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3. 빛공해지도

3.2. 국립공원별 빛공해 비교

전체 국립공원과 무등산국립공원 빛공해 비교

◾국내 국립공원별 빛공해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VIIRS) Day and Night Band(DNB)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음

◾국내 22개 국립공원 중 4개 해상형 국립공원과 사적형 근린공원인 경주국립공원, 그리고 최근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태백산국립공원을 제외한 16개 산지형 국립공원의 빛공해 수준 을 분석한 결과, 대도시 인근에 위치한 3개 국립공원(북한산, 계룡산, 무등산 국립공원)의 평 균 빛공해 수준이 다른 국립공원들의 평균 빛공해 수준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남

◾즉 무등산국립공원은 산지형 국립공원 16개 중 빛공해 오염도 3위이며 4위에 해당하는 내 장산국립공원보다 빛공해 오염도가 월등히 높고 계룡산국립공원과 유사한 상황

Ⅳ 연구결과

120

국립공원 마을지구와 빛공해와의 관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국립공원 내 국립공원 내 마을이 많을수록 그리고 인근 지역의 빛공해 가 심할수록 국립공원 내 빛공해도 심해지고 있었음

◾인근지역 빛공해의 영향이 큰 원인으로는 sky glow현상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지표면에서 방출된 빛이 대기 중 수증기나 미세먼지 등에 의해 산란되어 주변 지역으로 전파되는 현상 으로 안개나 구름이 많이 낀 날 도시의 밤하늘이 밝게 보이는 현상이 sky glow 현상의 대 표적인 예(Kyba et al., 2011)

국립공원 면적과 빛공해와의 관계

◾국립공원 면적이 넓을수록 국립공원 내 빛공해가 완화되는 효과가 있었음

◾즉 국립공원 면적이 넓으면 국립공원 경계지역은 외부로부터 전파된 빛공해에 의해 오염되 더라도 인근의 빛공해의 영향을 받지 않는 내부의 빛공해 청정지역이 충분히 넓기 때문에 공원의 평균 빛공해 수준이 낮아지게 됨

국립공원 빛공해의 계절적 영향

◾계절별로 살펴보면 탐방객이 많은 10월에는 국립공원 내부 마을지구에서 발생하는 빛공해 보다 탐방객을 위한 숙박 위락시설들이 밀집해 있는 국립공원 인근 지역의 빛공해가 국립공 원 내부 빛공해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탐방객이 많지 않은 1월의 경우 국립공원 인근 5km의 빛공해 수준이나 공원 내 육지지역 면적의 영향이 크지 않았음. 이는 국립공원 인근의 숙박시설에서 방출되는 빛공해가 10월만 큼 심하지 않아 국립공원 내부로 침투해 들어오는 빛공해의 절대량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국립공원 면적에 상관없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빛공해 청정지역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라 판단됨. 탐방객 수가 적은 시기에는 공원내 마을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와 관계있는 마을 지구의 규모가 국립공원의 빛공해 수준을 결정하는 주요인으로 나타남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121

그림 70. VIIRS DNB를 이용한 한국 국립공원 야간 평균 밝기(Average brightness values) 현황도(2012년 10월)

그림 71. 한국 산지형 국립공원 빛공해 현황

Ⅳ 연구결과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