 소리경관 현황

그림 40.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통신탑) 소리경관 일주기 패턴

Ⅳ 연구결과

80

2.1.2. 천왕봉(군부대)

◾천왕봉(군부대)의 1년간 소리경관을 분석하여 시간대별 일주기 발생패턴을 종합하였음

◾천왕봉의 인위적 소리는 오전 05시경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08~10시경까지 피크를 이루 고 이후 20시경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음

◾이는 군부대 활동 특성상 지속적으로 교대하는 경계근무, 업무용 차량 진입, 확성기를 통한 업무전달, 다양한 기계음 등이 새벽부터 늦은밤까지 복합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임

◾천왕봉의 인위적 소음은 주로 주간에 집중되어 있으나, 야간에도 낮은 빈도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

◾천왕봉의 생물소리는 밤 01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0시까지 지속되었고, 05시부터 17 시까지 높은 상태를 유지하였음. 특히 08시경에 피크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아침에 주로 세 력 알림이나 구애 등을 위해 새들이 울기 때문에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됨

◾천왕봉의 생물소리는 군부대가 입지하고 있음에도 녹음기가 설치된 지역이 수림대가 형성되 어 있는 봉우리의 암반이었기 때문에 다양한 생물소리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됨

◾그러나 군부대에서 발생하는 소리 또한 생물소리와 유사한 패턴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인근에 서식하는 생물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서식처 질을 악화시킬 것으로 판단됨

◾앞서 분석한 군부대의 소음분석 결과에 의하면 평일보다 휴일에 소음의 양이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보아 향후 군부대가 이전할 경우 생물들의 서식에 안정적인 음환경이 복원될 것임

◾천왕봉의 무생물소리는 고지대 봉우리의 국지적 미기후 특성상 바람이 주간에 약해지고 야 간에 강해지는 특성을 반영하고 있어 그에 따라 소음의 양도 주간에는 낮고 야간에는 다소 강해지는 경향을 나타남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81

시간대 군부대

Biophony Geophony Anthrophony

0 0.05 0.16 0.01

1 0.04 0.15 -

2 0.07 0.14 0.01

3 0.08 0.13 0.00

4 0.14 0.13 0.02

5 0.19 0.10 -

6 0.18 0.08 0.05

7 0.20 0.10 0.07

8 0.20 0.11 0.16

9 0.27 0.10 0.13

10 0.22 0.08 0.14

11 0.22 0.08 0.09

12 0.23 0.10 0.08

13 0.23 0.11 0.06

14 0.22 0.10 0.11

15 0.20 0.10 0.10

16 0.18 0.10 0.07

17 0.18 0.13 0.07

18 0.11 0.13 0.05

19 0.13 0.14 0.04

20 0.07 0.17 0.01

21 0.07 0.15 0.05

22 0.06 0.15 0.02

23 0.07 0.14 0.01

표 13. 무등산국립공원 천왕봉(군부대) 소리경관 현황

그림 41. 무등산국립공원 천왕봉(군부대) 소리경관 일주기 패턴

Ⅳ 연구결과

82

2.1.3. 낙타봉(대조구)

◾낙타봉은 시설물이 입지하고 있는 장불재(통신탑)와 천왕봉(군부대)의 음환경 특성과의 비교 를 위해 대조구로 선정한 지역

◾낙타봉의 인위적 소리는 오전 06시경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0시경까지 발생하고 있으나 발생빈도는 낮았음. 인위적 소리 피크는 10시부터 14시까지임

◾낙타봉은 인위적 시설은 없이 탐방로만이 개설되어 있는 곳으로 이곳을 지나는 탐방객들에 의해 주로 주간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임. 또한 낙타봉은 장불재에서 안양산방면으로 가거나 안양산에서 장불재 방면으로 가는 중간 경유지로 낮시간대에 주로 탐방객이 경유하 는 것으로 판단됨. 낙타봉의 인위적 소리에는 탐방객에 의한 소리 이외에 군부대로부터 유 입되는 확성기 소리도 일부 포함되어 있음

◾낙타봉의 생물소리는 02시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20시까지 지속되며, 피크는 06시 부터 18시까지임

◾낙타봉은 고지대 봉우리임에도 능선부 경사가 완만하고 수림대가 잘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생물들 소리 또한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됨

◾낙타봉의 무생물소리는 천왕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이는 고지대 봉우리의 국지적 미기후 특성상 바람이 주간에 약해지고 야간에 강해지는 특성을 반영하고 있어 그에 따라 소음의 양도 주간에는 낮고 야간에는 다소 강해지는 경향을 나타남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83

시간대 낙타봉

Biophony Geophony Anthrophony

0 0.07 0.17 0.00

1 0.06 0.19 -

2 0.05 0.19 -

3 0.08 0.21 -

4 0.10 0.22 -

5 0.13 0.22 -

6 0.23 0.22 -

7 0.20 0.19 0.01

8 0.24 0.18 0.03

9 0.23 0.16 0.05

10 0.26 0.13 0.08

11 0.26 0.13 0.04

12 0.27 0.13 0.07

13 0.24 0.10 0.08

14 0.26 0.13 0.08

15 0.28 0.15 0.05

16 0.24 0.12 0.05

17 0.20 0.14 0.03

18 0.21 0.15 0.02

19 0.16 0.14 0.02

20 0.08 0.14 0.00

21 0.11 0.16 0.01

22 0.08 0.18 0.01

23 0.06 0.17 0.00

표 14. 무등산국립공원 낙타봉(대조구) 소리경관 현황

그림 42. 무등산국립공원 낙타봉(대조구) 소리경관 일주기 패턴

Ⅳ 연구결과

84

2.2. 소리경관 계절주기 패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