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4. 미기후 현황

4.3. 종합고찰

◾이상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도시의 미기후는 자연 지역보다 풍속이 늦고, 온도 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온도의 경우 자연 지역인 무등산보다 도심지가 무려 연 평균 5.2℃ 가량 높았으며, 특히 2월과 6~7월에는 온도차가 6℃이상 발생

◾군부대 시설지가 입지한 지왕봉과 통신탑이 입지한 장불재의 온도와 풍속은 비슷한 값과 경 향을 보임

◾이는 고지대에 대규모 시설지가 입지해 있다는 공통된 특징의 결과이며, 대규모 군부대 시 설지가 입지한 지왕봉의 경우 장불재보다 여름철에 기온이 약간 더 높으며, 겨울철에 약간 더 낮음을 확인

◾이는 공통된 시설지가 입지하였더라도 시설지의 면적이 큰 지왕봉이 시설지 면적이 작은 장 불재보다 미기후 변화정도가 더 큼을 입증

Ⅳ 연구결과

132

◾계절별 미기후의 평균값으로 살펴보면, 봄과 겨울철에는 장불재가 군부대가 있는 지왕봉보 다 약 0.417℃정도 온도가 높고, 여름철과 가을철에는 지왕봉이 장불재보다 1.036℃ 정도 높게 온도가 측정되

◾이는 고지대 시설물이 통신탑이 있는 장불재보다 군부대가 있는 지황봉이 더 넓게 분포하고 있어 태양 복사에너지가 강한 여름철에 발생된 미기후적 차이로 판단됨

◾또한 겨울철에도 콘크리트 구조물과 포장의 온도(열전도율)가 주변의 온도를 너 낮게 낮추어 지황봉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아짐을 확인

그림 78. 무등산국립공원 대규모 통신탑 표면 온도 분포

◾시설지가 없는 대조구인 신선대의 최대풍속이 시설지보다 강하였으며, 이는 실험구가 대규 모 시설물에 의해 바람이 차단되어 Turbulence Wind가 형성되는 turbulence zone이 생성되 어 실험구와 대조구의 온도차가 많이 발생됨을 확인

◾이는 6, 7, 8, 9, 10월에 심했으며, 특히 여름철인 7, 8월엔 무려 5.01~5.16℃의 차를 보 임. 여름철 큰 온도차는 시설물과 그 주변 일대가 콘크리트 재료로 건물 복사열과 포장된 바닥의 복사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됨. 10월부터 3월까지의 기간에는 실험구와 대조구의 풍 향이 거의 동남동으로 일정한 반면에, 시설지가 있는 실험구에서는 4월부터 9월까지 풍향이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Ⅳ. 연구결과

133

서남서, 동, 남동, 서, 서북서, 북서로 교란이 심하게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음. 이 또한 구조물에 의한 turbulence zone의 효과로 사료됨

그림 79. 건축물에 의한 Turbulence wind와 turbulence zone 형성 모식도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무등산 정상부의 대규모 시설지가 위치한 지왕봉과 장불재는 시설 지가 없는 대조구와 상당한 미기후적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사계절 중 여름철에 미기후적 교란상태가 시설지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본 연구는 현재까지 무등산국립공원 내 고지대에 대한 기후 측정 자료를 분석한 사례가 없 는 현실을 고려할 때 국립공원 내 기후변화의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아울러, 본 연구를 통 해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시설물이 미기후 환경에 어떠한 여향을 주는지를 정량적으로 분 석하는데 가장 큰 의의를 찾을 수 있음

◾향후 민감한 고지대 환경의 중요성과 자연 상태의 미기후 보전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국립공 원 내 시설지 이전과 관련하여 미기후의 변화를 모델링하여 계획에 반영한다면 보다 친자연 적인 상태로 국립공원을 돌려놓는 효과를 줄 것으로 판단됨

관리방안

제5장

Ⅱ 현황조사 및 분석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 입지에 의한 생태계 영향 Ⅰ Ⅴ. 관리방안

137

1. 소음 및 소리경관 관리방안

◾무등산국립공원 소음 및 소리경관 관리방안은 무등산국립공원 소리환경 관리계획 수립, 공 원시설 및 장비 소음 관리, 고지대 통신탑 소음 관리, 고지대 군부대 소음 관리의 4가지 방 향으로 설정

◾무등산국립공원 소리환경 관리계획 수림의 세부내용은 무등산국립공원 전 지역을 대상으로 정밀 소리(소음)지도를 구축하고 소리경관 및 소음원 유형을 파악한 후 수리경관 및 소음원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것으로 제시. 또한 소음원 이외에 무등산을 대표하는 자연의 소리 목 록을 작성하고 이를 홍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음

◾공원시설 및 장비 소음 관리는 소음을 유발하는 공원시설을 파악하여 저감대책을 마련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공원차량 및 관리장비를 저소음 장비로 교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음

◾고지대 통신탑 소음 관리는 현재 통신탑에서 저주파 기계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생태계 교란과 더불어 국립공원다운 음환경을 저해하므로 통신탑 관리주체와 협의를 통해 방음시설 을 설치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경비견(개짓는 소리 포함)으로 인해 고지대 생태계 교란이 유 발되므로 이를 반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음

◾고지대 군부대 소음 관리는 확성기 사용이 고지대 음환경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므로 군부대와의 협의를 통해 확성기 음량 저감 및 사용을 자제하도록 해야 함. 또한 야간에 운 행하는 차량은 군부대 차량이 대부분이므로 이의 자제를 통한 야간 음환경 복원이 필요함

◾고지대 음환경을 복원하는 최선의 방법은 고지대 군부대와 통신탑을 이전하는 것이므로 장 지적으로 고지대 시설물 이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임

Ⅴ 관리방안

Ⅴ 관리방안

138

무등산국립공원 소리환경 관리

계획 수립

정밀 소리(소음) 지도 구축

소리경관 및 소음원 유형 파악

소리경관 및 소음원 목표 설정 및 관리방안 수립

무등산 자연의 소리 목록 작성 및 홍보 공원시설 및 장비

소음 관리

소음을 유발하는 공원시설 파악 및 저감대책 적용

장기적으로 공원차량 및 관리장비를 저소음 기계로 교체 고지대 통신탑

소음 관리

통신탑 저주파 기계음 저감 노력

경비견 반출(CCTV로 대체)

고지대 군부대 소음 관리

확성기 음량 저감 및 사용 자제 협의

- 국립공원 고지대 특수성을 고려한 확성기 사용 자제

야간 차량 이용 자제 그림 31. 무등산국립공원 소음 및 소리경관 관리방안