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 소리경관

2.4. 주요 소음원 발생 횟수

2.4.2. 확성기 소음

◾무등산국립공원은 천왕봉에 입지하고 있는 군부대는 군부대 활동 특성상 확성기를 이용해 기상나팔음악, 음악방송, 업무전달, 기타사항전달 등의 목적으로 확성기를 이용하고 있음. 그 러나 천왕봉 군부대의 확성기 이용은 민감한 생태계가 형성되어 있는 국립공원 고지대에 광 범위하게 확산되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이에 대한 현황 파악을 위해 확성기 소음 횟수를 분석하였음

◾군부대 확성기 소음의 전달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천왕봉으로부터 1.6km 떨어져 있는 낙타 봉에서 확성기 소음의 전달 횟수를 분석하였음

◾1년 중 48일(월 4일)을 선택하여 분석한 결과 확성기 발생 소음은 천왕봉(군부대) 474회이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113

었고 낙타봉까지 전달된 확성기 소음은 81회이었음

◾1일 평균 군부대 확성기 소음 발생횟수 분석 결과 하루 10회 발생하고 있었으며, 낙타봉에 서 들리는 군부대 확성기 소음은 하루 2회로 나타남. 위 분석 결과는 1년 중 평일과 휴일 을 절반씩 분석한 결과로 평일에는 더 높은 수치가 나올 것으로 판단됨

◾시간대별 확성기 소음 발생횟수 분석 결과 군부대 확성기 소음은 08시(12.66%)와 21시 (14.14%)에 가장 높은 피크를 형성하고 있었고, 06시, 11시 전후, 16~17시에 피크를 형성 하고 있었음. 즉 군부대의 일상적인 패턴과 관련된 기상 및 취침, 업무시작 및 종료, 오전 오후 업무 전달과 같은 일상적인 업무에 의해 일정한 시간대에 확성기를 정기적으로 사용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낙타봉에 전달되는 군부대 확성기 소음 분석 결과 전달 빈도수는 낮으나 군부대 확성기 소 음 발생 패턴과는 일치하고 있었음. 특히 확성기 소음은 먼 거리까지 전달되는 저주파 소리 들이 주로 전달되고 있었음

◾분석 결과를 보면 현재 천왕봉에 입지한 군부대의 확성기 소음은 공원 고지대 전역에 영향 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군부대의 경우 보호지역 내 군사시 설이라고 하는 특수성이 있기 때문에 생태계 영향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임.

◾이를 위해 1) 확성기의 볼륨을 줄여 전달거리를 줄여야 하며, 2) 불필요한 확성기 사용을 자제 하는 노력이 필요함. 확성기 소음의 전달거리를 줄이는 또다른 방법으로는 전달거리가 먼 저주파 영역의 소리의 이용을 제한하는 것도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됨

Ⅳ 연구결과

114

시간대

확성기 소음(N=48일)

천왕봉(군부대) 낙타봉(대조구)

횟수 비율(%) 횟수 비율(%)

0 - - - -

1 - - - -

2 - - - -

3 - - - -

4 - - - -

5 20 4.22 2 2.47

6 40 8.44 7 8.64

7 26 5.49 4 4.94

8 60 12.66 12 14.81

9 24 5.06 2 2.47

10 8 1.69 2 2.47

11 35 7.38 4 4.94

12 29 6.12 1 1.23

13 12 2.53 4 4.94

14 19 4.01 5 6.17

15 17 3.59 3 3.70

16 36 7.59 8 9.88

17 36 7.59 8 9.88

18 17 3.59 4 4.94

19 10 2.11 4 4.94

20 8 1.69 1 1.23

21 67 14.14 8 9.88

22 10 2.11 2 2.47

23 - - - -

합계 474 100.00 81 100.00

1일 평균 발생횟수 10회 2회

표 25.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확성기 소음 발생 현황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115

그림 68.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확성기 소음 발생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